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ESC

연설가보다 엠시

등록 2009-07-08 20:57

esc를 누르며
esc를 누르며
[매거진 esc] esc를 누르며
얼마 전 티브이에서 범상치 않은 사회자 한 명을 만났습니다. <파워클래식>(예당아트) 엠시 조윤범씨가 이쪽저쪽을 뛰어다니며 슈만을 소개하고 있었습니다. 요새 예능 엠시들이 격의 없이, 때론 ‘싹퉁머리’ 없이 진행하는 것과는 달리 순정 어린 노력이 신선할 지경이더군요.

이제 막 말하기에 재미를 붙인 꼬마가 이걸 본다면 엠시의 화법을 모방할 수 있겠단 생각도 들었습니다. 현란한 손짓, 드라마틱한 말투가 극적이었으니까요. 그러면서 제 유년기를 사로잡았던 추억의 엠시들이 기억났습니다. 기억나는 엠시를 꼽으라면 단연 <가요무대>의 김동건 아나운서와 <토요일 토요일은 즐거워>의 이덕화씨가 아닐까 싶습니다.

<토토즐>의 이덕화씨는 활달하고 자신감이 넘쳤습니다. 마이크를 장난감처럼 가볍게 휘어잡고, 여성 진행자가 멘트할 때면 마치 오빠인 양 진행자를 위아래로 훑어보는 표정도 인상적이었습니다. “빛나는 쇼의 명품! 메들리 콘서트 테이프를 끊을 첫 주자, 댄싱의 여왕 김완선양 부~탁해요!”라는 음성에는 누구도 말릴 수 없는 힘이 있었습니다. 부탁한다고 말은 하지만 어디 부탁한다는 사람의 태도였나요? 강한 카리스마를 가진 주최자가 기분 좋게 ‘부탁하니까 보여줘 봐’라는 식이었던 것 같습니다. 반면 <가요무대> 김동건씨의 진행은 한국식 정서와 절제가 담긴 어떤 미덕을 상징했습니다. 동요 없는 음성으로 이렇게 인사했지요. “전국의 시청자 여러분, 해외에 계신 동포 여러분, 해외에서 이 시간에도 땀을 흘리고 있는 근로자분, 안녕하십니까.” 과연 지구 어디까지 이 멘트가 전달될까 궁금했습니다.

엠시는 이덕화씨처럼 힘을 배분하기도 하고, 김동건씨처럼 말의 도착지를 예측하기도 합니다. “부탁해요”와 “해외동포”를 간만에 발음하다 보니 내 말만 하려는 100명의 연설가보다는 1명의 명엠시가 필요한 때라는 생각이 절실해집니다.

현시원 기자

※앞으로 4주 동안 기자들이 ‘esc를 누르며’를 번갈아 씁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ESC 많이 보는 기사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1.

70년간 갈비 구우며 신화가 된 요리사, 명복을 빕니다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2.

만찢남 “식당 창업?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래도 하고 싶다면…”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3.

내가 만들고 색칠한 피규어로 ‘손맛’ 나는 게임을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4.

히말라야 트레킹, 일주일 휴가로 가능…코스 딱 알려드림 [ESC]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5.

새벽 안개 헤치며 달리다간 ‘몸 상할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