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당적이탈로 선거중립”…여 “명분없는 정치공세”
여야는 25일 한명숙(韓明淑) 총리 지명자의 열린우리당 당적 유지 문제를 놓고 치열한 공방을 펼쳤다.
한나라당이 5.31 지방선거에서 내각이 중립을 지키기 위해선 한 지명자가 열린우리당 당적을 버려야 한다고 주장한데 맞서 열린우리당은 이를 `명분없는 정치공세'로 일축했다.
특히 한나라당 일각에서는 한 지명자가 당적을 끝내 포기하지 않을 경우 인사청문회 보이콧은 물론 향후 국정운영에 대한 협조를 거부해야 한다는 강경 주장도 나오고 있어 향후 정국운영의 변수로 한 지명자의 당적보유 문제가 정국의 변수로 떠오를 전망이다.
한나라당 이계진(李季振) 대변인은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당적 정리 요구는 선거중립 의지를 담보해 내기 위한 최소한의 장치"라고 거듭 한 지명자의 당적 이탈을 요구했다.
이 대변인은 "중앙 정부가 여당의 입장에 서서 선심 정책을 발표하고, 선거 과정에서 일어난 위법 사항을 여당 편에서 조정할 수 있다는게 우리가 우려하는 관권선거"라고 말했다.
이방호(李方鎬) 정책위의장도 "한 지명자의 당적 이탈은 우리의 양보할 수 없는 조건"이라면서 "야당에 대한 최소한의 배려는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그는 "그것마저 거부한다면 앞으로 우리는 총리에 대해 협조할 수 없다"면서 "청문회를 보이콧 하더라도, 국민이 이해해 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한나라당 내부에는 청문회 보이콧 등 대여 강경 대응이 오히려 지방선거를 앞두고 역풍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신중론도 만만치 않아 향후 입장정리 결과가 주목된다.
핵심 관계자는 "인사청문회까지 보이콧 한다면 무책임하게 비칠 수 있다"면서 "일부에서 인사청문회 보이콧 얘기도 나오지만 이를 계속 주장할지는 불투명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열린우리당은 한 지명자에 대한 당적 포기 주장은 "납득하기 어려운 과도한 요구이자 정치공세"라며 반대 입장을 명확히 했다. 우상호(禹相虎) 대변인은 "한나라당의 입장이 갈팔질팡하고 있다"면서 "한 지명자의 당적 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도저히 이해가 안 간다"고 비판했다. 노웅래(盧雄來) 공보담당 원내부대표도 "당적 포기 요구는 책임정치, 정당정치를 부정하는 납득하기 어려운 요구"라면서 "선거 공정관리에 대한 입장을 분명히 하는 것은 필요하지만 당적 포기 요구는 과도한 요구"라고 반박했다. 그러나 당내 일각에선 한나라당이 당적포기 요구를 철회하지 않을 경우 수용할 수밖에 없지 않느냐는 소수의견도 대두되고 있다. 한 초선의원은 "필요하다면 당적을 포기할 수도 있지 않느냐"면서 "당적을 포기한다고 해서 당의 정체성을 포기하는 것도 아니고, 국회의장처럼 다시 당적을 회복할 수 있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황재훈 송수경 기자 jh@yna.co.kr (서울=연합뉴스)
핵심 관계자는 "인사청문회까지 보이콧 한다면 무책임하게 비칠 수 있다"면서 "일부에서 인사청문회 보이콧 얘기도 나오지만 이를 계속 주장할지는 불투명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열린우리당은 한 지명자에 대한 당적 포기 주장은 "납득하기 어려운 과도한 요구이자 정치공세"라며 반대 입장을 명확히 했다. 우상호(禹相虎) 대변인은 "한나라당의 입장이 갈팔질팡하고 있다"면서 "한 지명자의 당적 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도저히 이해가 안 간다"고 비판했다. 노웅래(盧雄來) 공보담당 원내부대표도 "당적 포기 요구는 책임정치, 정당정치를 부정하는 납득하기 어려운 요구"라면서 "선거 공정관리에 대한 입장을 분명히 하는 것은 필요하지만 당적 포기 요구는 과도한 요구"라고 반박했다. 그러나 당내 일각에선 한나라당이 당적포기 요구를 철회하지 않을 경우 수용할 수밖에 없지 않느냐는 소수의견도 대두되고 있다. 한 초선의원은 "필요하다면 당적을 포기할 수도 있지 않느냐"면서 "당적을 포기한다고 해서 당의 정체성을 포기하는 것도 아니고, 국회의장처럼 다시 당적을 회복할 수 있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황재훈 송수경 기자 jh@yna.co.kr (서울=연합뉴스)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