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대선 이슈 페이퍼’는 제20대 대통령선거(2022년 3월9일)에 출마한 후보들에 관한 이슈를 두루 확인할 수 있도록 제작됐습니다. 현장에서 대선 후보를 취재하는 기자들이 직접 감수한 후보별 이슈와 대선 관련 정보를 노션 페이지에서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배치했습니다. 페이지는 대선 기간 하루 2번 이상 업데이트됩니다. 링크를 즐겨찾기에 넣어주시고, 대선 관련 유익한 정보를 확인하세요 :D

✍️ 한 줄 평 평등 사회에는 “나중에”도 없고 “다했죠?”도 없다
✔️ 이재훈 정치부 정의당 담당 기자가 추천하는 좋은 기사 [홍세화 칼럼] 응답하라, 차별금지법! 차별금지법 ‘찬반’ 묻자…민주는 겁을 냈고, 국힘은 관심 없었다 ‘차별금지법은 함께살기법’ 기획 시리즈
✔️ 스토리 대한민국 헌법 제11조1항은 “모든 국민이 법 앞에 평등하며, 성별, 종교, 또는 사회적 신분에 의하여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생활의 모든 영역에 있어서 차별을 받지 아니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실에서 이 조항은 지켜지지 않고, 많은 국민들이 이런 이유로 불합리한 차별을 겪고 있는 게 사실입니다. 실질적인 평등을 구현하는 일반법이 필요하다는 사회적 요구는 예전부터 있었습니다. 차별금지법은 2007년 이후 꾸준히 제기되어 왔는데요, 특히 진보 정당 주요 의제 가운데 하나였습니다. 차별금지법이 14년째 통과되지 못한 채 논란의 대상이 된 데에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그 가운데 가장 주요한 이유는 ‘동성애 등 성적 지향 차별 금지’인데요, 전통적인 보수 기독교계가 교리를 들어 동성애에 반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정당 입장에서는 이른바 ‘표 계산’에 유리하지 않은 상황인 것이죠. 이때문에 거대 양당은 차별금지법에 대해 반대하거나 유보적인 입장을 표했고, 이는 선거 등에서 더 도드라지게 나타난 바 있습니다. 이번 대선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심상정 정의당 후보는 차별금지법을 주요 공약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페이스북에 쓴 글이 화제가 됐는데요, 심 후보는 “(윤석열, 이재명) 두 분 모두 차별금지법 제정 다음에 하시려거든, 대통령도 다음에 하시길 바란다”고 썼습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 모두 차별금지법은 아직 이르다는 입장을 공개적으로 내놓고 있습니다.
✔️ 용어사전 차별금지법 : 성별, 인종, 종교, 장애, 성적 지향 등을 이유로 공공 영역에서 불합리하게 벌어지는 차별을 금지하자는 법. 2007년 노무현 정부의 국정과제로 시작됐으며, 17대 국회 이후 8차례 발의가 진행됐지만 무산돼 왔습니다. 대부분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에서는 차별금지법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 심상정은 누구? 자력으로 ‘4선 중진’으로 입지 다진, 심상정은 누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