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부끄러운 자화상 ② 언론
김인규의 KBS, ‘추적60분’ 등 정부비판 입막기
김재철의 MBC, 시사프로 폐지로 공영성 약화
‘낙하산 사장 저지’ 파업노조원 무더기 해고·정직
김인규의 KBS, ‘추적60분’ 등 정부비판 입막기
김재철의 MBC, 시사프로 폐지로 공영성 약화
‘낙하산 사장 저지’ 파업노조원 무더기 해고·정직
“케이비에스를 정치권력으로부터 지키기 위해 왔다.”(지난해 11월 김인규 사장 취임사)
“위기에 처한 엠비시를 구하고 싶다.”(3월 김재철 사장 취임사)
하지만 포부와 실제는 크게 엇나갔다. 김인규 사장은 취임 이후 노골적인 친정부 보도 논란에 휩싸였다. 문화방송은 김재철 사장이 조직을 장악하는 과정에서 청와대 인사 개입 의혹까지 불거지면서 구성원 반발에 직면했다.
문화방송 노조는 지난 3월 취임한 김 사장에게 ‘황희만 부사장 퇴진과 김우룡 전 방송문화진흥회 이사장에 대한 고소 이행’을 요구했다. 청와대의 인사 개입을 시사하는 김 전 이사장의 ‘큰집 조인트 발언’은 구성원들의 자존심에 큰 상처를 입혔다. 김 전 이사장은 지난 4월 <신동아> 인터뷰에서 “김 사장의 인사는 ‘큰집’에 불려가 조인트 까고 매도 맞고 해서 이뤄진 것이었다”고 발언했다. 김 사장이 요구를 거부하자 노조는 파업에 돌입했다.
한국방송 새 노조는 지난 7월1일 파업에 들어갔다. 모토는 ‘공정방송 쟁취, 조직 개악 저지’였다. 이병순·김인규 체제에서 한국방송이 ‘정권홍보 방송’으로 전락했다는 내부 불만이 쏟아진 터였다. 정권에 불리한 기사를 다루는 데는 소극적이었고, 유리한 기사는 크게 키웠다. 지난 8일 방송 예정이었으나 2주 동안 방송이 보류됐던 ‘추적 60분-사업권 회수 논란, 4대강 사업의 쟁점’ 편이 전형적인 보기다. 방송 연기를 두고는 청와대 외압 의혹도 제기됐다. 새 노조는 이와 관련해 ‘보도국 정치외교부 보고문건’을 공개하며 “청와대 김연광 정무1비서관이 ‘케이비에스가 반정부 이슈를 다루는데 왜 그러냐’고 발언한 내용이 포함됐다”고 폭로했다.
한국방송 프로그램 가운데 그나마 권력감시 기능이 살아있다는 ‘추적60분’의 고초는 이번만이 아니다. 지난 8월 제작진은 당시 조현오 경찰청장 후보자의 ‘노무현 전 대통령 비자금 존재 발언’ 동영상을 입수했으나 ‘윗선’의 제동으로 방영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지난 11월엔 ‘천안함 의문, 논란은 끝났나’ 편 방송 내용을 놓고 제작진과 경영진이 갈등을 빚었다. 2008년 한국방송에 입사한 34기 기자 25명(전체 26명)은 27일 성명을 내어 “(한국방송은) 새로운 의제를 제기하기는커녕, 이미 벌어진 일을 기사로 쓰기도 힘든 언론사가 됐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대통령 찬가가 9시 뉴스에서 방송되고, 지금도 실체를 모를 주요 20개국 정상회의에 케이비에스의 모든 역량이 투입됐다. 반면, 올해 가장 뜨거운 이슈였던 천안함 사태와 4대강 사업에 대한 심층취재물은 우여곡절을 겪고서야 방송됐다”고 탄식했다.
한상덕 한국방송 홍보국장은 이에 대해 “한국방송 보도가 정부편향적이라는 비판은 받아들일 수 없다”며 “한국언론학회에 의뢰해 한국방송 보도를 분석한 결과 공정성과 균형성을 지키려는 노력이 돋보인 것으로 평가됐다”고 밝혔다.
문화방송 사정도 다르지 않았다. 지난 8월 ‘피디수첩-4대강 수심 6m의 비밀’ 편은 김재철 사장이 직권으로 방송 보류를 지시해 2주간 불방됐다. 문화방송의 ‘감시기능 축소’도 눈총을 받았다. 문화방송은 지난 9월 가을개편을 통해 시사교양물인‘후플러스’, ‘김혜수의 더블유’ 등을 폐지한 반면 예능프로그램을 신설했다.
파업의 상처는 컸다. 공영방송 정상화를 요구한 노조의 목소리가 무더기 징계와 ‘보복성 인사’라는 부메랑으로 돌아왔다. 문화방송은 지난 6월 이근행 노조위원장을 해고하고, 노조 집행부 18명에게 정직 1~3개월, 감봉의 징계를 내렸다. 한국방송은 파업 참여 아나운서들을 대거 프로그램에서 하차시켰으며, 지난 17일에는 엄경철 노조위원장 등 파업 참가자 60명을 징계위에 회부했다. 한국방송의 수신료 인상 시도도 논란에 휩싸였다. 새해 벽두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의 ‘5000~6000원 인상’ 발언으로 촉발된 수신료 인상 논의는 한국방송의 공정성 논란, 한국방송 광고 축소를 통한 종편 지원 비판에 직면하며 공회전을 거듭하다 지난 11월 ‘3500원+광고 유지’ 안이 한국방송 이사회를 통과했다. 올해 400억~500억원의 흑자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수신료를 인상하는 게 적절치 않다는 비판도 고개를 들고 있다. 김정필 기자 fermata@hani.co.kr
파업의 상처는 컸다. 공영방송 정상화를 요구한 노조의 목소리가 무더기 징계와 ‘보복성 인사’라는 부메랑으로 돌아왔다. 문화방송은 지난 6월 이근행 노조위원장을 해고하고, 노조 집행부 18명에게 정직 1~3개월, 감봉의 징계를 내렸다. 한국방송은 파업 참여 아나운서들을 대거 프로그램에서 하차시켰으며, 지난 17일에는 엄경철 노조위원장 등 파업 참가자 60명을 징계위에 회부했다. 한국방송의 수신료 인상 시도도 논란에 휩싸였다. 새해 벽두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의 ‘5000~6000원 인상’ 발언으로 촉발된 수신료 인상 논의는 한국방송의 공정성 논란, 한국방송 광고 축소를 통한 종편 지원 비판에 직면하며 공회전을 거듭하다 지난 11월 ‘3500원+광고 유지’ 안이 한국방송 이사회를 통과했다. 올해 400억~500억원의 흑자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수신료를 인상하는 게 적절치 않다는 비판도 고개를 들고 있다. 김정필 기자 fermat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