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출세간을 꿈꾸는 중년의 잠 못 이루는 밤

등록 2008-02-29 20:28

출세간을 꿈꾸는 중년의 잠 못 이루는 밤
출세간을 꿈꾸는 중년의 잠 못 이루는 밤
〈거룩한 허기〉
전동균 지음/랜덤하우스·6000원

인생이 헛껍데기 같아 출가 꿈꾸다가도
딸들이 눈에 밟혀 주저앉곤 하던 날들
시인은 세속에서 출가하기를 선택하네

조계종이 출가 연령 상한을 50살에서 40살로 낮추었던 2002년 가을, 막연한 상실감에 잠 못 들고 밤새 뒤척이던 중년들이 있었다. 전동균(46)씨도 그중 한 명이 아니었을까. 그의 세 번째 시집 〈거룩한 허기〉에서는 끈질긴 출가에의 충동과 그것을 애써 억누르려는 심사가 시종 길항한다.

“마흔 넘어서/ 눈이 새까만 계집아이 둘 옆에 누이고서도/ 출가의 꿈을 꾸며/ 몸 뒤척이는/ 몹쓸 날들”(〈국도변〉 부분)

“먼 길을 돌아 왔구나/ 어느새 젖가슴 봉긋한 아이의 손을/ 부적처럼 꼭 쥐고/ 왔구나”(〈앵두나무 아래 중얼거림〉 부분)

딸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은밀히 출가를 꿈꾸며, 딸들 때문에 종내는 자신을 주질러 앉힌다. ‘불구하고’와 ‘때문에’ 사이에서 시인의 회한은 쌓여 가고 그 회한의 수미산이 시집 〈거룩한 허기〉를 이루었다. 그런 점에서 시집은 차마 여의지 못한 인연의 기록이라 할 법하다.


사람은 왜 출가를 꿈꾸는 것일까. “살아도 살아도 오늘이 어제 같은”(〈만장봉〉) 날들이 이어지거나, “(내가) 나를 믿지 못하고/ 이 세상을 믿지 못하고/ 내 영과 혼은 자꾸 나를 떠나려고”(〈절〉) 할 때, “몸은 마음을 멀리하고/ 마음은 또 저를 용서하지 못하는/ 마흔셋, 병중(病中)”(〈초추(初秋)〉)에서 사람은 출세간을 그리워한다. 산다는 게 본질과는 무관한 헛껍데기로 여겨질 때, 생로병사와 윤회전생의 감옥에서 한번쯤 벗어나고 싶어질 때 “내설악 절벽에 굴을 파고/ 십 년 묵언정진에 들어갔다는/ 어떤 이”(〈초추〉)가 문득 부러워진다.

세속에서 출세간을 넘보는 시인에게 ‘저쪽’에서는 끊임없이 신호를 보낸다. “시월 아침, 문틈으로 스며드는/ 빗방울처럼/ 작은 씨르래기 한 마리”(〈씨르래기에게 말을 건네다〉), 혹은 인왕산 쪽에서 흘러와 창가의 풍경(風磬)을 흔드는 서늘한 바람줄기(〈바람의 눈을 들여다보며〉)로 몸을 바꾸어 방문하는 “이것들이 혹/ 사랑이나 죽음이나 신 같은 것들의 숨결이거나/ 그림자는 아닐까,”(〈까치발 세우고〉) 시인은 마음 설렌다.

그러나 출가의 길이 뻥 뚫린 고속도로인 것은 아니다. 좁고 복잡한데다 사방에 장애물이 널려 있는 최악의 도로사정이 출가를 꾀하는 자의 앞을 가로막는다. 시인은 결국 길을 나서기를 포기한다.

“나는 신발 끈을 묶는 척 돌아서서/ 눈물 훔치고는/ 이빨을 꽉 물고 내려왔네// 빈방에 속옷 빨래들이 널려 있는/ 사람들의 세상으로”(〈얼음폭포 근처〉 부분)

그렇다고 해서 그가 세속에 안주한 것은 아니다. 그에게는 어쩌면 출가보다도 더 어려운 길이 기다리고 있다. 세속에서 출가하기, 혹은 제 안에 절을 들이기가 그 길의 이름이다.

“달빛 환한 아파트 베란다로 나가/ 회색 벙거지를 쓰고/ 합장하듯 두 손을 모아본다/ 얼쑤, 어깨춤도 춰본다”(〈벙거지를 쓰고〉 부분)

“내 속의 어떤 절을 향해 무릎 꿇고/ 공양을 올린다”(〈절〉 부분)

세속에서 출가하기란 합장하고 절을 올리는 형식만으로 가능한 것은 아니다. “오늘도 밥상머리에서 마주하는/ 숟가락 하나, 밥 한 그릇/ 영원히 깨뜨려야 할/ 나의 은산철벽”(〈은산철벽〉)을 응시하며 비루한 나날을 살아내는 일이야말로 일상의 구법행이라 할 수 있지 않겠는가. 그러니 진리는 산중에 있고 세속은 다만 타락의 처소라고는 말하지 말자. 조계종은 지난 2005년 출가 상한 연령을 50살로 되돌렸다.

글 최재봉 문학전문기자 bong@hani.co.kr,

사진 김경호 기자 jija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