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한지에 찍힌 내면 풍경

등록 2008-11-26 20:34수정 2008-11-29 14:11

〈wind 07-85〉.
〈wind 07-85〉.
[매거진 esc] 한국의 사진가들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소장 작가 이정진의 사막과 고독

커다란 창이다. 한쪽 벽을 가득 메운 창 안에는 마치 고화질 티브이 화면에서 보는 것 같은 세밀한 풍경이 영화처럼 펼쳐진다. 오랜만에 대지를 찾은 햇살에 감동하는 산자락과 그 산자락에 기대어 사는 이들의 붉은 지붕들이 보인다. 사진가 이정진(47)의 서울 종로구 구기동 작업실에서 만난 아름다운 풍광은 그의 사진들처럼 그의 손을 거쳐 세상에서 찾을 수 없는 낯선 곳의 풍경인 양 착각을 불러일으켰다.

‘뉴욕, 반영, 1989’, ‘미국 사막’, ‘윈드’, ‘탑’, ‘길 위에서’(사북탄광) 등. 피사체가 되었던 그곳을 어떤 용감한 여행객이 찾더라도 사진에서 드러난 형체들은 결코 볼 수 없다. 이유는 오로지 그 안에 담긴 것은 ‘풍경’이 아니라 ‘이정진’이기 때문이다.

카메라에 푹 빠졌던 공예과 학생

스무살 처음 카메라를 잡은 뒤 지금까지 그가 찾아다닌 것은 자신의 내면이었다. 그 내면은 복잡하고 때로 폭압적인 현대문명에 지치고 시달리는 우리들에게 뭉클한 흐느낌과 여명과 같은 용기를 준다. 그 긴 여정에 카메라는 훌륭한 동반자였다.

미대 공예학과 학생이었던 그는 도자기보다는 카메라에 폭 빠졌었다. 그에게 카메라는 “바깥에 있는 것을 재단해서 그것을 통해 자기 이야기를 풀어낼 수 있는 도구”이자 “낯선 곳을 체험하는 즐거움을 주는 동적인 도구”였다.



〈wind 07-69〉.
〈wind 07-69〉.
또래에 비해 재능이 많았던 이정진은 대학 4학년 때 이미 대형 사진 전시를 두 번 하고 파리 국제사진대전에 한국 대표 작가로 선정되기도 하는 등 두각을 나타냈다.

졸업 후 <뿌리 깊은 나무>의 사진기자로 입사해서 밥벌이를 시작했지만 ‘어사인먼트’(일의 할당)를 받아 자신의 주관보다는 객관적인 사실을 드러내야 하는 기자 일에 큰 회의를 느꼈다.

27살 시퍼런 어린 사진가는 사진집 <먼 섬 외딴집>(울릉도 알봉분지에 사는 심마니 채씨 노인 부부을 기록한 다큐멘터리 사진집. 1987)을 발행하고 미국 뉴욕으로 떠났다. 더 큰 세계에서 자신을 찾기 위해 바람처럼 떠난 여행길이었다. 3개월 뒤 그는 뉴욕의 가난한 예술가가 되었다. “뉴욕의 에너지와 자유로운 분위기, 공기에 먼저 반했고 무엇이든 도전할 수 있겠다는 막연한 느낌이 들었거든요.”

뉴욕대학교 사진과 대학원에서 공부를 하면서 그는 욕망과 열정에 충실한 청춘이었다. “뉴욕에서 작가로서 어떻게 성공할지, 사람들에게 나(내 작품)는 어떻게 보일까” 하고 고민하면서 갤러리의 큐레이터와 스승들을 찾아 뛰어다녔다. 랠프 깁슨, 조지 로저 같은 당대 사진대가들과 교류는 배움에 대한 목마름을 해결해주었지만 사진가 ‘이정진’을 만들지는 못했다.


