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한설야의 자부심의 근거

등록 2006-02-16 18:28수정 2011-12-13 18:03

김윤식/문학평론가·명지대 석좌교수
김윤식/문학평론가·명지대 석좌교수
김윤식 교수의 문학산책
우리 근대문학사의 연속성을 문제삼을진댄 가로 막아서는 두 가지 공간에 마주치게 마련이오. 이중어글쓰기 공간(1942. 10~1945. 8)이 그 하나. 다른 하나는 이른바 해방 공간(1945. 8~1948. 8). 국민국가의 연속성 문제에 비중을 크게 두는 시선에서 보면 앞의 공간이야말로 처치곤란한 대상이 아닐 수 없소. 암흑기라 하여 건너뛰어 버리기엔 이 공간에서의 글쓰기의 규모나 분량, 그 질적인 차이의 다양함이 강력히 저항해 오기 때문. 그 저항은 국민국가에 대한 수압이 낮아짐에 따라 증대되기 마련. 게다가 원리적으로 말해 그것은 글쓰기의 본질에 관련된 사항이니까. 이 공간에서 일본어로 글쓰기에 임한 바 있고, 화북 태항산 조선의용군 진지로 탈출했다가 해방 직후 귀국한 김사량(1914~1950)을 두고 이태준이 크게 비난했을 때, 김사량의 답변은 이러했소. “문화인이란 최저의 저항선에서 이보 퇴각, 일보 전진하면서 싸우는 것이 임무라고 생각합니다”(‘문학자의 자기비판’, <인민예술> 2호)라고. 말을 바꾸면 무엇을 어떻게 썼느냐가 논의될 문제라는 것. 또 말을 바꾸면, 조국 광복을 믿으며 붓을 표면에서는 꺾었으나, 골방 속으로 들어가 계속 글을 쓴 경우야말로 탈모할 대상이라는 것. 만일 그런 문학자가 있다면 손들고 나와 보라는 것. 그 앞에라면 자기는 무릎을 꿇겠다는 것. 이런 가파른 분위기를 알아챈 사회자 이원조는 “김사량 씨와 같이 연안으로 간 분도 있고 상인으로 혹은 광산으로 들어간 분도 있었지요”라고 얼버무림으로써 ‘일동웃음’으로 넘어서고 있습니다.

친일문학을 논의할 적이면 나는 이 장면을 자주 상기하오. 김사량을 공격한 이태준, 그는 어째서 일본어로 소설 <제1호선의 삽화>(1944. 9)를 썼던가. 한편 일본어로 거침없이 소설을 썼던 한설야(1901~1976)는 이렇게 말하고 있었소. “일본어로 쓴 소설의 내용에 있어서는 아무런 양심의 가책도 안 될지라도 일본어로 붓을 들었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자기반성을 하지 않으면 안 되리라 생각합니다”라고. 대체 이렇게 말하는 한설야의 ‘거침없음’이란 무엇인가. 이 물음이 한동안 한설야 연구에서 내가 몰두한 화두였소.

한설야의 일본어 소설은 다음 네 단계로 살펴지오.

(A) <합숙소의 밤>(1927), <검은 세계>(1927) 등 단편. 연도를 보면 금방 알 수 있듯 카프문학 초창기에 이미 그는 일어로 소설을 썼소. 그런데 기묘하게도 이들 작품은 조선어로도 동시에 썼소. ‘나는 조선어로도 일본어로도 쓸 수 있다’라는 자부심의 소산이 아니라면 어찌 이런 일이 벌어졌으랴. 당초부터 그는 이중어글쓰기에 나아갔음이 판명되오.

(B) <하얀 개간지>(<문학안내>, 일본문예지, 1937. 2). 북조선 지역 일본인 입식자(入植者)의 횡포 속에 놓인 조선 청년의 대응방식을 다룬 작품.

(C) 장편 <대륙>(<국민신보>, 1939). 일본 청년 오야마(大山)와 동급생이자 진작부터 아비를 따라 간도에 와서 개척민 선봉으로 있는 일본 청년 하야시(林)를 등장시켜 만주 식민지화 과정을 펼쳐 보이고 있는 <대륙>은 그야말로 거침이 없지요. 관동군을 믿고 날뛰는 일본 청년 두 사람의 무협지라고나 할까요.

(D) <혈(血)>(<국민문학>, 1942. 1)과 <영(影)>(<국민문학>, 1942. 12). 일본 유학에서 돌아온 조선인 화가와 일본인 동창 여자의 사랑을 다룬 것이 <혈>이며, <영> 역시 젊은 날 유학에서 돌아온 조선 청년이 일본인 처녀를 그리워한 사연을 다룬 것. 그러니까 가해민족과 피해민족 사이의 사랑이란 실상 이루어질 수 없음을 안타깝게 회고한 작품이지요.

이상과 같은 검토에서 내가 알아낼 수 있는 것은 다음 두 가지. ‘이중어글쓰기 공간’과는 무관한 자리에 한설야의 글쓰기가 놓였다는 점이 그 하나. ‘나는 일본어로도 쓸 수 있다’는 점이야말로 한설야 글쓰기의 특징이자 자존심의 발로인 셈. 다른 하나는, 이 점이 중요한데, 만주 및 중국을 다룬 일본 작가들의 수준을 비판하기. 주지하는바 당시 일본 저널리즘 및 문단이 중국 대륙 경영이라는 국책사업에 크게 들려 있었소. <보리와 병정>(히노 아시헤이(火野葦平), 1938), <황진>(우에다 히로시(上田廣), 1938) 등으로 대표되는 일본작가들이 쓴 대륙문학이란, 한설야의 시선에서 보면 매우 부실하다는 것. 어째서? 그들이 중국 사정에 어둡기 때문이라는 것(한설야, <대륙문학 따위>, <경성일보>, 1940. 8). 뿐만이 아니오. 중국 예단(藝壇)의 고수 5명을 인터뷰까지 한 한설야였소(<연경 예단 방문기>, <매일신보>, 1940. 7). 요컨대 자기만큼 중국을 잘 아는 문인이 없다는 것. 그가 형을 따라 일찍이 중국 땅에서 헤맨 바 있음은 만주 배경의 초기작 <합숙소의 밤>에서도 알 수 있지요. 한설야의 일본어글쓰기엔 이처럼 남다른 자부심이 작동되어 있었소. 이 자부심과 자존심도, 해방 공간에서는 거침없이 청산하겠다는 것. 여기에 또 다른 그의 자부심이 읽혀지오.

북한문학 60년을 문제삼을 때 그 전반부는 한설야가 주도했지요. 주체문학론 이후 그는 숙청되었으나, 훗날 복권되었다 하오. 듣건대 혁명열사 묘역에 그도 수용되었다 하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