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백여 시민단체, 언론법 규탄‘민주주의를 위한 시민네트워크 준비위원회’에 참가한 이원기 한국대학생연합 의장(서 있는 이 중 왼쪽부터)과 최헌국 ‘예수살기 서울·경기모임’ 목사가 23일 오후 서울 중구 정동 프란치스코교육회관에서 ‘한나라당 의회폭거 규탄 비상시국선언’을 발표하고 있다. 준비위원회에는 500여개 시민단체가 모인 민생민주국민회의와 100여개 풀뿌리 시민모임 등이 참여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김형오·이윤성·안상수 의원 등 ‘언론악법 9적’ 규정

한나라당 의원들의 언론관련법 강행처리에 반발해 언론·시민·사회단체들이 언론법 무효화를 위한 공동투쟁에 본격 돌입했다.
500여개의 시민단체가 모인 ‘민생민주국민회의’와, 100여개의 풀뿌리 시민모임 등이 결성한 ‘민주주의를 위한 시민네트워크 준비위원회’는 23일 서울 정동 프란치스코교육회관에서 ‘한나라당 의회폭거 규탄 비상시국회의’를 열고 “한나라당이 강행처리한 ‘언론악법’은 원천무효”라고 의견을 모았다.
[하니뉴스] 6백여 시민단체, 언론법 규탄
비상시국회의에 참석한 200여명의 각계 대표자들은 기자회견문을 내어 “이명박 대통령과 한나라당은 일사부재의 원칙을 어기고, 대리투표와 같은 불법을 통해 언론악법을 날치기 처리했다”며 “이로써 한국 민주주의와 의회정치는 또 한 번 죽음을 맞았다”고 밝혔다. 이들은 강행처리를 주도한 김형오 국회의장과 이윤성 국회부의장 그리고 한나라당의 이상득·안상수·고흥길·나경원·진성호·강승규·신지호 의원을 ‘언론악법 9적’으로 규정했다.
김민영 참여연대 사무처장은 “25일 저녁 7시 서울시청 앞 서울광장에서 ‘언론악법 원천무효 범국민 문화제’를 개최하고, 범국민 서명운동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쳐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강기갑 대표와 권영길·이정희 의원 등 민주노동당 의원과 당직자 30여명은 이날 서울 명동에서 ‘언론악법 날치기 원천무효 거리홍보전’을 펼쳤다.
파업 사흘째를 맞은 전국언론노조(위원장 최상재)는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1500여명(경찰 추산 100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한나라당 불법 대리투표·재투표 원천무효 선포대회’를 열었다. 언론노조는 이날 밤에는 전날에 이어 촛불문화제를 국회 앞에서 개최했다.
한편, 노동부는 언론노조의 파업을 불법파업으로 규정하고 철회를 요구했다. 노동부는 이날 브리핑에서 “언론관련법 개정 문제는 근로조건의 결정에 관한 사항이 아니고, 사용자의 처분 권한 밖의 일”이라며 “이번 파업은 노동관계법의 보호를 받을 수 없어서 파업에 참여한 노조와 조합원들은 민형사상 처벌과 징계를 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정유경 남종영 기자 edge@hani.co.kr
한편, 노동부는 언론노조의 파업을 불법파업으로 규정하고 철회를 요구했다. 노동부는 이날 브리핑에서 “언론관련법 개정 문제는 근로조건의 결정에 관한 사항이 아니고, 사용자의 처분 권한 밖의 일”이라며 “이번 파업은 노동관계법의 보호를 받을 수 없어서 파업에 참여한 노조와 조합원들은 민형사상 처벌과 징계를 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정유경 남종영 기자 edg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