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오른쪽)이 19일(현지시각) 워싱턴DC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열린 제74차 추수감사절 칠면조 사면식에서 ‘피넛 버터'란 이름의 칠면조를 사면하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베이징겨울올림픽의 ‘외교적 보이콧’을 검토 중이다. 워싱턴/로이터 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내년 2월 열리는 베이징겨울올림픽을 외교적으로 보이콧 하는 문제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힌 뒤, 영국도 “적극적으로 논의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문재인 정부가 임기 마지막 순간까지 심혈을 기울이는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재개 노력에 부정적 영향이 예상되는 것은 물론, 대통령의 개막식 참석 자체가 힘들어질 수도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18일(현지시각)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 양자 회담에 앞서 이뤄진 기자와 문답에서 베이징올림픽의 외교적 보이콧에 대해 “우리가 검토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발언이 전해진 뒤 영국 <더타임스>도 20일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도 올림픽의 외교적 보이콧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고,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은 21일 주일 미국대사를 지낸 윌리엄 해거티 상원의원이 일본도 이 움직임에 참여해야 한다는 견해를 밝혔다고 짚었다. 한 나라가 올림픽을 외교적으로 보이콧하면, 선수는 경기에 참가하지만, 정부는 대표단을 파견하지 않는다.
문 대통령이 지난 9월 말 유엔 총회에서 “남-북-미-중 4자가 모여 한반도에서 전쟁이 종료되었음을 함께 선언하길 제안한다”고 밝힌 뒤, 정부는 이 제안이 실현될 수 있게 미국과 치열한 ‘물밑 조정’을 이어왔다. 올림픽까지 남은 시간 동안 ‘종전선언’ 실현을 위한 조건이 마련될 가능성은 극히 낮지만, 남-북-미-중 정상이 올림픽을 계기로 한데 모여 평화의 의지를 다질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기대 때문이었다.
하지만, 미국에 이어 다른 주요국들도 보이콧 행렬에 동참하면, 문 대통령의 개막식 참석도 어려워질 수 있다. 2015년 9월3일 베이징 천안문광장에서 열린 ‘중국인민 항일전쟁 및 반파시즘전쟁 승리 70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한 박근혜 전 대통령의 ‘외교적 실책’을 되풀이 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당시 박 전 대통령은 서구 주요국 정상 모두가 불참한 가운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나란히 천안문 망루에 올라 큰 충격을 남겼다.
길윤형 기자, 도쿄/김소연 특파원
charism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