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원희 영화감독
조원희의 영화 그리고 농담
‘다이빙벨’ 상영중지 압력에 부쳐
‘다이빙벨’ 상영중지 압력에 부쳐
19번째 부산국제영화제가 화려하게 개막했다. 한국 영화계 큰 잔치이며 아시아권 최대의 영화제다. 그러나 가장 많은 이들이 주목하고 있는 부분은 서병수 부산광역시장이 영화 <다이빙벨> 상영을 중지하는 압력을 조직위원회에 행사했다는 점이다. 부산에서 자라 제1회 부산국제영화제부터 지금까지 영화제에 참여해 왔지만 시장이 어떤 영화를 상영하거나 상영하지 않았으면 하는 압력을 행사한 것은 처음 본다. 시장이 대단한 영화광이라서 해당 작품의 영화적 완성도를 판단할 수 있었다고 해도 문제가 될 만한 사건인데 심지어 명백히 정치적인 이유인 것이 분명하다.
이 사안이 문제가 되는 이유는 매우 좋지 않은 선례로 남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처럼 정치적 변화와 이슈가 잦은 나라에서 그런 변화와 이슈가 있을 때마다 영화제의 프로그램에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는 이야기다. 부산의 어느 지역구 국회의원은 역시 압력을 가하며 “프로그래머의 공공적 분별력 결핍”을 운운했다는데, 이것이야말로 코미디다. 해당 작품은 ‘당신 진영’의 문제 제기 때문에 영화는 물론 영화제 자체에 관심이 없었던 사람들조차 모두가 알게 됐다. 공공적 분별력이란 어느 한쪽의 편에 서 있는 사람이 언급할 만한 단어가 못 된다.
해당 영화를 영화제에 걸어서는 안 된다는 주장을 하는 인사들의 논리는 영화제의 ‘중립성’이다. 영화제의 중립이란 정치적 색깔이나 주장이 없거나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은 ‘중립적인 영화’만 트는 게 아니다. 이런저런 다양한 목소리를 지닌 영화들을 모두 트는 것이 진정한 중립이다. 이번 영화제에는 보수 계열 인사로 알려져 있는 정진우 감독의 회고전이 열린다. 상영작 중에는 박정희 정부 시절 만들어진 ‘반공 영화’도 있다. 김동호 명예집행위원장은 현 정부 대통령 소속 기관인 문화융성위원회의 위원장이기도 하다. 전체적으로 균형 있는 시각을 지닌 부산국제영화제에서 ‘딱 한 편의 영화’를 찍어 상영 중단을 주장하는 분의 분별력은 어떤 생물과 비교해야 할지 답이 나오지 않는다.
그리고 남이 봐야 할 영화와 안 봐야 할 영화를 정해 주겠다는 사고방식은 바로 언급조차 하고 싶지 않은 구시대 단어인 ‘검열’이다. 다른 사람들이 자신보다 머리가 나쁘다고 생각하는 이들이 그런 사고방식을 갖게 된다. 어떤 영화가 볼 만한 가치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은 그 영화를 선택한 관객의 몫이다. 상영 중단 압력은 영화제를 만드는 이들에 대한 공격일 뿐 아니라 영화제를 지켜본 관객들의 명예도 훼손하는 일이다. 부산국제영화제가 발전해 온 이유는 그동안 정치적 외압이 없이 독립적으로 운영됐기 때문이다. 그런 역사와 전통을 정치인들의 망발로 더럽히지 않았으면 한다.
조원희 영화감독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