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좌관 교수 “수질오염으로 인구 54% 취수원 바꿔야”
환경운동연합 ‘경부운하 한국판 뉴딜인가 망상인가’ 토론회
환경운동연합 ‘경부운하 한국판 뉴딜인가 망상인가’ 토론회
이명박 전 서울시장의 주요 대선 공약 가운데 하나인 경부운하 건설이 한강과 낙동강에서 홍수피해를 가중시킬 우려가 있다는 학자들의 주장이 제기됐다.
부산가톨릭대 환경공학과 김좌관 교수는 4일 환경운동연합 등의 주최로 서울 종로구 사회복지모금회 강당에서 `경부운하 한국판 뉴딜인가 망상인가'를 주제로 열린 토론회에서 "경부운하를 건설하면 낙동강 본류의 수위가 올라 강우시 지천과 본류 합류지점이 범람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경부운하 계획에 따른 비판적 고찰'이라는 제목의 발표문에서 "한국 하천은 계절별 유량 차이가 극심해 가을부터 봄까지 낙동강 중상류 수심은 1m도 채 안 된다"며 "배가 다니기 위해 본류의 수심을 5m 이상으로 높이면 지천의 물이 본류로 못 빠지게 된다"고 밝혔다.
그는 "이런 현상은 이미 여름 홍수기에 대비해 높은 둑을 쌓아놓은 낙동강 하류 지천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이라며 "범람피해를 막기 위해 한강과 낙동강 본류로 유입되는 모든 지천에 홍수피해 대책을 별도 수립하려면 천문학적인 비용이 추가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또 "운하가 건설되고 하천에 배가 다니면 수질오염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돼 강물을 상수원수로 쓰는 일을 포기해야 될 것"이라며 "2005년 기준으로 한강유역 주민 등 우리나라 인구의 54%에 이르는 2천500만명이 취수원을 바꿔야 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관동대학교 토목공학과 박창근 교수도 이날 `경부운하 건설의 공학적 문제점'이라는 발표문을 통해 "유역면적당 홍수량 비율을 살펴보면 독일 라인강에 비해 한강의 홍수량 집중도가 약 23배에 달한다"며 "그 만큼 운하구조물의 설계도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차대운 기자 setuzi@yna.co.kr (서울=연합뉴스)
차대운 기자 setuzi@yna.co.kr (서울=연합뉴스)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