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세운상가의 실패를 남기자

등록 2008-08-06 18:09

세운상가의 실패를 남기자
세운상가의 실패를 남기자
[매거진 esc] 오기사의 도시와 건축
세운상가(사진)가 철거된다. 6,70년대 서울의 스타였던 새로운 건축이 그 명성을 잃고 도심의 흉물로 전락해버린 지도 이미 오래. 종묘와 남산을 잇는 강렬한 축을 건축의 힘으로 연결하고자 했던 젊은 건축가 김수근의 꿈은 이렇게 그 최후를 준비한다.

예전에 포르노 비디오나 팔던 이 흉물이 어째서 근대 건축의 꿈이었죠?

포르노 비디오가 뭐 어때서요?

좋은 건 아니잖아요.

전근대와의 이별을 고하는 육체적 퍼포먼스로 볼 수도 있겠지요.

세운상가(를 비롯한 4개의 주상복합 건물들) 주위의 지도를 보면 아직 조선 시대의 도시구조가 보인다. 지금의 판잣집들이 한옥이나 초가집이었을 당시에 생겨났던 길이 여전히 21세기에도 존재하는 것이다. 차량 통행은 꿈도 못 꾸고 미로 같은데다가 어둡고 음습하다. 세운상가가 있던 자리도 그런 칙칙한 집들이 모여 있던 장소였을 것이다.


그 곳에 거대한 건축이 들어섰다. 기존 도시의 얼개는 생각하지 않았다. 종묘와 남산의 축을 설정하고 그 축을 따라 일정한 폭을 쭈욱 밀어버리고 높은 건물을 세웠다. 마치 어둡고 음습한 전근대와의 이별을 고하듯.

지금은 청계천이 복원되며 그 길이 끊겼지만 세운상가를 비롯한 네 개의 상가는 필로티 구조(1층에 벽체가 없고 기둥으로만 되어 있는 구조)에 의한 상부 데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었다. 하부에서는 차량의 통행이 이루어지고 상부에선 보행자들의 천국이 펼쳐진다. 개념적으로 보행을 통해 종묘와 남산의 축이 연결되고 그 공간에서는 상업과 주거의 삶이 펼쳐진다. 3층 높이의 보행자 데크에서는 전근대적인 종로3가 일대의 도시구조가 눈 아래 펼쳐진다. ‘난 너희와 달라’라고 말하는 것처럼 보인다. 건축의 힘으로 세상을 바꿀 수 있다고 믿었던 건축가의 열정이 느껴지기도 한다.

세운상가는 이제 근대 건축이 저지른 실패의 대표적인 사례로 철거된다. 그 자리에는 녹지로 이루어진 공원이 들어설 것이다.

그런데 말이다. 개인적으로는 이 세운상가가 너무도 아깝다. 실패한 건축은 왜 남아있을 수가 없는 것일까? 실패한 건축물의 모습을 보며 서울이 지닌 역사의 한 시기를 반추해볼 수는 없는 것일까? 과연 실패한 꿈은 잊혀야 하는 것일까?

나는 아마도 인터넷으로 야동을 보는 시대에 포르노 비디오테이프 따위를 추억하는 전근대적인 사람인가보다. 하지만 그렇다할지라도 실패마저 당당하게 기억하는 도시가 어쩌면 더 건강한 도시일 것 같다는 생각이 사라지지는 않는다.

오영욱/ 건축가·오기사디자인 대표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2.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3.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4.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5.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