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1일 국회에서 열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한 임종석 청와대 비서실장의 모습.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임종석 청와대 비서실장이 박성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의 자진사퇴를 수용하는 한편, 국회에 김명수 대법원장 후보자 임명동의안을 처리해 달라고 호소했다.
임 비서실장은 15일 박성진 후보자가 자진사퇴 입장문을 낸 뒤 청와대 춘추관에서 기자들을 만나 “청와대 역시 국회의 판단을 존중하고 수용한다”고 밝혔다. 임 실장은 “앞으로 국회의 목소리를 더 크게 듣겠다”고 덧붙였다. 또 “인사논란이 길어지면서 국민 여러분이 많은 걱정을 하고 계신 데 대해 진심으로 송구한 마음”이라며 “앞으로 더 잘하겠다는 다짐의 말씀도 드리고 싶다”며 국민들에게 ‘인사논란’에 대해 사과했다.
임 실장은 “중소벤처기업부 인선을 하면서 아시다시피 박성진 후보자가 저희들로서는 27번째 후보자였다”며 “한국 벤처의 새로운 아이콘을 찾아 모시려 했는데, 답을 찾지 못했다”고 토로했다. 또 문재인 대통령의 지시로 인사추천자문위원회를 꾸린 사실을 알리며, “여·야와 또 이념의 벽을 넘어 적재적소에 가장 좋은 분을, 대한민국이 가진 전체 인적 자산 속에서 추천한다는 생각으로 각고의 노력을 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이어 임 실장은 김명수 대법원장 후보자 임명동의안을 처리해 줄 것을 간곡히 요청했다. “1948년 정부수립 이래, 국회의 동의절차 지연을 이유로 사법부 수장이 공석이 된 적은 단 한번도 없었다”고 말문을 뗀 그는 “양승태 전 대법원장 임명동의안을 전임자 임기 내에 처리하기 위해 당시 야당이었던 지금 민주당이 장외투쟁중이었음에도 국회에 복귀해서 양승태 대법원장의 임명동의안 처리에 협조했던 기억이 있다. 그 밖에 최종영·이용훈 대법원장 임명동의안도 전임자의 임기가 끝나기 전에 여야가 협조해서 처리했다“며 ‘전례’를 언급했다. 임 실장은 “행정부도 입법부도, 사법부를 단 하루라도 멈춰세울 권한은 없다”고 강조하며, “삼권분립의 한 축인 사법부 수장의 공백 발생하지 않도록 24일 이전에 대법원장 후보자 임명동의안을 처리해주시기를 국회에 간곡하게 호소드린다”고 말을 맺었다.
임종석 비서실장의 입장문 발표는 청와대 내 인사추천위회 위원장으로 박성진 후보자 자진사퇴에 이르기까지 빚어진 각종 논란에 공개 사과를 하면서, 동시에 국회에 김명수 대법원장 후보자 임명동의안을 통과시켜달라는 일종의 ‘정치적 압박’의 의미도 담긴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비서실장이 (기자들 앞에) 오신 것은 사법부 수장이 공백 상태가 오지 않게끔 24일 이전에 처리해 달라는 간곡한 호소 말씀을 드리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후보자 자진사퇴를 계기로 일각에서 일고 있는 인사 라인 문책론에 대해 이 관계자는 “그 단계는 지금 거론될 차원이 아니다”라며 말을 아꼈다. 청와대는 국회의 ‘부적격’ 의견 채택 뒤 박 후보자의 자진 사퇴 뜻을 접수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정확히 언제 박 후보자로부터 사퇴 의사를 전달 받았는지 등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정유경 기자
edg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