몐양·광위안에 핵무기설계 본부 등 위치
정부, 정확한 설명없이 “문제 없다”만 강조
전문가 “진앙지 100km안 피해 배제 못해” 쓰촨성 대지진으로 중국의 군용·민간 핵 관련 시설이 손상을 입었다는 국제 핵 전문가들의 지적이 제기됐다. ‘안전하다’는 중국 정부의 공식 발표와는 사뭇 달라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저우성셴 중국 환경보호부 부장은 민수용 핵 시설과 방사능 물질을 다루는 연구소와 병원 등의 파괴로 “방사능 물질 32개가 지진으로 매몰됐으나 30개는 안전하게 회수됐고, 나머지 2개의 위치도 파악해 곧 안전한 곳으로 옮길 것”이라고 밝혔다고 중국 관영 <신화통신>이 20일 전했다. 하지만 저우 부장은 방사능 물질들이 어떤 것이며, 어디에 있는지, 잠재적 위협이 될 수 있는지 등에 대한 구체적 언급은 하지 않았다. 앞서 마젠 인민해방군 총참모부 작전부 부부장은 기자회견을 열어 “핵 시설들은 지난 12일 지진 발생 직후 인민해방군과 무장 경찰의 엄격한 보호 아래 있다”며 “모든 시설은 안전하고,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지진으로 가장 피해가 큰 지역의 하나인 몐양에 핵무기 설계 본부가 있고, 광위안엔 플루토늄 재처리 시설이 있는 등 지진 피해 지역에 광범위하게 군·민간 핵 관련 시설들이 자리잡고 있다. 국제 핵전문가들은 중국 정부의 이런 발표에 회의적 반응을 보였다. 미국과학자협회 핵 전문가인 한스 크리스텐슨은 “쓰촨성의 방대한 지역이 파괴된 것을 고려해볼 때, 이 지역 핵무기 관련 시설에 어떤 피해도 없다는 발표를 믿기는 어렵다”고 말했다고 <에이피>(AP) 통신이 21일 보도했다. 프랑스 방사능보호·핵안전연구소(IRSN)의 티에리 샤를은 “규모 7.9의 강진이 진앙지에서 100㎞ 안에 있는 몇몇 핵 연료·연구 시설에 피해를 끼쳤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한편, 환경보호부 핵·방사능 안전센터는 지진 발생 다음날 모든 직원들에게 핵 관련 사고에 대비하는 비상 경계령을 내린 바 있다. 류이근 기자 ryuyigeun@hani.co.kr
정부, 정확한 설명없이 “문제 없다”만 강조
전문가 “진앙지 100km안 피해 배제 못해” 쓰촨성 대지진으로 중국의 군용·민간 핵 관련 시설이 손상을 입었다는 국제 핵 전문가들의 지적이 제기됐다. ‘안전하다’는 중국 정부의 공식 발표와는 사뭇 달라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저우성셴 중국 환경보호부 부장은 민수용 핵 시설과 방사능 물질을 다루는 연구소와 병원 등의 파괴로 “방사능 물질 32개가 지진으로 매몰됐으나 30개는 안전하게 회수됐고, 나머지 2개의 위치도 파악해 곧 안전한 곳으로 옮길 것”이라고 밝혔다고 중국 관영 <신화통신>이 20일 전했다. 하지만 저우 부장은 방사능 물질들이 어떤 것이며, 어디에 있는지, 잠재적 위협이 될 수 있는지 등에 대한 구체적 언급은 하지 않았다. 앞서 마젠 인민해방군 총참모부 작전부 부부장은 기자회견을 열어 “핵 시설들은 지난 12일 지진 발생 직후 인민해방군과 무장 경찰의 엄격한 보호 아래 있다”며 “모든 시설은 안전하고,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지진으로 가장 피해가 큰 지역의 하나인 몐양에 핵무기 설계 본부가 있고, 광위안엔 플루토늄 재처리 시설이 있는 등 지진 피해 지역에 광범위하게 군·민간 핵 관련 시설들이 자리잡고 있다. 국제 핵전문가들은 중국 정부의 이런 발표에 회의적 반응을 보였다. 미국과학자협회 핵 전문가인 한스 크리스텐슨은 “쓰촨성의 방대한 지역이 파괴된 것을 고려해볼 때, 이 지역 핵무기 관련 시설에 어떤 피해도 없다는 발표를 믿기는 어렵다”고 말했다고 <에이피>(AP) 통신이 21일 보도했다. 프랑스 방사능보호·핵안전연구소(IRSN)의 티에리 샤를은 “규모 7.9의 강진이 진앙지에서 100㎞ 안에 있는 몇몇 핵 연료·연구 시설에 피해를 끼쳤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한편, 환경보호부 핵·방사능 안전센터는 지진 발생 다음날 모든 직원들에게 핵 관련 사고에 대비하는 비상 경계령을 내린 바 있다. 류이근 기자 ryuyigeu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