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오 한나라당 최고위원이 9일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강재섭 대표의 발언을 듣고 있다. 이날 강 대표는 “이명박, 박근혜 두 경선후보 진영 간의 고소·고발 사건을 즉각 취하하라”고 요구했다. 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소 취하하자니… ‘켕기는 것 있나’ 후폭풍 고심
유지하자니…수사로 새 사실 불거질 우려
당 지도부 “정신 나간 캠프” 취하 강력 종용
유지하자니…수사로 새 사실 불거질 우려
당 지도부 “정신 나간 캠프” 취하 강력 종용
한나라당 경선 후보인 이명박 전 서울시장 쪽이 9일 “고소 건을 취하하라”는 당 지도부의 ‘강권’을 계기로 삼아 고소 취하를 검토하고 있다. 지난 4일 이 후보 처남 김재정씨와 ㈜다스가 박근혜 후보 쪽 인사들과 <경향신문>을 고소한 지 5일 만이다. 당 지도부는 지난 3일 열린우리당 의원들을 수사 의뢰하면서 ‘고소전’을 시작해놓고, 후보 캠프만 고소 취하를 종용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 이명박 쪽, 고소 취하 고심=이 후보 캠프는 이날 오후 고소 취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박희태 선대위원장 주재로 긴급 회의를 열었다. 이재오 최고위원, 정병국·박형준·정두언·진수희·주호영 의원과 실무자 등 20여명이 모여 한시간 가량 회의를 했다. 이 회의에서는 찬반 의견이 팽팽하게 맞섰다고 한다.
소 취하에 찬성하는 이들은 “검찰이 이 문제를 경선(8월19일) 이전에 끝내지 않고 끌고 가면, 언론의 의혹 부풀리기 보도가 계속될 것”이라고 주장했다고 한다. “당의 취하 권유를 거부하는 것은 캠프 원칙에도 맞지 않다”는 의견도 있었다고 한다.
반면, 반대론자들은 “취하하면 국민들은 우리가 무슨 문제가 있는 것처럼 생각하지 않겠느냐” “취하한다고 해서 검찰이 수사를 중지하겠느냐”는 논리를 폈다. 박희태 선대위원장이 고소 취하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고, 정두언 의원 등이 고소를 취하해선 안된다는 쪽이었다고 한다.
캠프 주변에서는 이 후보 쪽이 당 안팎의 ‘거센 압력’을 명분 삼아 곧 고소를 취하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검찰 수사가 본격화하면 그 과정에서 어떤 사실이 드러나든 이 후보와 한나라당엔 별로 유리하지 않다는 판단이 많다. 남경필·임태희 의원 등 당내 중립 성향 의원들도 10일 이 후보의 고소 취하를 요구할 예정이다.
캠프 관계자는 박근혜 후보 쪽이 경부운하 보고서 유출에 관여했다는 경찰 수사 결과를 언급하면서 “고소 취하는 경부운하 보고서 문제와도 연관돼 있다”고 말했다. 박 후보 쪽이 이 후보 쪽에 ‘네거티브’ 공세에 사과를 하면, 이를 고소 취하의 명분으로 삼을 수도 있다는 뜻이다.
모양새야 어떻든, 이 후보 쪽이 고소를 취하한다면 진실 규명의 기회를 스스로 차버리고 각종 의혹을 시빗거리로 고스란히 남겨두는 셈이 된다.
■ 당 지도부의 모순=이날 고소 취하론을 적극 편 것은 당 지도부다. 강재섭 대표는 최고위원회에서 “어느 캠프에선 검찰에 상대편 인사들의 처벌을 요구하는 고소장을 제출했다”며 “정신 나간 사람들이 모여 있는 캠프 같다. 오늘 당장 캠프 차원으로 고소·고발한 사건들을 모두 취소해줄 것을 당에서 강력히 촉구한다”고 말했다.
안상수 ‘공작정치 저지 범국민투쟁위원회’ 위원장은 “검찰이 개입하면 권력이 정치공작에 개입한다”며 “(강 대표 요구를) 대선 후보 캠프에서 받아들이지 않으면 나는 투쟁위원장 자리에서 사직하겠다”고 압박했다. 하지만 고소·고발전은 이 후보 쪽보다 앞서서 당 공작정치저지 투쟁위가 지난 3일 김혁규 의원 등 열린우리당 의원 5명을 대검 중수부에 수사의뢰하면서 시작됐다. 나경원 대변인은 “당에서 수사의뢰한 것은 불법 자료 유출이 핵심”이라며 “이 건은 열린우리당을 상대로 한 것으로, 취하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당에서 열린우리당 의원들을 수사의뢰한 건에도 이 후보의 비비케이(BBK) 주가조작 연루 의혹 등에 관한 명예훼손 부분이 포함돼 있다는 점은 한나라당으로선 여전히 곤혹스러운 대목이다. 황준범 기자 jaybee@hani.co.kr
안상수 ‘공작정치 저지 범국민투쟁위원회’ 위원장은 “검찰이 개입하면 권력이 정치공작에 개입한다”며 “(강 대표 요구를) 대선 후보 캠프에서 받아들이지 않으면 나는 투쟁위원장 자리에서 사직하겠다”고 압박했다. 하지만 고소·고발전은 이 후보 쪽보다 앞서서 당 공작정치저지 투쟁위가 지난 3일 김혁규 의원 등 열린우리당 의원 5명을 대검 중수부에 수사의뢰하면서 시작됐다. 나경원 대변인은 “당에서 수사의뢰한 것은 불법 자료 유출이 핵심”이라며 “이 건은 열린우리당을 상대로 한 것으로, 취하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당에서 열린우리당 의원들을 수사의뢰한 건에도 이 후보의 비비케이(BBK) 주가조작 연루 의혹 등에 관한 명예훼손 부분이 포함돼 있다는 점은 한나라당으로선 여전히 곤혹스러운 대목이다. 황준범 기자 jaybee@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