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회의 주재 “제조업 살리는 게 우리 경제 살리는 것”
“문제는 우리 제조업 경쟁력 낮아지는 것”
“외부 탓으로만 돌릴 일 아냐”
조선, 자동차, 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주문
“문제는 우리 제조업 경쟁력 낮아지는 것”
“외부 탓으로만 돌릴 일 아냐”
조선, 자동차, 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주문
문재인 대통령이 19일 “제조업 활력을 위해 정부가 전력을 기울이겠다”며 조선, 자동차, 반도체 등 주력 제조업 분야의 경쟁력 강화 방안을 신속히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제조업의 활력을 살리는 것이 우리 경제를 살리는 것”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그는 “세계 경제 둔화 탓에 세계 제조업 경기 전반이 어려워지고 있으나 외부 탓으로만 돌릴 일이 아니다”며 “우리 제조업의 경쟁력이 낮아지고 있는 것이 문제”라고 짚었다.
그는 “정부가 그간 여러 차례에 걸쳐 제조업 대책을 마련했고 스마트 공장과 규제 샌드박스를 비롯한 다양한 정책수단을 동원해 제조업 혁신을 지원하고 있지만 아직 현장의 체감도는 낮다. 특히 전통 주력 제조분야의 고용 부진이 계속되는 점이 우리 경제의 가장 어려운 점이라고 할 수 있다”며 “주력 제조업의 경우 지난해 내놓은 분야별 대책이 제대로 잘 돌아가고 있는지 점검하기 바란다”고 각 부처 장관들에게 주문했다.
문 대통령은 조선, 자동차, 반도체 등 핵심 제조업을 차례로 거론하며 속도감 있는 대책 마련을 강조했다. 그는 “선박 수주 회복이 고용의 빠른 회복으로 연결되도록 지원하고 여전히 수주의 어려움을 겪는 중소 조선업계에 대한 지원도 더욱 적극적으로 강구하기 바란다”며 “현대 중공업의 대우조선해양 인수로 고용의 불안을 야기하는 일이 없도록 확실한 대책을 세워 달라”고 했다. 이어 “올 1, 2월 자동차 산업 수출 증가율에도 불구하고 부품업체들의 어려움이 계속되고 있다”며 “전기차, 수소 전기차 등 친환경 차 보급을 더욱 속도감 있게 추진하고 지난 연말 발표한 자동차 부품 산업 대책도 신속하게 시행해주기 바란다”고 주문했다.
반도체 분야에 관해서는 “메모리 반도체보다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취약한 비메모리 반도체 분야의 경쟁력을 높여 메모리 반도체 편중현상을 완화하는 방안도 신속히 내주기를 바란다”고 했다.
아울러 그는 “주력 제조업 혁신과 함께 신산업 육성도 속도를 내야 한다”며 “바이오, 헬스, 소재, 부품, 장비, 5지(G) 기반 산업 등 미래 제조업 발전 전략을 조속히 노력하여 전통 주력 제조업의 혁신과 신산업의 발전이 균형 있게 이뤄지도록 노력을 기울여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브루나이,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등 동남아 3개국 순방에서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에 대한 아세안의 확고한 지지와 협력을 또 확인했다”며 “평화 번영의 한반도와 신경제지도는 신남방정책, 신북방정책과 함께 완성되는 만큼 실질적인 성과를 만드는데 최선을 다해주기 바란다”고 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문재인 대통령이 19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회의 시작을 알리고 있다. 연합뉴스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