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 백운규 장관이 4일 자동차업체 대표들을 만나 간담회를 진행하는 모습. 왼쪽은 기아차 박한우 사장, 오른쪽은 한국지엠 카허 카젬 신임 사장.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김동연 경제부총리에 이어 산업통상자원부 백운규 장관도 “기업활동의 불확실성을 제거하기 위해 통상임금 범위를 명확하게 규정할 필요가 있다”며 국회와 협의해 근로기준법 개정을 추진할 뜻을 밝혔다. 백 장관은 또 “노후 경유차 소유자의 친환경차 (구매) 세제 지원, 환경규제 완화 등을 관계부처와 논의해 업계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했다. 자동차업계 국내외 판매 부진이 이어지고 기아차가 통상임금 1심 선고에서 패소하며 혼란이 커지자 정부가 ‘업계 달래기’에 나선 모습이다.
백 장관은 4일 오후 서울 서초구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에서 현대차 정진행 사장, 기아차 박한우 사장, 한국지엠(GM) 카허 카젬 사장, 르노삼성 박동훈 사장, 쌍용차 최종식 사장 등을 1시간 반가량 만난 후 이같이 밝혔다. ‘격의 없이 대화하자’는 백 장관 뜻에 따라 참가자들은 '노타이·노자켓' 차림으로 도시락을 먹으며 이야기를 나눴다.
간담회는 각 업체가 직면한 어려움을 백 장관에게 돌아가며 말하는 형식으로 진행됐다고 한다. 세제·금융지원 확대와 통상임금 범위 재정리 필요성이 공통으로 거론된 것으로 전해졌다. 구조조정설이 불거진 한국지엠의 카허 카젬 사장은 “한국지엠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선 온실가스 규제 등 불확실성 해소가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2020년까지 10인승 이하 승용차의 평균 온실가스 배출량을 97g/㎞로 낮추도록 한 규제를 완화해 달라고 요구한 것으로 풀이된다.
산업부는 이런 업계 쪽 요청을 모아 새로 구성할 자동차산업 관련 범정부 협의체에서 논의한 뒤 ‘중·장기 발전 전략’을 수립할 예정이다. 백 장관은 “부품업체 생산성 혁신을 위해서는 수평적인 생태계가 조성돼야 한다”며 “업계가 투자를 확대하고 좋은 일자리를 창출하길 바란다"고 당부하기도 했다. 현대차는 중국에 진출한 협력업체들의 유동성 확보를 위해 지금까지는 5∼6년 분할지급하던 금형 설비 투자비를 2500억원 규모로 일괄 선지급하겠다고 밝혔다. 최하얀 기자
chy@hani.co.kr
코노미 바로가기 붙이기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