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원전 사태에 대한 위기감 고조
지난 10일 도쿄서 이례적 대규모 시위도
지난 10일 도쿄서 이례적 대규모 시위도
지난달 31일 낮 12시35분 도쿄 치요다구 도쿄전력본사 앞. 100여명의 대학생과 시민활동가들이 후쿠시마 제1원전 반대를 외치며 원전을 운영중인 도쿄전력 규탄행진을 벌이고 있었다.
그런데 일본 경찰은 갑자기 데모대에 집입해 이날 행사를 주동한 일본의 운동권단체인 ‘중핵파’ 활동가 3명을 전격 체포했다. 경시청은 집회신고 조건과 거듭된 경고를 무시하고 “천천히 걸어서 행진을 정체시켜” 공안조례법을 위반해 현행범 체포했다고 <산케이신문>은 전했다.
일본 공안당국이 최악의 상태로 빠져들고 있는 후쿠시마 원전 사태를 계기로 일고 있는 일본내 반원전 무드에 얼마나 노심초사하고 있는지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일본 공안당국의 ‘과민반응’에도 반원전 움직임은 위축되지 않고 있다. 지난 10일 도쿄의 대표적 젊음의 거리인 ‘고엔지’역 일대에서는 1만5000명(주최자 추정)이 모여 반원전 거리행진이 벌어졌다.
고시엔 근처에서 재활용품 가게 ‘아마추어의 난’을 운영하는 시민운동가 마쓰모토 하지메가 인터넷과 트위터를 통해 집회참가를 요청하자 예상을 넘는 많은 사람이 참석했다. <가난뱅이의 역습>의 저자로 한국에도 널리 알려진 마쓰모토는 지난해 10월 한국에 입국하려다 한국 당국의 입국금지 인사 명단에 올라가 인천공항에서 발이 묶여 다음날 강제귀국조처 당하기도 했다.
천명 단위의 집회가 드문 일본의 현실에서 1만명이 넘는 집회는 후쿠시마 원전 사태에 대한 일본인들의 위기감을 잘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고엔지 중앙공원에서 출발해서 퍼레이드 차량에서 록, 레게 등 음악이 연주되는 가운데 원전방호복을 입은 사람, ‘NO NUKES’(반핵) 등 구호가 적힌 피킷을 든 젊은이들이 “더 이상 원전은 필요없다” 등 구호를 외치며 행진했다. 2살, 6살짜리 아이들과 함께 참가한 한 여성은 “트위터를 통해 집회를 알게 됐다. 원전을 멈출 수 있는 것은 지금밖에 없다. 이 아이들을 위해서 할 수 있는 것을 하고 싶다”고 말했다고 <교토통신>이 전했다.
앞서 지난달 27일 도쿄 긴자 주변에서도 10개 반원전 단체가 ‘반원전-긴급 데모행진’을 주최해 1200여명이 참가했다.
그러나 ‘반원전 분위기’는 일본의 대세를 형성하지 못하고 있다. 원전유지 정책을 내세운 이시하라 신타로 도쿄지사가 지난 10일 지방선거에서 4번째 도지사 연임에 성공했다. 이시하라는 지난 10일 당선이 확정된 직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원전에 대해서는 “이번 사고로 전부 부정하면 어떻게 될까. 냉정한 판단을 내리지 않으면 국가의 경제는 유지될 수 없다”며 원전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새삼 강조했다. 일본 정치에 정통한 한 일본인은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도쿄도지사 선거에서 유일하게 원전정책 유지를 내세운 이시하라가 당선된 것을 보면, 도쿄사람들은 후쿠시마 원전사태의 위험성을 인식하면서도 원전을 포기할 경우 그로 인한 부담이 너무 커 정책전환을 생각할 필요성까지는 느끼지 못하고 있는 듯하다”고 분석했다. 김도형 선임기자/트위터 @aip209 <한겨레 인기기사> ■ ‘백혈병 유발’ 방사성 물질 스트론튬 검출됐다
■ ‘수명 연장’ 고리 원전1호기 사고로 가동 정지
■ 박지성 ‘결승골’ 맨유 4강 이끌어
■ 2배 비싼 ‘신라면블랙’…농심, ‘검은 속셈’?
■ 농협 금융전산망 마비…전국 현금인출기 중단
■ 청취율 높고 광고 줄서는데…김미화 퇴출 가시화
■ 현대캐피탈 사태 집단소송 번질까
그러나 ‘반원전 분위기’는 일본의 대세를 형성하지 못하고 있다. 원전유지 정책을 내세운 이시하라 신타로 도쿄지사가 지난 10일 지방선거에서 4번째 도지사 연임에 성공했다. 이시하라는 지난 10일 당선이 확정된 직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원전에 대해서는 “이번 사고로 전부 부정하면 어떻게 될까. 냉정한 판단을 내리지 않으면 국가의 경제는 유지될 수 없다”며 원전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새삼 강조했다. 일본 정치에 정통한 한 일본인은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도쿄도지사 선거에서 유일하게 원전정책 유지를 내세운 이시하라가 당선된 것을 보면, 도쿄사람들은 후쿠시마 원전사태의 위험성을 인식하면서도 원전을 포기할 경우 그로 인한 부담이 너무 커 정책전환을 생각할 필요성까지는 느끼지 못하고 있는 듯하다”고 분석했다. 김도형 선임기자/트위터 @aip209 <한겨레 인기기사> ■ ‘백혈병 유발’ 방사성 물질 스트론튬 검출됐다
■ ‘수명 연장’ 고리 원전1호기 사고로 가동 정지
■ 박지성 ‘결승골’ 맨유 4강 이끌어
■ 2배 비싼 ‘신라면블랙’…농심, ‘검은 속셈’?
■ 농협 금융전산망 마비…전국 현금인출기 중단
■ 청취율 높고 광고 줄서는데…김미화 퇴출 가시화
■ 현대캐피탈 사태 집단소송 번질까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