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하지 않기 위해서 하는 것보다 무언가를 간절하게 하고 싶어서 하는 것이야말로 성공할 가능성도 높고 훨씬 즐겁다. 예를 들면 귀농도 도시의 삶이 싫어서 선택하는 것보다 농촌에서의 새로운 삶을 즐기고 싶어 시작하면 성공 가능성이 높다. 요즘 `네거티브 운동에서 포지티브 운동으로'라는 말을 많이 하...
사람은 왜 사는것일까? 공자는 어진 사람이 되기 위해 산다고 했고, 석가모니는 세상의 모든 고통에서 벗어나 해탈하기 위해서 산다고 했다. 또한 예수는 하느님과 이웃을 사랑하기 위해 산다고 했다. 그렇다면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뭐라고 했을까? 그는 인간은 행복해지기 위해 산다고 대답했다. ...
플라톤은 철학의 가장 궁극적인 목표를 '훌륭한 삶'이라 생각했다. 인간은 누구나 잘 살기를 바란다. 그러나 우리가 진정으로 잘 살기를 원한다면 무엇을 해야 하는가? 플라톤은 소크라테스를 통해 유명해진 델포이 신탁의 명제 '너 자신을 알라'를 출발점으로 삼는다. 우리는 자신에 대한 앎을 통해 자신을 지배할...
문명이란 무엇인가? 그리스 말로 문면화된 인간이라고 할 때, `문명화된' 이라는 말은 `길들여진', `교육을 받은', 혹은 `접붙인'이라는 뜻이다. 문명화된 인간, 다시 말해서 접붙인 인간이란 좀 더 영양이 풍부하고 좀 더 맛있는 열매를 맺을 줄 아는 인간을 말한다. 따라서 문명이란 새로운 방법을 개발해서 생...
우리는 어릴 때부터 사랑해야 한다고 배운다. 마치 사랑이 인스턴트식품이나 진공 포장 상품처럼, 슈퍼마켓에서 살 수 있는 상품인 것처럼 사랑해야 한다는 개념은 단지 허위와 위선을 낳을 뿐이다. 왜냐하면 사랑은 강요에 의해 성장되는 것이 아니라, 자유로운 분위기에서만 자라나는 것이기 때문이다. 부모...
오늘날 모든 국가는 좋든 싫든 두 개의 길로 찢어져 있다. 국가만 그런 것이 아니라 모든 개개인도 마찬가지다. 당신은 이렇게 말할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볼셰비키도 파시스트도 되고 싶지 않다. 그 중간 길은 어디로 갔는가?" 중도(中道)는 사라지고 없다. 역사적으로 결정적인 시기에는 중도가 실종...
마음은 본래 생각을 위한 양식이나 해결해야 할 문제를 필요로 한다. 어딘가에 몰두하지 않으면 마음은 변덕을 부리고 배회하기 시작한다. 더 많이 배회할수록 더 많이 혼란스러워진다. 어떤 마음은 수천 년 전의 과거를 배회하고 어떤 마음은 수백 년 앞의 미래를 배회한다. 어떤 마음은 너무 풀어져 오래 전에 잊...
다시, 어머니가 쓴 시 고광헌 80년대 어느날 남산터널 옆 지하실에서 나온 날 "자네, 에미가 산에 간 큰성 살릴라고 십삼년간 감악소 담벼락에 뿌린 눈물이 몇동이나 되는 줄 아는가 ......" 어머니, 손을 꼭 잡아주셨다. 창비시선 339 고광헌 시집 <시간은 무...
1. 인생이란 원래 공평하지 못하다. 그런현실에 대하여 불평할 생각하지 말고 받아들여라. 2. 세상에 너희들 한테 기대하는 것은 네 스스로 만족하다고 느끼기 전에 무엇인가를 성취해서 보여줄 것을 기다리고 있다. 3.대학교육을 받지않은 상태에서 연봉 4만달러가 될것이라고는 상상하지마라. 4.학교...
"나는 몸과 별개인 내면의 영혼이다. 영혼이 지고의 존재인 신과 연결되면 `육체적 힘'이 아니라 `지고의 힘'이 `나'라는 도구를 통해 나타난다. `31가지 수행,수도,명상을 통해 행복을 찾은 사람들의 이야기' <나를 찾아 떠나는 여행>(조현 지음,한겨레출판 펴냄)에서
생사마저도 자유로 넘나든 수행의 궁극에 이르러서도, 내세울 `나'조차 없었던 대자유인들. 오직 내 몸뚱이와 내 감정과 내 소유만 중시하여 서로 갈등하는 세상에서, `나'의 부와 권력과 명예와 지식과 권위를 쟁취하려 밖으로 밖으로만 내달리는 시대에 이런 `무아'적 삶의 의미는 무엇일까. 벽초 선사는 대찰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