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민주화운동 등 1970∼80년대 한국의 민주화운동을 세계에 알렸던 파울 슈나이스 목사가 11일 새벽 독일에서 소천했다. 향년 89.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이날 슈나이스 목사의 별세 소식을 전하며 “엄혹했던 군사정부 시절 많은 어려움을 감수하면서도 꾸준히 한국의 민주화운동을 지원하고 세계에 알려낸 인물로, 한국의 민주주의를 위한 그의 헌신에 감사하며 평화와 정의는 함께해야 한다던 그의 뜻을 이어나가겠다”고 밝혔다.
1933년 중국에서 선교사의 아들로 태어난 슈나이스 목사는 독일에서 신학을 공부한 뒤 1958년부터 일본에서 선교사로 일했다. 1970년부터는 독일 선교단체인 동아시아선교회 소속으로 활동하며 한국과 일본을 오갔다.
그는 유신 시절부터 한국의 민주화운동을 꾸준히 국외에 알려왔다. 1974년 민청학련 사건, 1976년 3·1 민주구국선언 관련 재판을 빠짐없이 참관했다. 국외 체류 인사와 국내 민주화운동 인사 사이의 다리를 놓는 노릇도 했다. 1975년 일본 시사월간지 <세카이>에 ‘TK’(티케이)생이라는 필명으로 칼럼 ‘한국으로부터 통신’ 집필을 주도한 지명관 도쿄여대 교수에게 한국의 자료를 비밀리에 전달했다.
슈나이스 목사는 1978년 12월 한국 정부에 의해 홍콩으로 강제 출국당했다. 이후 입국이 금지된 그 대신 일본인 부인 기요코 사쿠라이와 자녀가 서울을 오갔다. 1980년 5·18 때 서울에서 군부대 이동을 목격했다는 부인의 말을 전해들은 슈나이스 목사는 독일 NDR(엔디아르)방송 도쿄지국을 찾아가 영화 <택시운전사>의 실제 모델인 위르겐 힌츠페터 기자에게 광주 취재를 요청했다. 힌츠페터는 촬영한 5·18 영상 원본을 독일에 보내고 방송용 베타테이프 사본을 슈나이스 목사에게 전달했다. 이 사본이 국제앰네스티 등에 보내지면서 5·18이 전 세계에 알려지게 됐다.
슈나이스 목사와 가족은 200회 넘게 한국을 오가며 한국의 민주화운동과 관련한 자료 수집과 저서 활동을 이어갔고, 관련 자료를 한국 정부에 기증한 공로로 부인과 함께 2011년 오월어머니상을 수상했다. 지난해에는
5·18기념재단으로부터 공로상을, 정부로부터 민주주의 발전 유공 부문 국민포장을 받았다.
파울 슈나이스(오른쪽) 목사와 부인 기요코 사쿠라이.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제공
이우연 기자
azar@hani.co.kr
▶바로가기:
[길을 찾아서] 슈나이스 목사 추방되자 자녀가 ‘정보 운반’
https://www.hani.co.kr/arti/society/schooling/581998.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