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천안함 프로젝트’ 상영 반대의 역설

등록 2013-09-12 19:48수정 2015-05-20 14:59

조원희 영화감독
조원희 영화감독
[문화‘랑’]조원희의 영화 그리고 농담
1999년 이집트에서는 영화 <매트릭스>가 개봉되자 평론가들의 강한 반발이 일어났다. 이 영화가 ‘시온주의를 고취시킨다’며 상영 금지를 촉구한 것이다. 결국 2003년 만들어진 속편 <매트릭스: 리로디드>는 이집트에서 상영 금지 처분을 받았다. 율 브리너 주연의 영화 <왕과 나>는 시암 시대 타이 왕가를 배경으로 한 뮤지컬 영화다. 같은 원작으로 주윤발 주연의 <애나 앤드 킹>도 만들어졌다. 이 두 편의 영화는 세계적으로 유명하지만 타이에서는 상영 금지가 됐다. 타이 왕실의 명예를 훼손했다는 이유다. 타이에서는 이 영화의 디브이디(DVD)를 소지하면 벌금형에 처해지기도 한다. <인디아나 존스> 시리즈의 2편인 <인디아나 존스: 죽음의 사원> 역시 인도 개봉 당시 수많은 인도인의 반대에 부딪혔다. 인도 사람들을 ‘원숭이 골 요리나 먹는 사람들’로 묘사했다는 점을 들어 상영을 반대한 것이다. <다빈치 코드>는 전세계의 가톨릭과 개신교 단체들로부터 탄압을 받았던 영화다. 한국에서는 한국기독교총연합회에서 시위를 벌이며 이 영화의 개봉을 저지하려 한 바 있다. 이렇게 어떤 영화에 대한 ‘개인의 판단’을 제한하려는 노력들은 참으로 미개해 보인다.

조금 더 심각한 경우로는 이런 일도 있었다. 레마르크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 <서부전선 이상 없다>가 개봉된 1930년의 독일에서는 해당 영화가 상영중인 극장에 연막탄을 던지고 쥐를 푸는 등의 행동을 하는 집단이 등장했다. 그들의 논리는 이 영화가 ‘유대인들의 독일 장악 음모’가 담겨 있다는 것이었다. 그 집단은 바로 나치였다. 나치는 이 영화의 상영을 반대하는 운동으로 세력을 확장해 결국 정권까지 잡았다. 이 사건이 오늘 하고 싶은 이야기와 가장 닮아 있는 부분이다.

‘보수 단체’들의 협박 때문에 멀티플렉스 체인으로부터 상영 중지 통보를 받은 영화 <천안함 프로젝트>에 대한 이야기다. 어떤 영화가 종교적 이유로, 정치적 이유, 문화적 이유로 상영 자체를 저지당하는 것은 때로 미개하고 우스워 보이기도 하지만 어떤 경우는 공포스런 일의 전조이기도 하다.

아이러니한 사실은 이런 ‘상영 반대 운동’은 때로 그 영화의 흥행에 도움을 준다는 점이다. 예의 <다빈치 코드>는 비기독교도들에게 “종교인들이 저럴 정도면 뭔가 있다”는 인식을 심어줘 예상을 넘는 흥행 결과를 맞이하게 된 바 있다. <천안함 프로젝트> 역시 마찬가지의 길을 가고 있다. “도대체 무슨 이야기가 들어 있길래 보수 단체들이 글자 그대로 ‘단체로’ 들고 일어섰는지 궁금해서 봐야겠다”는 의견들이 등장하고 있다. ‘맥스무비’의 설문 조사에 의하면 53.9%의 관객들이 <천안함 프로젝트>를 “볼 생각이 없었는데 보고 싶어졌다”고 답변했다고 한다. ‘직접 보고 판단’해야겠다는 생각이 들게 만들어 줬다는 점에서 보수 단체를 칭찬이라도 해야 하는 걸까.

조원희 영화감독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