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제주 함덕해수욕장 입구에서 안전요원이 해수욕장 입장객에게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체온스티커 등을 나눠주며 방역수칙 준수를 당부하고 있다. 제주/연합뉴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가 19일부터 비수도권 전 지역에서 ‘5인 이상 사적모임’을 금지하기로 했다. ‘4차 유행’이 비수도권으로 빠르게 확산되자 내놓은 조처다. 18일에 발표하고 이튿날부터 전격 시행하는 데서 방역당국의 위기감을 엿볼 수 있다. 지금까지 비수도권은 광역자치단체별로 4명에서 8명까지 자율적으로 인원 기준을 적용해왔다. 수도권에서 지난 12일부터 오후 6시 이후 사적모임 인원을 2명으로 제한한 데 이어 이번 조처까지 더해지면서, 일상의 멈춤이 전국으로 확대될 수밖에 없다. 하루하루 눈덩이처럼 커질 유무형의 피해를 조금이라도 줄이려면 적용 기간을 단축하는 데 온 힘을 쏟아야 한다.
수치로 살피더라도 이번 조처는 불가피했다고 본다. 신규 확진자 비중은 여전히 수도권이 비수도권보다 몇배 크지만, 최근 격차가 빠르게 좁혀지고 있다. 18일 0시 기준으로 전체 확진자 가운데 비수도권이 31.6%를 차지했다. 비수도권 비중이 30%를 넘은 건 4차 유행 시작 이후 처음이다. 일주일간 하루 평균 확진자 수도 수도권이 일주일 전보다 140.6명 늘어난 데 비해 비수도권은 155명 늘었다. 비수도권 확진자 증가 속도가 수도권을 넘어선 것이다. 더구나 비수도권은 방역과 의료 인프라가 수도권보다 취약하다. 생활치료센터 가동률이 충청권의 경우 92%를 넘어서는 등 일부 지역에서 이미 위험신호가 나타나고 있다.
비수도권 확산세에는 수도권 거주자들에 의한 영향도 적지 않았다고 봐야 할 것이다. 이동량 변화 추이에서도 이를 유추할 수 있다. 지난주에 집계된 직전 주말 수도권 이동량은 11% 정도 줄어든 반면 비수도권 이동량은 9% 정도 늘었다. 일부 언론이 보도하는 ‘원정 유흥’의 풍선효과까지는 아니어도, 여름 휴가철을 맞아 수도권 거주자들이 비수도권으로 여행을 간 데 따른 영향이 반영됐을 것으로 보인다. 수도권 거리두기가 4단계로 격상되고 무더위가 본격화한 걸 고려하면 비수도권의 지난 주말 이동량은 더욱 늘었을 것으로 예측된다. 수도권 거주자들이 비수도권의 방역 부담을 늘리는 일은 없어야 한다.
이번 조처로 휴가철 경기까지 얼어붙으면 가뜩이나 어려운 지역경제가 더욱 위축되지 않을까 우려된다. 그러나 고통의 시간을 짧고 굵게 보내는 게 결과적으로 나을 거라 본다. 휴가여행을 가더라도 개별 방역을 철저히 준수해 비수도권 주민들이 이중의 고통을 겪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