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당 대선 후보 경선방식
강재섭 대표, “조기과열 우려 논의 자제하자” 경계
이재오 위원 “준 국민참여 경선제 하자” 거듭 주장
이재오 위원 “준 국민참여 경선제 하자” 거듭 주장
한나라당에서 당내 대선 후보 경선 방식을 둘러싼 논란이 점화될 모양새다. 당 지도부는 서둘러 진화에 나섰지만 논란이 가라앉을 지는 미지수다.
강재섭 대표는 13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최근 우리 의원들께서 공정한 경선을 위해 여러가지 의견을 내놓는 것은 좋은 일이지만 지금 이런 이야기를 할 때가 아니다”라며 “오픈 프라이머리라든지 이런 것도 결국 여권이 정계개편을 하려고 밑자락을 까는 일들이기 때문에 금년에는 이를 서로 자제하는 것이 좋겠다”고 말했다.
이는 전날 모든 당원에게 투표권을 주고 그 숫자 만큼의 일반 국민에게도 투표권을 줘 선거인단 규모를 100만명 이상으로 대폭 확대하자고 한 같은당 이재오 최고위원의 대선후보 경선방식 제안에 제동을 건 것이다.
강 대표는 그동안 심판 구실을 강조하며 대의원과 당원, 일반 국민, 여론조사를 각각 ‘2:3:3:2’의 비율로 반영해 4만명 정도가 참여하는 현행 경선방식을 바꾸는데 부정적인 뜻을 밝혀왔다.
강 대표는 또 “최근 출범한 의원 줄세우기 반대 모임인 `희망모임'에서 조기에 경선관리위원회를 꾸리자고 요구했는데 그렇게 되면 경선과열을 부추기게 될 가능성이 커 역시 동의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한 당직자는 “강 대표가 이 최고위원의 주장을 지도부 흔들기나 특정후보 편들기 의도에서 나온 것으로 보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 최고 위원은 당내 대선주자 중 한사람인 이명박 전 서울시장과 가까운 사이다.
권영세 최고위원도 “지도부에 몸담고 계시거나 지도부의 중요한 위치에 몸담고 계셨던 본들이 직·간접으로 경선을 과열시킬 수 있는 행동을 보인다면 당에 크게 해를 끼치는 것인 만큼 자제해야 한다”고 이 최고위원을 직접 비판했다.
그러나 이 최고위원은 자신의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이 최고위원은 최고위원회를 마친 뒤 “당원 일부만 참여하는 현재 경선 방식은 편가르기와 줄세우기 등으로 적잖은 후유증을 남겨 정작 중요한 본선에서의 경쟁력을 떨어뜨리게 된다”며 “열린우리당은 오픈프라이머리로 전국을 돌며 바람을 일으키는 사이, 한나라당은 체육관 안에서 후보를 뽑게 되면 이미 출발에서 50보는 뒤지게 된다”고 거듭 ‘준 국민참여 경선제’의 정당성을 주장했다.
결국 한나라당은 경선 방식에 관해 최고위원들끼리 따로 모여 다시 논의하기로 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결국 한나라당은 경선 방식에 관해 최고위원들끼리 따로 모여 다시 논의하기로 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