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컴퓨터 사용자가 정교한 글을 쓸 수 있는 인공지능 챗봇 챗지티피(ChatGPT)와 대화를 시도하고 있다. 다름슈타트/dpa 연합뉴스
대화형 인공지능 챗봇 챗지피티(ChatGPT)가 폭발적인 인기를 끌자, 유럽연합(EU) 고위 인사가 이를 포함한 인공지능 기술 규제가 시급하다고 지적하고 나섰다.
티에리 브르통 유럽연합 내부시장 담당 집행위원은 챗지피티가 인공지능 기술과 관련된 위험에 대처할 법률 제정이 시급함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3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유럽연합의 고위급 인사가 챗지피티를 직접 거론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오픈에이아이(AI)라는 인공지능연구소가 개발한 챗지피티는 사람과 주고 받은 대화의 맥락을 기억할 수 있으며, 기사나 보고서 등 정교하고 논리적인 글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이 때문에 지난해 11월 일반에 공개된 지 2달여 만에 이용자가 1억명을 넘어설 정도로 큰 인기를 누리고 있다. 미국 온라인 매체 <버즈피드>는 지난달 말 오픈에이아이와 협력해 콘텐츠를 개발하기로 하면서, 주가가 크게 오르기도 했다.
챗지피티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프로그램이 만들어낸 글이 언뜻 보기에는 그럴 듯 하지만 피상적이거나 부정확한 경우가 많다고 지적하고 있다. <로이터>는 이 챗봇을 이용한 논문 표절, 사기 행위, 거짓 정보 유포 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
브르통 집행위원은 “챗지피티가 보여주듯이 인공지능 기술은 기업과 시민들에게 뛰어난 기회를 제공할 수 있지만, 위험도 제기한다”며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만든 자료가 신뢰할 수 있는 고품질의 자료가 되도록 규제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자신이 지난해 제안한 인공지능 기술 규제 법 제정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이 법안은 현재 유럽연합 내부에서 논의되고 있다. 이 법안에 따르면 챗지피티는 채용이나 신용 평가처럼 ‘고위험’ 업무에도 쓰일 수 있는 ‘범용 인공지능 시스템’으로 분류된다.
브르통 집행위원은 인공지능 기술 규제 논의를 위해 회원국들, 유럽의회와 협력하고 있다며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투명성 확보도 강조했다. 그는 “사람들이 챗봇과 대화하고 있다는 걸 알 수 있어야 한다. 투명성은 편향성 위험이나 잘못된 정보를 접할 위험 등과 관련해서도 아주 중요한 문제”라고 말했다. 그는 ‘고위험 인공지능 시스템’들이 유럽연합이 제정하려는 법안을 준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오픈에이아이가 협력해줄 것을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신기섭 선임기자
marishi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