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정치 국방·북한

더 커진 전략무기 등장, 신형 ICBM·SLMB 선보여

등록 2020-10-11 13:47수정 2020-10-20 15:09

북한 노동당 창건 75돌 열병식에 행진
11축22륜 TEL에 실려, 화성-15형보다 더 커
2~3.5톤 탄두로 미국타격 가능할 듯
‘북극성-4형’ 사거리 늘린 듯
북한은 10일 노동당 창건 75돌 기념 열병식에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과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로 보이는 두 종류의 새로운 전략무기를 선보였다. 북한이 열병식에서 전략무기를 선보인 것은 2018년 2월 건군절 70돌 기념 열병식에서 ‘화성-12형’ 중거리탄도미사일(IRBM)과 ‘화성-14형’, ‘화성-15형’ 대륙간탄도미사일 등 ‘전략무기 3종 세트’를 선보인 이후 2년8개월 만이다. 북한은 또 이날 처음으로 600㎜ 초대형 방사포와 대구경 조종 방사포, ‘북한판 이스칸데르’ KN-23 탄도미사일의 실물을 공개했다.

북한이 10일 노동당 창건 75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미 본토를 겨냥할 수 있는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공개했다. 신형 ICBM은 화성-15형보다 미사일 길이가 길어지고 직경도 굵어졌다. 바퀴 22개가 달린 이동식발사대(TEL)가 신형 ICBM을 싣고 등장했다. 노동신문 누리집 갈무리. 연합뉴스
북한이 10일 노동당 창건 75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미 본토를 겨냥할 수 있는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공개했다. 신형 ICBM은 화성-15형보다 미사일 길이가 길어지고 직경도 굵어졌다. 바퀴 22개가 달린 이동식발사대(TEL)가 신형 ICBM을 싣고 등장했다. 노동신문 누리집 갈무리. 연합뉴스

■ 화성-15형보다 더 큰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 선보여

이날 공개된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은 바뀌가 11축 22륜(바퀴 11쌍)인 이동식발사차량(TEL)에 실려 이동했다. 지금까지 알려진 북한의 가장 큰 대륙간탄도미사일은 ‘화성-15형’으로 이동식발사차량의 바퀴가 9축 18륜이었다. 바퀴가 2쌍 더 늘어났고 크기도 더 커진 것이다. 그 만큼 미사일도 더 길어지고 무거워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북한은 이날 새 대륙간탄도미사일의 이름이나 성능 특징 등에 대해 전혀 언급하지 않았지만, 전문가들은 화성-15형에서 진화한 ‘화성-16형’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미사일전문가 밴 디펀과 마이클 엘러먼은 북한 전문사이트 ‘38 노스’에 이 미사일에 대해 “대략 길이 25~26m, 지름 2.5~2.9m로, 기존의 화성-15형보다 길이는 4~4.5m, 지름은 0.5m 더 큰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 신형 미사일의 1단 로켓으로는 액체연료를 사용하는 소련제 ‘RD-250’ 계열의 엔진 4기가 쓰인 것으로 분석됐다. 화성-15형이 1단 로켓에 RD-250 계열의 엔진 2기를 사용한 것과 비교하면, 엔진이 두 배 정도 더 커진 셈이다. 2단 로켓에 어떤 형태의 엔진이 사용됐는지는 불투명하다. 그러나 1단 로켓의 특성에 기초해 분석할 경우, 신형 미사일은 화성-15형(탄두 무게 1t)보다 훨씬 무거운 2~3.5t 무게의 탄두를 미국 대륙 전역에 날려보낼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이 신형 미사일은 한번도 시험 발사된 적이 없어 당장 실전에 배치할 수 있는 것인지는 불투명하다.

이 신형 미사일은 이동형 탄도미사일로는 세계 최대규모이다. 중국의 둥펑(DF)-41이나 옛 소련의 SS-24보다 더 크다. 이는 이동형 미사일의 기동성을 살리기 위해 가능한 작게 만들려는 추세와 배치된 것이어서 주목된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실제 군사적 효용보다는 대내·외적으로 과시하기 위한 정치적 목적이 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그러나 군사적으로 미국의 미사일방어망을 회피하기 위한 다탄두(MIRVs) 미사일을 개발할 목적일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다탄두미사일 개발을 위해서는 탄두에 여러 재돌입체를 넣을 충분한 공간이 필요해 미사일 규모가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북한이 10일 열린 당창건 75주년 열병식에서 ‘북극성-4’ 신형 SLBM 동체를 공개했다. 북극성-1형이나 작년 발사한 북극성-3형보다 직경이 약간 커진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중앙TV 화면. 연합뉴스
북한이 10일 열린 당창건 75주년 열병식에서 ‘북극성-4’ 신형 SLBM 동체를 공개했다. 북극성-1형이나 작년 발사한 북극성-3형보다 직경이 약간 커진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중앙TV 화면. 연합뉴스
■ 새로운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북극성-4형’

