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송파구 문정1동 ‘느티나무 정자마당 추진위원회’의 문홍식 간사가 문정1동사무소 위로 뻗은 느티나무 가지를 가리키고 있다. 이완 기자

“‘하이 서울 페스티벌’로 배수로 메워 알 낳을 곳 없어졌어요”
570살 문정동 느티나무 “동사무소 지으며 제 몸을 자른대요”
“제 가지들을 자르지 말아주세요.”
안녕하세요. 저는 서울 송파구 문정1동에 사는 570살 먹은 느티나무랍니다. 임진왜란에 한국전쟁, 강남 개발까지 모진 풍파를 겪으면서도 주민들의 보살핌 속에 용케 잘 버텨왔습니다. 예전엔 주민들이 제 곁에서 그네도 타고 마을회의도 열곤 했답니다.
하지만 요즘 저는 가시방석입니다. 제 바로 옆 3층짜리 문정1동사무소를 새로 짓는다고 해서요. 그러려면 동사무소 옥상 위로 웃자란 제 가지도 쳐내야 하고, 땅을 파는 과정에서 제 뿌리도 드러난다고 하네요.
그래서 저를 사랑하는 주민들은 모임까지 만들어 아예 동사무소를 이전하고 제 주변을 정자공원으로 만들자고 요구하고 있습니다. 제 운명이 결정될 날은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송파구는 다음달 30일 동사무소 신축 여부를 결정한답니다. 다른 터가 확보되지 않으면 지하 2층, 지상 5층의 새 건물을 올린다네요. 서울시는 대체부지가 없다면서 구청과 서로 책임을 미루고 있습니다.
두 층이나 더 큰 새 건물이 들어서면, 제 가지들이 햇빛을 보기 위해 제 키는 얼마나 더 커야할까요. 비록 말을 못한다고 해서 이 동네 터줏대감인 저를 이렇게 대해도 되는 건가요?
570살 문정동 느티나무 “제 몸을 자른대요”
[%%TAGSTORY1%%]
노들섬 맹꽁이 “배수로 메워버려 알 낳을 곳이 없어졌어요”
저는 서울 노들섬에 사는 맹꽁이입니다, 꾸벅. 문정동 느티나무는 그래도 살던 곳에 있을 수 있지만 저는 이제 이 곳을 떠나야 할지 모릅니다. 저는 1년에 딱 한번 장마철에 땅 밖으로 나와 산란을 하는데, 알을 낳을 수 있는 배수로가 없어졌기 때문입니다. 며칠 전 서울시가 ‘하이 서울 페스티벌’을 연다며 제가 있는 노들섬 배수로를 메워 버렸거든요. 서울시가 계획중인 오페라하우스나 문화센터를 짓는다면 저는 어쩔 수 없이 짐을 싸고 나가야 할지도 모릅니다.
저 같은 게 대수냐고요? 저도 엄연한 노들섬 주민이랍니다. 게다가 환경부는 저를 멸종위기 동물로 지정했지요. 그래서 저를 챙겨주시는 한숙영(서울환경운동연합) 누나는 걱정이 많답니다. 제가 사는 노들섬의 습지가 이미 단단하게 다져져 버렸고, 지난해부터 배수로에서 발견되는 맹꽁이 알들이 많이 줄었거든요.
서울시는 행사 뒤에 다시 배수로를 파 풀이 나오면 된다고 합니다. 하지만 저를 연구하는 한국양서파충류연구소의 김종범 소장님은 “그럴 경우 맹꽁이가 다시 노들섬에 돌아오기 힘들다”고 단언하십니다. 한강 가운데 있는 섬이라 제가 피할 곳이 없거든요. 이완 기자 wani@hani.co.kr
노들섬 맹꽁이의 절규 “나 다시 한강으로 돌아갈래~”
[%%TAGSTORY2%%]

‘하이 서울 페스티벌’이 끝난 뒤인 8일 오전 찾은 노들섬. 맹꽁이 보호를 위해 쳐둔 줄과 출입금지 안내문이 축 늘어져 있다. 이완 기자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