〈on road 00-08〉.
〈on road 00-08〉.
29살에 이정진은 로버트 프랭크(자본주의 미국의 어두운 현실을 사진으로 표현한 세계적인 사진가)를 만났다. “가난한 사람들과 실패한 사람들에 대한 강한 연민을 가진” 로버트 프랭크에게서 “작가적인 진실이 소박하게 묻어 있는 것이” 어떤 것인지 배웠다. “좋은 작가란 바깥 세계보다는 내면의 세계에 집중해야 한다는 사실과 작가의 작업은 자신의 라이프 타임을 통해 ‘숨’이 남겨져 있어야 한다는 걸 뼈저리게 느꼈지요.” 이전과는 다른 ‘이정진’의 세계가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이씨는 인화지 대신 한지를 이용한 새로운 사진작업을 시작했다. 형식을 파괴해서 더 자유로운 세계로 한발 내디뎠다. 긁으면 보풀보풀 종이 질감이 일어나는 한지에 리퀴드 라이트(Liquid Light)라는 감광유제를 발라 사진을 만들었다. 아무도 생각할 수 없었던 독창적인 사진 작업이다. 1991년부터 그는 사막을 한지에 ‘찍어 넣기’ 시작했다. “사막이란 공간은 인간에게 여러 가지 내면의 체험을 하게 하는 곳이거든요.”


왼쪽부터 〈A lonely cabin in a far Island 1987_1〉, 〈the american desert 1991 1-23〉, 〈Pagodas 98-03〉.(※ 사진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로 보실 수 있습니다)
일련의 작업을 통해 드러난 세계는 버려진 사막의 한 조각이거나 우리네 인생사처럼 구부러진 선인장들이었다. 에인절 애덤스의 사진 속의 등장하는 웅장한 사막이 아니다. 보는 이들은 그 사진 안에 휙 하고 부는 스산한 바람을 맞고 자신이 미처 알지 못했던 심장의 밑바닥에 찢겨져 나간 고독의 존재를 깨닫는다. 이 작품들은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소장되고 이때부터 이씨는 한국 작가 중에 가장 많은 작품이 미국의 유명한 갤러리에 소장되는 작가가 됐다. 외국 갤러리 소장작품만 30여점에 이른다. 뉴욕과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유명 화랑인 ‘페이스윌덴스타인맥길화랑’의 전속 작가로도 활동했다.

그는 35살 결혼과 동시에 한국에 돌아와서는 ‘탑’을 찍기 시작했다. 눈이 많이 내린 수덕사에서 소박하게 생긴 삼층 석탑을 첫사랑처럼 만나버린 것이 계기가 되었다. 그가 만든 ‘탑’들은 빛바랜 역사가 그대로 묻어 있는 듯 노랗고 위아래로 대칭된 형상은 영원히 끝나지 않을 인간사 흥망성쇠의 슬픈 여운이 배어 있다.

내년 뉴욕 전시회 열고 다시 여행 시작할 터


사진 박미향 기자
사진 박미향 기자
젊은 날 사막에서 그는 “익숙한 것이 무의미하거나 별거 아니다”란 느낌을 받았다고 말한다. 지금 익숙한 것들로부터 다시 탈출을 감행하려고 한다. 오는 12월23일이면 그는 한국에 없다. 내년 3월 뉴욕에서 열리는 전시회와 아파추어(apature. 세계적인 사진전문 출판사) 사진집 발행을 마치면 한동안 사진을 찍지 않고 자신의 내면을 찾아 떠나는 여행을 시작한다. “작가는 심심하고 부족해야 한다. 완전히 비워져야 새로운 것들이 채워질 수 있다”는 게 그 이유. 말끔히 비워진 이정진이 만들 세상이 한없이 궁금해진다. 사람은 나이가 들면 자신을 타인들에게 속일 수가 없다. 타인들에게 고스란히 드러나는 이정진은 아련한 첫사랑처럼 아프고 처연하게 아름답다.

글 박미향 기자 mh@hani.co.kr·작품 사진 이정진

[한겨레 주요기사]
▶ 당정, 비정규직 계약기간 2년→4년 연장 추진
▶ 마음 급한 대통령 “참모들, 제대로 못합니까”
▶ <강안남자> 작가 이원호 “난 좌판 소설가…쓰레기 거름이라도 되고파”
▶ 이소룡, 그는 원래 센 인간이었다
▶ 거짓발언이 무죄라고?…대선폭로전 ‘판결이 헷갈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2.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3.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4.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5.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