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 대선을 앞두고 특정 대권주자를 지지하는 정치성향의 단체가 잇따라 생겨나고 있다.
이들 단체는 외형적으로는 `새로운 정치질서 창조' `선진조국 건설' `지역 경제발전의 성장동력 마련' 등을 내세우며 시민단체나 학술단체를 표방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대선을 겨냥해 특정 대권주자를 직.간접적으로 지지하는 조직 성격이 강하다는 분석이다.
20일 창립대회를 가진 새물결 희망연대는 `제2의 새마을운동'을 통한 선진조국 건설을 슬로건을 내걸었다.
교수와 변호사, 시민단체 관계자 등이 참여한 이 단체는 공개적으로 지지 후보를 밝히고 있지는 않지만 한나라당 박근혜(朴槿惠) 전 대표의 선친인 박정희(朴正熙) 전 대통령의 지지자들이 다수 회원으로 가입해 자연스럽게 박 전 대표에 대한 지지로 이어질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박 전 대표는 창립대회에 참석해 특강을 하기도 했다.
앞서 18일 창립총회를 가진 대구 동아시아 미래포럼은 또 다른 한나라당 대권주자인 손학규(孫鶴圭) 전 경기지사의 외곽 조직인 동아시아 미래재단의 대구지부 성격을 띠고 있다.
손 전 지사는 지난 연말 대구방문 때 이 조직 창립준비위원들과 조찬을 하는 등 관심을 보여 왔다.
박, 손 두 대권주자 보다 먼저 대구.경북에서 대선을 염두에 둔 지지기반 구축활동을 벌인 것은 이명박(李明博) 전 서울시장 측이다. 전국 조직을 갖춘 포럼 한국의 힘이 지난해 11월 대구에서 창립대회를 가졌고 같은 해 9월에는 이 전 시장이 핵심 대선공약으로 내건 경부운하 건설을 통한 지역 경제살리기를 주장하는 대구.경북 경제살리기 경부운하 추진본부가 결성됐다. 지난해 초에는 학계 인사가 중심이 된 선진 한국 국민포럼이 창립됐다. 각 캠프에선 이런 단체들이 자생적 단체로 자발적인 지지 의사를 표명하고 있을 뿐 자신들과는 무관하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하지만 지역 정가에선 한나라당이 전통적으로 강세를 보여온 대구.경북지역에 대한 `선점'이 향후 당내 대권후보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는데 결정적인 만큼 각 후보가 관심을 쏟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지역 정치권 한 관계자는 "당내 대권후보 경선이나 연말 `본선' 상황이 되면 이들 단체가 지지 후보를 분명하게 드러내고 지지세 확산을 위해 전면에 나설 것"이라고 예상했다. 류성무 기자 tjdan@yna.co.kr (대구=연합뉴스)
박, 손 두 대권주자 보다 먼저 대구.경북에서 대선을 염두에 둔 지지기반 구축활동을 벌인 것은 이명박(李明博) 전 서울시장 측이다. 전국 조직을 갖춘 포럼 한국의 힘이 지난해 11월 대구에서 창립대회를 가졌고 같은 해 9월에는 이 전 시장이 핵심 대선공약으로 내건 경부운하 건설을 통한 지역 경제살리기를 주장하는 대구.경북 경제살리기 경부운하 추진본부가 결성됐다. 지난해 초에는 학계 인사가 중심이 된 선진 한국 국민포럼이 창립됐다. 각 캠프에선 이런 단체들이 자생적 단체로 자발적인 지지 의사를 표명하고 있을 뿐 자신들과는 무관하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하지만 지역 정가에선 한나라당이 전통적으로 강세를 보여온 대구.경북지역에 대한 `선점'이 향후 당내 대권후보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는데 결정적인 만큼 각 후보가 관심을 쏟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지역 정치권 한 관계자는 "당내 대권후보 경선이나 연말 `본선' 상황이 되면 이들 단체가 지지 후보를 분명하게 드러내고 지지세 확산을 위해 전면에 나설 것"이라고 예상했다. 류성무 기자 tjdan@yna.co.kr (대구=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