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14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학원, 노래방, 피시방 등 학생들이 많이 이용하는 다중이용시설의 코로나19 방역과 관련한 긴급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박원순 서울시장, 유 부총리, 조희연 서울시교육감. 김봉규 선임기자 bong9@hani.co.kr
코로나19 감염이 재확산되면서 가장 우려했던 청소년 학생들의 집단감염이 발생했다. 이태원 클럽에 갔던 인천의 학원 강사에게서 수업을 받은 고등학생 5명과 동료 강사, 또 과외 수업을 받은 중학생 쌍둥이 남매와 엄마까지 확진 판정을 받았다. 학생들이 확진 판정을 받은 13일은 고3의 등교 개학이 예정됐던 날이었다. 등교 개학이 예정대로 진행됐더라면 해당 학교에서 어떤 혼란이 벌어졌을지 생각만 해도 아찔하다.
교육부는 지난 11일 순차적 등교 개학을 모두 일주일씩 연기하면서 초등학교 가정학습 허용 일수를 34일까지 늘리기로 했다. 또 14일에는 학원과 노래방 등 학생들이 자주 이용하는 다중이용시설의 생활방역 단속 강화와 고3 등교 이후 의심 증상 학생에 대한 긴급 지원 방안을 내놨다. 박백범 교육부 차관은 “등교 수업 연기 여부를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못박으면서 “격주·격일제 수업, 분반 수업, 원격 수업 병행 등 다양한 방식으로 방역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태원 클럽발 2, 3차 감염 확산으로 등교 개학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3개월 가까이 중단되다시피 한 학사 일정을 더 이상 미루기 어렵다는 교육당국의 고충을 이해한다. 대학 입시를 앞둔 학생들의 불안감 역시 외면하기 힘들다. 그러나 만약 일선 학교에서 방역이 뚫린다면 지금까지 논의해온 대입이나 학사 일정 문제까지 원점으로 돌아갈 공산이 크다. 코로나19는 아이들의 안전과 직결된 문제다. 최악의 상황까지 대비하는 빈틈없는 준비만이 위기를 막을 수 있다. 학사 일정에 얽매이기보다는 방역의 관점에서 학생들에게 안전한 학습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교육부가 판단하길 바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집단감염에 관련된 분 중에 검사를 받지 않은 분은 아직도 늦지 않았으니 지금이라도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거듭 요청했다. 인천의 학원 강사는 역학조사 과정에서 직업과 동선을 숨겨 주변 사람들을 감염시켰다. 이로 인한 피해가 앞으로 얼마나 늘어날지 가늠하기 힘들다. 등교 개학을 다섯 차례나 연기할 정도로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많은 이들이 고통을 감수하고 있다. 이런 마당에 공동체에 큰 피해를 주는 무책임한 행동을 한다면 책임을 엄중히 물어야 한다. 학생들이 학교로 돌아가려면 모두가 방역에 협조해야 한다는 걸 잊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