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전대후보 정책탐구 ④ 홍준표 의원
‘부정부패 척결’ 화두만 제시
‘보수층 눈높이 맞추기’ 해석
‘부정부패 척결’ 화두만 제시
‘보수층 눈높이 맞추기’ 해석
홍준표 의원의 주요 정책과 경력
“나만큼 서민정책을 만들고 실천한 사람이 어디 있느냐.”
홍준표 의원은 서민정책의 선도 주자임을 자부한다. 전당대회 출마 직전까지 당 서민정책특위 위원장을 맡아 서민 관련 정책들을 쏟아냈다. ‘진보적 보수주의자’를 자처하며 서민정책 강화를 외쳐왔다.
성과도 적지 않다. 대기업이 중소기업의 기술이나 특허를 무단으로 침해했을 때 손해액의 최대 3배까지 배상하도록 한 하도급법 개정안이나 금융기관·등록 대부업자의 대출 이자율 상한을 39%로 하는 대부업법 시행령 개정안은 그가 서민특위 위원장 시절 줄기차게 주장해온 내용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영업이익의 10%를 서민에게 대출하겠다는 은행업계의 약속을 이끌어 내기도 했다.
정책 이견에 관한 거침없는 비판과 좌우를 넘나드는 분방한 발언으로 ‘좌충우돌’, ‘포퓰리스트’란 비판이 따르기도 하지만 홍 의원의 정책 실적을 부인하기는 어렵다는 평이 많다. 17대 국회 때는 ‘반값 아파트’ 법안과 이중국적 취득을 통한 병역기피를 막는 국적법 개정을 주도했다. ‘분노한 대중의 정서’를 읽어내는 감각이 탁월하고 그것을 입법화하는 정책역량도 갖췄다는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이번 전대에선 각종 민생 현안과 관련해 상대적으로 신중하면서 보수적인 태도를 견지하고 있다. 법인세 추가 감세에 대해선 제한적인 철회를 주장하고 있고, 무상급식에 대해서도 비판적이다. 완전국민경선제에 관해선 ‘현역 의원의 기득권을 보장하는 제도’라며 부정적인 태도다. 보수적인 한나라당 지지층과 ‘눈높이’를 맞추려 한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그의 출마 선언문은 구체적인 정책 대안보다는 ‘부정부패 척결, 사회양극화 완화’라는 큰 방향의 화두만 제시했다. 홍 의원 쪽은 “이미 의정활동 내내 누구보다 많은 서민정책을 구체적으로 제시해왔다”며 “집권 여당의 대표가 되면 당정청 사전 정책협의체를 만들어 안정감있게 서민 정책을 추진하겠다는 뜻을 반영했다”고 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