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전 대통령이 2017년 11월12일 낮 인천공항 출국장으로 향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인천공항/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이명박 전 대통령은 12일 국가정보원 특수활동비 상납 의혹과 관련해 김백준 전 청와대 총무기획관 등에 대한 검찰의 압수수색이 이뤄지자 서울 강남구 삼성동 사무실에서 측근들과 대책회의를 열었다.
이 전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검찰 수사에 대해 매우 불쾌한 반응을 보이며 화를 냈다고 참석자들이 전했다. 이 회의에는 이명박 정부 시절 청와대에서 근무한 이종찬·정동기 민정수석, 김효재 전 정무수석, 이동관·김두우 전 홍보수석, 장다사로 전 총무기획관 등이 참석했다.
이 회의 뒤 이 전 대통령 쪽은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명백한 정치 보복”이라고 반발했다. 이 전 대통령 쪽은 “현 정부가 이 전 대통령을 끝까지 보복하겠다고 작정하고 나섰다”며 “10년 전의 일을 들춰내 수사를 하려고 한다. 내가 아는 한 이명박 정부 시절 청와대가 국가정보원의 특수활동비를 받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 전 대통령은 국가정보원 특수활동비 청와대 상납 논란이 불거진 이후 측근들에게 “청와대가 국정원 특활비를 갖다 쓴다는 생각을 해본 적이 없다. 그런 시스템에 대해 전혀 알지 못한다”고 여러차례 말했다고 한 측근이 전했다. 다른 인사는 “이명박 정부 당시 청와대에서 공식적으로 국정원 특활비를 받은 인사는 없을 것”이라며 “다만 개별적으로 특활비를 받은 인사가 있는지 일일이 확인할 방법은 없다”고 말했다.
이 전 대통령 쪽에서는 국정원 ‘댓글’과 특수활동비에 대한 수사와 다스에 대한 세무조사 및 검찰 수사가 전방위적으로 이뤄지는 데 대해 “어떻게든 이명박 전 대통령을 잡아넣겠다는 거 아니냐”며 격앙된 반응들이 나오고 있다.
검찰은 이날 국정원 특활비 상납 의혹과 관련해, 이명박 정부 시절 청와대에서 근무한 김백준 전 총무기획관과 김희중 전 제1부속실장, 김진모 전 민정2비서관의 자택과 사무실 등을 압수수색했다.
정유경 기자
edg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