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환경

‘필수지방산’ 등푸른 생선 많이 먹으면 ‘독’?

등록 2007-06-12 18:38수정 2007-06-13 08:09

다이옥신류 섭취 경로
다이옥신류 섭취 경로
‘갈치·참치 다이옥신’ 실태
한국 사람 어류 통해 전체 다이옥신 73% 섭취
지방질 많고 육식성에 많아…가이드라인 필요

아이가 심한 아토피를 앓은 뒤 바른 먹을거리 운동을 시작한 김지연(40)씨는 캔에 든 생선을 먹지 않는다. 수은과 비스페놀 같은 환경호르몬을 피하기 위해서다. 대신 고등어 같은 등푸른 생선을 많이 먹는다. 하지만 이런 생선에 든 다이옥신이 새로운 고민을 안겼다. 생선을 먹을 것인가 말 것인가.

수산물이 왜 문제인가=배출된 다이옥신은 공기와 토양, 물을 거쳐 결국은 바다로 간 다음 먹이사슬을 거쳐 어·패류에 축적된다.?<그림 참조> 식품의약품안전청 자료를 보면, 우리나라 사람은 어류를 통해 전체 다이옥신의 73.3%를 섭취한다. 육류 12.8%, 대기 6.4%, 곡류 3.5%보다 훨씬 비중이 높다.

어류 가운데 지방질이 많거나 먹이사슬 꼭대기에 있는 종, 그리고 오래 사는 것일수록 다량의 다이옥신을 함유하게 된다.

해양수산부의 2006년 조사에서도 육식성인 갈치, 참치, 갯장어나 지방함량이 많은 청어와 고등어에서 비교적 많은 다이옥신류가 검출됐다. 수명이 짧거나 잡식성인 멸치, 숭어, 병어 등의 오염도가 낮은 것도 이 때문이다.

또 살 부위보다는 간, 아가미, 내장 등 지방이 많이 끼는 곳에 다이옥신류의 농도가 높았다.

문제는 이 지방산이 사람이 스스로 만들지 못하는 필수 영양소라는 데 있다. 등푸른 생선에 많은 오메가3 지방산은 심장병을 줄여 주고, 임신부가 섭취하면 아기의 시력과 두뇌발달을 촉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생선, 과연 안전한가=해양수산부와 식약청은 우리 수산물이 안전하다고 단언한다. 국민 1인당 매일 섭취하는 다이옥신류 섭취량이 체중 1㎏당 하루 0.794pg(피코그램, 1pg은 1조분의 1g)으로, 한국과 일본의 하루섭취허용량 4pg의 20% 수준이라는 게 그 근거다. 미국인의 수산물을 통한 하루 다이옥신 섭취량 0.147pg(2001년)보다는 5배가량 높지만 일본의 1.44pg(2001년)보다는 낮다는 근거도 제시된다.

그러나 전문가들의 시각은 다르다. 신동천 연세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다이옥신은 아직도 가장 중요한 환경오염물질의 하나”라며 “한국이 미국·일본 오염도의 70~80% 수준이지만 선진국이 강력한 규제로 오염도를 급속히 줄여가고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은 1987~1995년 사이 다이옥신 배출량을 75% 줄였고, 일본도 배출량 삭감 덕분에 식품을 통한 다이옥신 섭취량이 최근 5년간 26% 감소했다. 반면 해양수산부가 조사한 국산 수산물을 통한 하루 다이옥신 섭취량은 2003년 0.88pgTEQ/㎏에서 2005년 0.775, 2006년 0.794pgTEQ/㎏로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다.

이동수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수산물만으로 1pg에 육박하는 현재의 다이옥신류 섭취량은 결코 낮은 수준이 아니다”며 “고농도의 어·패류를 집중적으로 먹는 인구집단과 임신부·아이 등 취약계층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해수부는 우리 국민이 매일 평균 고등어 5.5g, 갈치 2.5g, 참치 2.0g꼴로 먹는다는 국민영양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하루 평균 다이옥신류 섭취량을 계산했다. 그러나 하루에 갈치 50g 또는 고등어 100g만 먹어도 다이옥신 섭취량은 각각 231pg, 263pg으로 국내 최대허용치인 220pg(55㎏ 성인 기준)을 넘어선다.

또 다이옥신류의 하루섭취허용량도 세계보건기구는 1~4pg로 해, 섭취량을 1pg 이하로 줄이는 것을 궁극적 목표로 삼고 있다. 이탈리아·네덜란드·스웨덴도 목표치는 1pg이며, 미국 환경보호청은 더 엄격한 0.01pg이다.

가이드라인 만들자=생선에 포함된 다이옥신·수은의 위험과 필수지방산의 혜택 가운데 어느 쪽이 큰지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미국·일본·유럽 등 대부분의 선진국은 “그래도 생선을 먹으라”고 권하고 있다. 단, 위험집단을 배려한 가이드라인을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와 함께 국립수산과학원에 다이옥신 담당자가 단 한명일 정도로 부실한 조사체계와, 조사결과에 대한 지나친 비밀주의와 대중과의 위험소통 부족도 개선돼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 다이옥신류란 비슷한 구조를 한 210가지 방향족 염소화합물과 다이옥신과 비슷한 성질의 다염화비페닐(PCB)를 함께 일컫는다. 주로 생활쓰레기나 사업장폐기물을 태우는 소각시설에서 대부분 나오지만 철강·비철금속 공장이나 화력발전소, 화장장 등에서도 배출되며 화산폭발이나 산불로 발생하기도 한다. 환경부가 2005년 발표한 다이옥신 배출량은 독성등가환산농도(TEQ)로 1246.6g이다. 일본의 2004년 배출량은 363g이다. 사람의 생식, 발달, 면역체계 등에 악영향을 끼치며 암을 일으키기도 한다. 다이옥신은 기름에만 녹기 때문에 지방질에 축적된다. 태아와 어린이는 성인보다 민감하며, 몸속에 오래 머물기 때문에 임신을 앞둔 여성도 주의해야 한다. 미국 환경보호청은 다이옥신의 발암위험이 1천명 당 1명꼴이며, 일반인의 체내에 악영향을 일으킬 수준에 근접한 다이옥신이 축적된 것으로 보고 있다.

영국, ‘임신중 주 2회 이상 청어 등 먹지말라’

유럽식품안전기구(EFSA)는 2005년 임신부나 임신을 앞둔 여성이라도 1주일에 한 두 번 지방산이 많은 생선을 먹는 것은 문제가 없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다이옥신 오염이 심한 발트해의 청어와 연어는 1주에 한 번 이상 먹는 것을 조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영국 식품표준기구는 생선은 임신부의 건강과 아이 발달에 좋다고 전제하면서도 상어, 황새치, 새치 등은 이들이 먹지 말아야 하며, 참치는 한 주에 두 번 또는 중간 크기 참치통조림 4개로 제한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임신중이라면 1주일에 두번 이상 지방이 많은 연어, 송어, 고등어, 청어 등은 먹지 않아야 다이옥신 독성을 피할 수 있다고 밝혔다. 미국환경보호청(EPA)도 주로 수은 위험을 들어 임신부와 유아는 상어, 황새치, 왕고등어, 옥돔을 먹지 않도록 권고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지금 당장 기후 행동”
한겨레와 함께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1.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2.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3.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4.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5.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