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음악·공연·전시

전투도 멈추고 적과 함께 부른 캐럴

등록 2014-12-24 17:22수정 2014-12-24 19:36

크리스마스 캐럴에 얽힌 이야기들
어원은 노래하며 둥글게 무리지어 추는 춤이라는 뜻
음주가에서 비롯된 것도 있고 “풍습 왜곡” 비판 곡도
캐롤 ‘사일런트 나이트’에 얽힌 이야기. 동영상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ujJD122Yd9U
캐롤 ‘사일런트 나이트’에 얽힌 이야기. 동영상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ujJD122Yd9U

길거리 여기저기서 크리스마스 캐럴이 들려오는 걸 보니 벌써 성탄절이 다가오는 모양입니다. 귀에 익은 목소리의 혹은 새로운 선율의 캐럴들이 연말연시 인파로 북적이는 도심 곳곳에 울려 퍼지는 걸 들으니 슬픈 일이 많았던 한 해 그래도 마음이 조금이나마 위로받는 것을 느끼게 되는 데요. 형형색색의 음색과 리듬과 멜로디로 우리 귀의 달팽이관을 들썩거리게 하는 이 캐럴에 관련된 여러 가지 사연들을 알고 들으면 더 재미있게 감상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캐럴은 중세시대 노래를 부르며 둥글게 무리지어 춤추는 춤이라는 뜻의 프랑스 말에서 유래하였다고 합니다. 낮이 길어지기 시작하는 동지 지날 무렵 ‘태양의 재탄생’을 축하하는 로마 이교도(태양을 숭배하는 미트라교)들의 동지절 축제(12월24일~이듬해 1월6일)와 농업신을 모시는 제의가 기독교 문화와 융합하는 과정에서 캐럴이 생겨나 불려지기 시작했다고 여겨지기도 합니다.

14세기에는 ‘더 보어스 헤드 캐럴(The Boar‘s Head Carol)’과 같은 단순한 형태의 캐럴들이 영국에서 불려졌고, 15세기에는 좀 더 복잡하고 여러 개의 음들로 이뤄진 캐럴들이 수도원과 교회 예배당에서 불려졌다고 합니다. 그러다가 16세기 종교개혁과 함께 새로운 형태의 크리스마스 캐럴들이 등장했고, 17세기에는 궁전의 왕 앞에서, 또 아주 특이하게 법정에서 불려기도 했다고 하네요. 하지만 17세기 초 엄격한 청교도 교풍이 지배적이던 영국에서는 12월25일을 축제일이 아닌 예수 그리스도를 생각하며 속죄하는 엄격한 날로 여겨 의회에서 법령까지 만들어 사람들로 하여금 금식을 하게 했다고 합니다. 금식기간 중에 캐럴을 부르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었겠죠.

그러다가 17세기 후반 들어 왕정복고 시대가 오면서 캐럴이 인쇄되고 널리 전파되어 교회 아닌 집에서도 마음껏 부를 수 있게 되었다고 하네요. 18세기에는 캐럴 인쇄물이 더욱 광범위하게 퍼지게 되어 대중적으로 인기를 끌게 되었다고 합니다. 놀랍게도 구절과 그 구절에 대한 반복이라는 중세시대 캐럴의 구조는 18세기에도 그대로 이어졌습니다. 19세기에는 캐럴 악보가 상업화되어 영국에서는 서너 개의 캐럴이 인쇄된 것을 0.5페니 또는 1페니에 팔기도 했다고 합니다.

20세기 들어서면서 캐럴은 더욱 더 사랑받게 되었는데요. 특이한 점은 선호도 최상위권의 3분의 2가량이 1941년~1958년 사이에 만들어진 캐럴들이라는 점입니다.

저작자 및 음반 제작자들로 구성된 미국 음악계의 대표적 저작권 단체인 ASCAP(American Society of Composers, Authors, and Publishers)에서 2012년 라디오, 텔레비전, 인터넷 데이터를 모아 뽑은 ‘역대 최고 인기 캐럴 30’에 1940년대와 1950년대 창작된 곡들이 19곡이나 선정된 것이지요.

‘크리스마스 송 (The Christmas Song)’(1946), ‘썰매타기(Sleigh Ride)’(1948), ‘렛잇 스노우, 렛잇 스노우, 렛잇 스노우(Let It Snow! Let It Snow! Let It Snow!)’ (1945) 등이 바로 그 노래들입니다. 우연하게도 이 시기는 2차 세계대전의 비극이 광풍처럼 몰아닥치던 때를 앞뒤로 한 시기입니다. 가장 사랑받는 캐럴 3위에 오른 ‘화이트 크리스마스(White Christmas) (1941 아래 동영상 참조)는 당시 나치 독일에 의해 핍박받던 유대인들과 같은 종교를 가진 어빙 벌린이 쓴 노래입니다. 이 노래는 잘 알려져 있듯 흰 눈 쌓인 화이트 크리스마스를 꿈꾼다는 가사 내용을 가지고 있습니다. 피바람 부는 전쟁이 하루 빨리 끝나고 포근하게 흰 눈처럼 쌓인 평화를 꿈꾸는 사람들의 염원이 상징적으로 담겨있는 것이지요.

