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진 의원 “중국은행, 북자산 동결”, 국내 언론 대대적 보도
지난해 10월 중국은행(BOC)이 취한 북한 관련 자산 동결 조처가 지난 5일 북한의 미사일 발사 이후 중국 정부가 취한 최초의 대북 제재로 둔갑하는 ‘이상한 일’이 벌어지고 있다.
토니 스노 백악관 대변인은 26일 중국은행의 북한 관련 자산 동결 조처와 관련해 “우리는 중국 정부가 긍정적 조처를 취해 온 사실에 고무됐다”고 밝혔다.
그의 이 발언은 일부 국내 언론에서 ‘중국은행이 북한의 금융계좌를 동결했다’는 등의 보도가 나온 데 대한 반응이다. 최근 일부 언론은 박진 한나라당 의원이 ‘마카오 방코델타아시아(BDA)의 북한 거래계좌 동결조처 이외에 추가제재가 있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하고, 이에 따라 북-중 간에 심각한 마찰이 있는 것으로 보도한 바 있다.
국내 일부 신문이 보도한 중국은행의 북한 관련 자산동결 조처는 ‘오보’는 아니지만, ‘뉴스’도 아니다. 발단은 지난 15일부터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한-미 의원외교협의회에 참석하기 위해 워싱턴을 방문했던 박진 의원이 미 행정부의 전·현직 관리들로부터 들은 얘기였다. 보도를 보면, 박 의원은 “백악관 출신 부시 행정부의 전직 고위관계자가 ‘인민은행이 북한 계좌를 동결했는데 이는 중국이 북한과의 거래에 있어 사실상 제재를 가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북한이 더욱 좌절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그는 나중에 자신은 인민은행이 아니라 중국은행이라고 말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중국은행의 이런 조처는 지난해 10월에 있었던 일로, 공식 발표만 되지 않았을 뿐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정부의 한 당국자는 “미 당국이 지난해 10월 중국은행과 거래하는 미국은행을 통해 (중국은행) 마카오지점의 북한계좌에 대해 미국이 의심을 하고 있다고 은밀히 압력을 가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배경을 설명하면서, “(중국은행이 동결했다는) 액수도 수십만달러 정도였다”고 말했다. 중국은행의 조처는 당시 이 은행이 준비 중이던 뉴욕증시 상장에 영향을 끼칠지 모른다는 우려가 작용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와 관련한 소식은 지난 4월 <뉴스위크> 보도 외에 일본 언론들도 여러차례 전했다. 다만, 공식 발표가 없었기 때문에 규모나 시점 등이 정확하지 않다.
이런 논란에 대해, 박진 의원은 27일 <한겨레>와의 전화통화에서 “미국 고위관리로부터 들은 말을 전달했을 뿐이며, (중국은행의 계좌 동결) 시점에 대해선 언급한 바가 없다”며 “다만 계좌동결 등 금융압박이 이후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연관된 게 아닌가 하는 의문을 제기한 것”이라고 말했다.
결국 ‘알 만한 사람은 다 아는 얘기’가 ‘뉴스가 아닌 것도 뉴스로 만드는 신문’에 의해 또다른 ‘뉴스 아닌 뉴스’로 만들어진 셈이다. 강태호 기자, 워싱턴/류재훈 특파원 kankan1@hani.co.kr
결국 ‘알 만한 사람은 다 아는 얘기’가 ‘뉴스가 아닌 것도 뉴스로 만드는 신문’에 의해 또다른 ‘뉴스 아닌 뉴스’로 만들어진 셈이다. 강태호 기자, 워싱턴/류재훈 특파원 kankan1@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