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부탁합니다” / 김희범 국정홍보처 정책홍보관리실장(왼쪽)이 3일 오전 서울 삼청동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대회의실에서 부처 업무보고를 하기에 앞서 맹형규 인수위 기획조정분과 간사에게 인사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인수위 “자화자찬식 보고 못마땅”
국정홍보 기능은 문화부로 옮길듯
국정홍보 기능은 문화부로 옮길듯
3일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국정홍보처 업무보고는 시종일관 긴장된 분위기 속에서 진행됐다. 홍보처는 어떤 형태로든 조직의 기능은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인수위는 이를 모두 부정해 애초 공약대로 홍보처 폐지를 기정사실화했다. 김형오 인수위 부위원장은 보고를 받은 뒤 “국정홍보처는 시대적 소명에서 벗어났다”고 잘라 말했다.
이날 보고에서 양쪽은 메울 수 없는 인식 차를 드러낸 것으로 전해졌다. 시종 팽팽한 분위기 속에 양쪽 모두 나름의 논리를 굽히지 않았다는 후문이다. 홍보처 쪽은 폐지 여부를 떠나 기능은 반드시 유지해야 한다는 논지를 폈다. 이동관 인수위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당선자의 홍보처 폐지 공약 실천 방안에 관해 홍보처는 범정부적 홍보협력과 조율을 위해 △현행대로 존속 △문화관광부 통합 뒤 기능유지라는 두 가지 방안을 내놨다”고 말했다. 홍보처는 역시 이 당선자가 폐지를 공언한 한국정책방송(KTV)도 국가영상 기록보존 차원에서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논란이 된 취재선진화 방안에 관해서는 “언론의 반발로 적대적인 관계가 만들어져 정책집행 동력과 홍보 효과가 반감됐고, 국민들의 체감도 역시 높이지 못했다. 하지만 투명한 정보공개 등 세계적인 기준에 부합하는 시스템을 마련했다”고 자평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인수위는 홍보처의 이런 논리를 일체 인정하지 않았다. 대신 조직방어 논리에만 치우쳐 반성이 부족하다고 질타했다. 인수위 쪽은 “홍보처가 5년 동안 사실상 언론을 통제하고 국민의 알권리를 제한했음에도 성과는 못 거두고 외려 국정부담만 줬다”고 평가했다. 취재선진화 방안 역시 “언론의 취재원 접근권과 국민의 알권리를 막는 ‘취재방해 후진화 방안’”이라고 규정했다. 이름 밝히지 말 것을 요구한 한 인수위원은 “언론과 적대관계가 됐다는 반성을 빼면 모든 보고가 자화자찬이었다”며 못마땅한 심기를 드러냈다. 또다른 인수위 고위 관계자도 “국정홍보처의 인식 수준이 많이 부족했다. 자기들이 어떻게 하는지가 중요한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홍보처 쪽은 “우리는 영혼이 없는 공무원들”이라든가 “가장 약한 조직이 질타를 받는다”며 발뺌성 자기 변명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동관 인수위 대변인은 “오늘 회의에서 폐지로 결론이 난 것은 아니다. 다만 홍보처 폐지는 당선자의 공약이었다”고 말했다. 홍보처의 업무기능은 문화관광부 쪽이나 국무조정실로 옮겨질 가능성이 높다. 이명박 당선자의 선거대책위원회 미디어 홍보단장을 맡았던 정병국 한나라당 홍보기획본부장은 “홍보처의 양대 기능이랄 수 있는 국가 홍보와 국정 홍보는 모두 문화관광부가 맡는 것이 바람직한 해법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기능이 국무조정실로 옮겨질 것이란 전망도 있다. 성연철 이재명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