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각 많은 박근혜 전 대표 - 10일 오후 경기도 수원 경기 문화의 전당에서 열린 경기문화포럼 창립식에 참석한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가 경선에 관한 생각이 많은 듯 상념에 잠겨 있다. (연합뉴스)
한나라당 경선룰 중재안을 둘러싸고 첨예한 대치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경선불참’까지 시사하며 배수진을 쳐온 박근혜 전 대표가 11일엔 말을 아꼈다. 공식 일정도 취소했다. 삼성동 자택과 외부에서의 비공개 식사일정이 전부였다. 대부분 당 안팎의 인사들과 최근 돌아가는 상황에 대한 얘기들을 나눴다고 한다.
일각에서 ‘칩거’에 들어갔다느니, ‘장고’에 돌입했다는 얘기가 나돌자 캠프 관계자들은 "그런 용어를 쓰지 말아달라"고 당부했다. 무슨 잘못을 저지른 것도 아니고, 중재안을 받을지 말지 고민하는 것도 아니고, 원칙을 지키라고 주문하는 사람이 왜 장고나 칩거를 하겠느냐는 것이 이유였다.
자택에 머물다 오전 11시30분께 외부인사와의 오찬 약속 때문에 집을 나서던 박 전 대표는 집 밖에서 대기하던 기자들과 만나 "오늘 모임이 있다. 개인모임"이라면서 `생각은 정리를 했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뭘요.."라며 구체적 답변을 하지 않았다. 그는 "늦을 것 같다"며 서둘러 자리를 떠났다.
이와 관련, 박 전 대표의 측근인 최경환 의원은 "오늘부터 이런저런 분들을 만나고 의견도 들어보고 할 것"이라면서 "아무래도 경선룰을 둘러싼 사태의 향방이 어떻게 될 지를 가장 먼저 생각하지 않겠는가"라고 말했다. 현재 박 전 대표 캠프는 중재안에 대한 전국위 상정 저지와 전국위에서의 표 대결시 부결시키는 방안 을 총체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강 대표가 내주 상임전국위원회까지 중재안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대표직은 물론 국회의원직까지 사퇴하겠다고 승부수를 던진 만큼 향후 당 내분 사태의 전개 방향은 물론, 중재안이 통과됐을 때의 `막판 카드'로 무엇을 던질지도 고민의 대상이다. 김무성 의원은 이날 MBC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에 출연, "헌법같은 당헌을 부당하게 바꿔 경선을 하면 결과는 뻔하다"며 "깨끗한 승부는 깨끗이 승복하겠지만 부당한 승부는 참여할 수 없는 것이라는 게 캠프의 공식입장으로 보면 된다"면서 경선불참 가능성을 여전히 배제하지 않았다. 이런 가운데 박 전 대표측은 당내는 물론, 일반국민에게도 이번 중재안의 부당성을 홍보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외견상 강 대표의 중재안에 대해 ‘이-수용, 박-거부’라는 모양새가 됨으로써 자칫 당 분열 책임의 멍에를 혼자 뒤집어 쓸 수 있다는 점에서 이번 중재안이 당내 경선의 유불리가 아니라 민주주의의 원칙을 훼손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해야 한다는 필요성 때문이다. 실제 박 전 대표는 캠프 측근들과의 전화 통화에서 "칩거해 중대결심을 내놓거나 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함께 중재안의 국민에게 부당성을 알려서 저지하도록 힘쓰자"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캠프 관계자는 "박 전 대표는 이번 중재안이 원칙과 당의 화합 및 대선주자간 신뢰 그리고 민주주의까지 파괴하고 있다고 보기 때문에 자신이 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국민에게 호소하는 길 밖에 없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중재안의 내용이 문제가 아니라 원칙이 훼손됐다는 게 문제다. 따라서 우리가 수정안을 낼 이유도 없다"면서 "이번 사태는 합의된 경선 룰을 바꾸어달라고 도발한 측에 전적인 책임이 있다. 이 전 시장이 이를 통해 자기 욕심을 채웠고 자신이 가장 두려워하는 검증으로부터 국민적 관심을 돌리는 `부당한 정치'를 했다는 점에 대해 대국민 호소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캠프측은 또 오는 15일 열리는 상임전국위에 대비해 상임전국위원들을 접촉하면서 중재안 표결을 저지시키기 위한 적극적인 작업도 병행했다. (서울=연합뉴스)
또 강 대표가 내주 상임전국위원회까지 중재안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대표직은 물론 국회의원직까지 사퇴하겠다고 승부수를 던진 만큼 향후 당 내분 사태의 전개 방향은 물론, 중재안이 통과됐을 때의 `막판 카드'로 무엇을 던질지도 고민의 대상이다. 김무성 의원은 이날 MBC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에 출연, "헌법같은 당헌을 부당하게 바꿔 경선을 하면 결과는 뻔하다"며 "깨끗한 승부는 깨끗이 승복하겠지만 부당한 승부는 참여할 수 없는 것이라는 게 캠프의 공식입장으로 보면 된다"면서 경선불참 가능성을 여전히 배제하지 않았다. 이런 가운데 박 전 대표측은 당내는 물론, 일반국민에게도 이번 중재안의 부당성을 홍보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외견상 강 대표의 중재안에 대해 ‘이-수용, 박-거부’라는 모양새가 됨으로써 자칫 당 분열 책임의 멍에를 혼자 뒤집어 쓸 수 있다는 점에서 이번 중재안이 당내 경선의 유불리가 아니라 민주주의의 원칙을 훼손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해야 한다는 필요성 때문이다. 실제 박 전 대표는 캠프 측근들과의 전화 통화에서 "칩거해 중대결심을 내놓거나 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함께 중재안의 국민에게 부당성을 알려서 저지하도록 힘쓰자"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캠프 관계자는 "박 전 대표는 이번 중재안이 원칙과 당의 화합 및 대선주자간 신뢰 그리고 민주주의까지 파괴하고 있다고 보기 때문에 자신이 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국민에게 호소하는 길 밖에 없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중재안의 내용이 문제가 아니라 원칙이 훼손됐다는 게 문제다. 따라서 우리가 수정안을 낼 이유도 없다"면서 "이번 사태는 합의된 경선 룰을 바꾸어달라고 도발한 측에 전적인 책임이 있다. 이 전 시장이 이를 통해 자기 욕심을 채웠고 자신이 가장 두려워하는 검증으로부터 국민적 관심을 돌리는 `부당한 정치'를 했다는 점에 대해 대국민 호소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캠프측은 또 오는 15일 열리는 상임전국위에 대비해 상임전국위원들을 접촉하면서 중재안 표결을 저지시키기 위한 적극적인 작업도 병행했다. (서울=연합뉴스)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