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책&생각

LST 체험과 분단 문학

등록 2010-05-28 19:50수정 2011-12-13 16:20

김윤식 문학평론가·서울대 명예교수
김윤식 문학평론가·서울대 명예교수
김윤식의 문학산책 /
불기 2549년 부처님 오신 날 오후 조계사에 갔소. 긴 줄을 서서 참배하고 나오자, 놀라워라, 마당 가득 노래 한마당. 더욱 놀라운 것은 마이크를 쥔 가수의 손짓에 따라 사부대중이 손뼉 치며 목 놓아 합창하고 있지 않겠소. “굳세어라! 금순아!”라고. “눈보라가 휘날리는 바람찬 흥남 부두에….” 바로 현인 선생의 그 노래. 더욱 놀란 것은 따로 있소. 부처님께서 저 노래를 좋아하심을 어째서 저들은 대번에 알아차렸을까.

귀가하여 밤늦게까지 소설 한 편을 읽었소. 김동리의 <흥남 철수>(1955)가 그것. 중공군 개입으로 국군 및 유엔군의 후퇴가 결정되어 수도 서울 시민 대피령과 흥남 철수가 동시에 발표된 것은 1950년 12월24일. 이 흥남 교두보 작전은 한·미 장병 10만2천명, 민간인 9만8천명을 탈출시킨 것으로, 전세계가 주시하는 자유 전선의 아슬아슬한 건널목이었던 것.

바로 이 결정적 장면에 창작의 모티프를 둔 점이야말로 대가 김동리의 이른바 착상의 패기가 아니었을까. 그렇지만 착상의 패기만으로 작품이 될 이치가 없는 법. 이를 어떻게 처리했을까. 종군시인 철의 눈으로 윤 노인과 두 딸의 비극적 장면을 그려 냈소. 큰딸은 간질병 환자로 설정됐소. 가까스로 승선표를 얻어낸 철이 윤 노인과 두 딸을 함께 승선시키려는 찰나, 큰딸의 발작이 일어났소. 철이 큰딸을 들쳐 업었을 때, 지친 윤 노인은 바다에 추락했고 작은딸은 아비를 구하려 바다에 뛰어들었소. 그 순간 배의 문이 닫혔소. 큰딸만이 구출됨으로써 이 작품의 휴머니즘은 무겁게 닫히오.

이 작품에서 주목되는 것은 피난민 후송선의 명칭이오. 작가는 아무런 주석도 없이 이렇게 세 번 배의 명칭을 적었소. “엘·에스·티”라고.

당시로서는 엘·에스·티(탱크를 위한 상륙용 선박, Landing Ship for Tanks)가 웬만한 군사용어와 함께 상식화되지 않았을까 싶소. 그렇지만 그것이 이 나라 분단문학의 문학사적 문맥 속에서 디엔에이(DNA)로 각인되었음은 다음 두 걸출한 작가의 운명으로 인해서이오.

<광장>(1960)의 작가 최인훈과 <판문점>(1961)의 이호철이 그들이오. 원산 고등중학 1년생 최인훈이 가족과 함께 흥남부두에서 엘·에스·티를 탄 것은 1950년 12월24일 이후로 추정되오. 이 엘·에스·티 체험이 최인훈 문학의 원점이었다면, 이와 같은 의미에서 또 한 사람의 작가로 이호철을 꼽지 않을 수 없소. 원산 고등중학 3년생인 19세의 이호철이 엘·에스·티를 타고 단신으로 부산 제1부두에 닿은 것은 1950년 12월9일 아침. 이때 주목되는 것은 ‘단신’이라는 점이 아닐 수 없소. 체호프 전집과 ‘단신’ 월남의 이호철로 그의 삶과 문학은 가늠되오.

“12월 초 단신으로 엘에스티를 타고 월남함”(연보)이라 그는 표 나게 적었소. 이호철에게 북쪽의 부모란 항시 변치 않는 북두칠성이 아니었을까. 그의 머리는 늘 그쪽을 향할 수밖에. 이것이 밤의 사상이오. 데뷔작 <탈향>(1955)에서 보듯 그는 남쪽에 뿌리내리기에 필사적이었을 수밖에. 이것이 대낮의 논리. 분단문학의 참뜻이 이 속에 있소. 유형, 또는 망명의 문학으로 말해지는 최인훈과의 변별점도 이에서 오는 것이 아닐까.

김윤식 문학평론가·서울대 명예교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