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 의장은 한국사회에서 바꾸고 싶은 것으로 ‘입시경쟁교육, 소통의 부재, 잘못된 정치인’을 꼽았다. ⓒ 인터넷뉴스바이러스
[인물] 청소년 시국선언 릴레이 인터뷰(1) 전국청소년학생연합 의장 유선경(고2)
대학교수의 시국선언을 시작으로 대학생, 시민사회원로, 종교계, 청소년까지 시국선언이이어지고 있다.
87년 6월 항쟁이 ‘호헌철폐’, ‘독재타도’의 구호로 직선제를 만들었다면, ‘지금은 어떤 현실을 바꾸고싶은지’ 시국선언에 참여한 전국청소년학생연합 유선경(고2)의장을 만나 들어보았다.
- 대학교수의 시국선언을 어떻게 생각합니까?
“먼저 대학 교수들은 지식인들이죠. 시국선언이라는 것 자체가 ‘문제가 있다고 판단할 때’ 에 하는 거잖아요. 작년과는 달리 올해에 이런 ‘시국선언’이 있어 많은 분의 관심을 끌었다고 생각해요. 분명히 사회는 바뀌어 가는데 모르시는 분들이 많았거든요. 시국선언 덕에 이것저것 알려지는 것도 많아서 다행인 것 같기도 하고요. ”
- 청소년 시국선언에 대해 어떻게 생각합니까? “청소년들이 시국선언에 나서는 것에 대해 적극 찬성합니다. 사회에 문제가 있다면 청소년 얘기는 빠질 수가 없거든요. 우리의 목소리는 우리가 직접 내야 하지 않을까요. 또한 본인은 당연히 참여해야 겠죠. 항상 그렇듯이 ‘청소년들이 공부나 해야지’ 라고 생각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어요. 우리도 우리의 목소리를 표현할 권리는 있는걸요. 적어도 우리가 왜 나왔는지, 무엇을 주장하는지 들어 주기만 하셔도 매우 감사할 것 같아요.” - 청소년 입장으로 한국사회에서 바꾸고 싶은 것은 무엇입니까? “첫번째로 ‘입시경쟁교육’ 입니다. 대학을 가기 위해서, 학생들의 피를 말리죠. 너무 입시만 강조하는 교육이라 학생들의 제대로 된 인격 성장이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청소년 자살율이 높아 진 것만 봐도 아실거에요. 고교등급제, 기여입학제 같은 게 부활된다고 하니 할 말이 없습니다.경쟁도 입시뿐이고 진로직업교육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서 인력손실이 매우 크다고 봅니다. 정말. 그저 학생들은 더 힘들어지겠지요. 두번째로 소통의 부재요. 정부에서 촛불집회를 하면 잡아가고, 구속시키고, 우리의 의견을 말하는 건데도, 못하게 막네요. 이게 많이 아쉬워요. 세번째로 잘못된 정치인이요. 정치를 하는 사람들은 ‘대변인’ 이에요. 우리들의 대표에요. 우리들의 이야기를 주장해줘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렇지만, 현재 사회 구조를 보면 그렇지가 않네요.” -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명박 대통령에게 요구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우리의 목소리를 들어주셨으면 좋겠어요. 물론 현재 정책이 그분에게는 옳은 것 일수도 있어요. 그렇지만 그 옳은 점을 설명해줘야 우리가 뭔가 판단할 수 있지 않을까요? 위에서만 이야기나누는 일은 더 이상 그만해주셨으면 해요. 국민들과 소통을 통해 정책에 대한 구체적인 합의를 해야해요. 당당하다면, 나오세요.” 신철훈 기자 shin2na@hanmail.net
ⓒ2007 대한민국 청소년들의 즐겨찾기 - 인터넷뉴스 바이러스
- 청소년 시국선언에 대해 어떻게 생각합니까? “청소년들이 시국선언에 나서는 것에 대해 적극 찬성합니다. 사회에 문제가 있다면 청소년 얘기는 빠질 수가 없거든요. 우리의 목소리는 우리가 직접 내야 하지 않을까요. 또한 본인은 당연히 참여해야 겠죠. 항상 그렇듯이 ‘청소년들이 공부나 해야지’ 라고 생각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어요. 우리도 우리의 목소리를 표현할 권리는 있는걸요. 적어도 우리가 왜 나왔는지, 무엇을 주장하는지 들어 주기만 하셔도 매우 감사할 것 같아요.” - 청소년 입장으로 한국사회에서 바꾸고 싶은 것은 무엇입니까? “첫번째로 ‘입시경쟁교육’ 입니다. 대학을 가기 위해서, 학생들의 피를 말리죠. 너무 입시만 강조하는 교육이라 학생들의 제대로 된 인격 성장이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청소년 자살율이 높아 진 것만 봐도 아실거에요. 고교등급제, 기여입학제 같은 게 부활된다고 하니 할 말이 없습니다.경쟁도 입시뿐이고 진로직업교육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서 인력손실이 매우 크다고 봅니다. 정말. 그저 학생들은 더 힘들어지겠지요. 두번째로 소통의 부재요. 정부에서 촛불집회를 하면 잡아가고, 구속시키고, 우리의 의견을 말하는 건데도, 못하게 막네요. 이게 많이 아쉬워요. 세번째로 잘못된 정치인이요. 정치를 하는 사람들은 ‘대변인’ 이에요. 우리들의 대표에요. 우리들의 이야기를 주장해줘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렇지만, 현재 사회 구조를 보면 그렇지가 않네요.” -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명박 대통령에게 요구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우리의 목소리를 들어주셨으면 좋겠어요. 물론 현재 정책이 그분에게는 옳은 것 일수도 있어요. 그렇지만 그 옳은 점을 설명해줘야 우리가 뭔가 판단할 수 있지 않을까요? 위에서만 이야기나누는 일은 더 이상 그만해주셨으면 해요. 국민들과 소통을 통해 정책에 대한 구체적인 합의를 해야해요. 당당하다면, 나오세요.” 신철훈 기자 shin2na@hanmail.net
ⓒ2007 대한민국 청소년들의 즐겨찾기 - 인터넷뉴스 바이러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