이날 북한의 열병식에는 신형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도 소개됐다. 신형 SLBM 동체에는 ‘북극성-4ㅅ’이란 글씨가 선명하게 찍혀 있었다.

북한이 고체연료 엔진을 장착한 ‘북극성’ 계열 탄도미사일을 개발해왔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애초 북한은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로 ‘북극성’을 개발한 데 이어 이를 지상발사용으로 변형한 ‘북극성-2형’을 선보였고, 지난해 10월엔 잠수함발사용으로 보이는 ‘북극성 3형’을 시험 발사한 적이 있다. 그러나 북한이 북극성-4형을 개발하고 있다는 소식은 그동안 알려진 바 없었다.

미사일전문가 밴 디펀 등은 ‘38 노스’에서 북극성-4형에 대해 북한이 공개한 이미지만으로는 유용한 제원을 알아내기 어렵다며 평가를 유보했다. 그러나 일부에선 북극성-1형보다 직경이 2~3배 커지고 북극성-3형보다도 직경이 굵어진 것으로 보인다는 관측이 나온다. 반면 잠수함 전문 웹사이트 ‘커버스 쇼어’(Covert Shore)를 운영하는 H I 수턴은 북극성-4형이 북극성-3 형(KN-26)과 비슷한 크기인 것 같다고 분석했다.

북극성-4형은 북극성-3형보다 사거리를 더 늘릴 목적으로 개발된 것으로 보인다. 북극성-3형은 지난해 10월 시험 발사에서 정점고도 910㎞, 비행거리 450㎞를 기록해, 정상 각도로 발사하면 사거리가 1900㎞ 이상 될 것으로 추정된다.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의 사거리가 늘어나면 북한은 더 안전한 해안 근처에서 더 멀리 떨어진 군사적 목표물을 타격할 수 있게 된다.

이번에 공개된 북극성-4형은 북한이 신포항 인근에서 건조 중인 3천t 급 신형 잠수함이나 이보다 더 큰 4천~5천t급 잠수함 탑재용으로 개발된 것일 가능성도 있다. 북한의 잠수함발사미사일은 바다 밑에서 은밀히 기동하는 잠수함에서 발사돼 포착하기 어렵기 때문에 커다란 군사적 위협으로 간주된다.

북한은 이번에 600㎜ 초대형방사포와 신형 대구경조종방사포, ‘북한판 이스칸데르’ KN-23 등도 첫 선을 보였다. 북한은 지난해 이들 신형 단거리 탄도탄을 여러차례 발사했으나 이날 처음으로 실물을 공개했다. 신무기 과시는 이날 “전쟁억제력을 계속 강화해나가겠다”고 밝힌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발언을 뒷받침하는 행동으로 보인다.

박병수 선임기자 su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평화를 위해 당당한 목소리가 필요합니다
한겨레와 함께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정치 많이 보는 기사

‘부정선거 전도사’ 황교안, 윤 대리인으로 헌재서 또 ‘형상기억종이’ 1.

‘부정선거 전도사’ 황교안, 윤 대리인으로 헌재서 또 ‘형상기억종이’

선관위 “선거망 처음부터 외부와 분리” 국정원 전 차장 주장 반박 2.

선관위 “선거망 처음부터 외부와 분리” 국정원 전 차장 주장 반박

오세훈, ‘명태균 특검법’ 수사대상 거론되자 ‘검찰 수사’ 재촉 3.

오세훈, ‘명태균 특검법’ 수사대상 거론되자 ‘검찰 수사’ 재촉

이재명 “국힘, 어떻게 하면 야당 헐뜯을까 생각밖에 없어” 4.

이재명 “국힘, 어떻게 하면 야당 헐뜯을까 생각밖에 없어”

이재명, 내일 김경수 만난다…김부겸·임종석도 곧 만날 듯 5.

이재명, 내일 김경수 만난다…김부겸·임종석도 곧 만날 듯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