2차 세계대전때 전쟁터의 군대방송에서 울려 퍼지던 이 ‘화이트 크리스마스’의 추억을 가진 수많은 참전용사들과 그들이 낳은 7천6백만 명의 아이들이 이 노래 인기의 밑바탕이 된 것이라는 분석도 있지만, 한편으론 알든 모르든 캐럴을 듣고 즐기는 사람들의 무의식엔 사랑과 평화를 원하는 마음이 있어 그 영향으로 이 노래가 그렇게 오랜 세월동안 인기를 모으는 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드는 것입니다.

어빙 벌린이 작곡하고 빙 크로스비가 부른 캐롤 ‘화이트 크리스마스’. 동영상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GJSUT8Inl14
어빙 벌린이 작곡하고 빙 크로스비가 부른 캐롤 ‘화이트 크리스마스’. 동영상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GJSUT8Inl14

어릴 때 ‘루돌프 사슴코’ 캐럴을 들으며 큰 과학자들은 ‘왜 루돌프 사슴의 코가 빨간 것일까’ 하는 어린 시절 의문을 어른이 되어 과학적으로 풀어보기도 합니다. 네덜란드와 노르웨이 연구진이 ‘영국의학저널’에 발표한 내용을 보면, 루돌프 사슴코가 빨간 이유는 사람보다 25% 많은 미세한 혈관들이 코에 밀집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 미세한 혈관들은 산소를 운반하는 적혈구들을 공급하여 루돌프 사슴코의 온도를 24도 정도에 맞춘다고 합니다.

크리스마스 캐럴에 얽힌 다른 재미난 얘기들도 많습니다. ‘틀림없이 산타일 거야(Must be Santa)’라는 캐럴은 독일의 ‘음주가’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합니다. 또 캐럴로서는 유별나게 제목에서부터 ‘록’ 장르임을 알리며 발표된 노래도 있습니다. 1957년 세상에 나온 ‘징글벨 록(Jingle Bell Rock)‘은 미국 대중음악 조류가 컨트리 스타일의 록앤롤과 비음 섞인 리듬 앤 블루스 풍의 록앤롤 시기를 지나 ‘로커빌리’(로큰롤과 힐빌리(hillbilly, 컨트리송의 다른 명칭)가 결합된 것으로서 초창기 형태의 록 음악)라는 새로운 사운드의 시대를 향한 ‘신호탄’임을 선포하며 나온 캐럴인 것이지요.

1952년 발표된 ‘엄마가 산타와 키스하는 걸 봤어요 (I Saw Mommy Kissing Santa Claus)’라는 캐럴은 크리스마스 트리의 겨우살이 덩굴 장식 밑에 있는 소녀에게는 아무나 키스해도 좋다는 풍습의 내용을 왜곡했다고 하여 미국 보스턴 가톨릭 교회에서 비판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추운 겨울철에 가장 사랑받는 캐럴 중의 하나인 ‘렛 잇 스노우’는 아이러니하게도 한여름에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이때 이 캐럴을 만든 새미 칸과 줄리 스타인은 헐리우드에 있었는데 1945년 7월 헐리우드에서 가장 더웠던 날로 기상청 기록에 남아있습니다. 1944년 러시아 유대인 후손 멜 톰이 작곡한 ‘크리스마스 송’도 여름철에 너무 더워서 머리를 식히기 위해 45분만에 작곡한 캐럴이라고 하네요.

‘루돌프 사슴코’ ‘록킹 어라운드 더 크리스마스 트리’를 비롯해 많은 크리스마스 캐럴을 만든 조니 마크스는 기독교 축제일을 챙기는 것과는 조금 거리가 있는 유대인이었다고 합니다. 또 처음으로 우주에서 울려 퍼진 캐럴도 있습니다. 1965년 미국 우주선 제미니 6호의 비행사였던 톰 스태포드와 월리 스키라가 광활한 우주공간에서 ‘징글벨’을 불렀다고 합니다.

그리고 인류사적으로 가장 드라마틱한 순간을 장식한 캐럴도 있습니다. 1차 세계대전 와중에 크리스마스 이브를 맞아 잠시 전투를 멈추었던 1914년, 벨기에 이프레스 지역에서 적으로 만나 싸우던 독일, 영국, 프랑스 군대가 함께 불렀던 ‘사일런트 나이트’(위 동영상 참조)가 바로 그 노래입니다.

빗발치는 총탄과 포탄 속에 비정하게 생사가 엇갈리던 전장 속에서 잠시나마 울려 퍼졌던 ‘캐럴’이 품은 사랑과 평화의 의미가 지금까지도 가슴 한 구석을 저릿하게 울리는 2014년 겨울입니다. 다들 아주 짧은 시간만이라도 캐럴의 선율과 가사 속에 담긴 사랑과 평화를 만끽하시면서 크리스마스와 새해 맞으시길….

김형찬기자 chan@hani.co.kr

김형찬의 앱으로 여는 음악세상 http://plug.hani.co.kr/appsong/2053208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