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대학 진학’만이 유일한 가치로 여겨지는 한국의 교육 현실. 사진 속 급훈을 보면 대부분 고등학교 선생님들의 심정이 반영돼 있다. ⓒ 바이러스 자료사진
[청소년여론] ‘내말 좀 들어줘!’ (지금 청소년이 하는 고민과 생각을 들어본다)
첫번째 - 고등학교 새내기의 하소연
첫번째 - 고등학교 새내기의 하소연
‘고등학교 신입생’을 ‘군대에서 군기 잡듯’ 대하는 선생님
광주 K 여고에 다니는 L양(17)은 기자의 전화를 받자마자 고등학교에 입학 후 일주일 동안 있었던 일을 봇물 터지듯 쏟아냈다.
“시험도 시험이지만 자꾸 주위사람들이 ‘대학 이야기’해요. 담임이랑 오늘 상담도 했는데 보통 ‘상담’이라면 서로 함께 이야기를 하고 소통하는 건데, 선생님 혼자 고1때가 중요하다’라면서 ‘서울권 대학은 가야 하지 않겠니’라고 말해요. 또 ‘널린 게 대학인데 네가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어느 대학에 갈지 정해진다’라고 그러고…. 만나는 선생님마다 ‘대학대학대학대학!’ 휴.... 저 입학한 지 이제 1주일 됐어요. 학교 늦게 끝나는 건 참을 수 있는데 제발 알아서 할 테니깐 부담 좀 그만줬으면….”
L양은 벌써 고3인 양 자신을 겁주는 듯한 선생님들의 태도에 속이 상하고 짜증 난다고 했다.
자신도 충분히 알고 있고 스스로 할 수 있는데 ‘부담 100만 배’로 가중시키니 오히려 스트레스만 쌓인다. “스트레스 때문에 학업에 집중하기 어렵다”며, ‘학교에서 너무 그러지 말았으면 한다’는 하소연을 했다. 그리고 L양은 중학생일 때는 몰랐는데, 고등학교에 들어와 1주일을 겪어보니 ‘중학교 때가 완전 행복했구나!’ 하는 것을 새삼 체감했다고 한다. 지금은 그저 빨리 ‘학교에서 탈출’하고 싶다는 생각밖에 들지 않는다고 했다. L양의 담임교사는 얼마 전 야자시간에 대대적인 상담을 진행했다고 한다. 그런데 그건 상담이 아니라 ‘입시 컨설턴트’ 또는 ‘좋은 대학가라는 명령’이었지 ‘상담다운 상담’은 아니라고 했다. L양과 상담할 때 담임교사는 자신의 아들이 경찰대에 입학한 것을 은근하게 자랑했고, L양과 비교를 하면서 무시를 하기도 했다. 밑도, 끝도 없이 수학비법을 언급하며 상담시간에 억지로 ‘수학수업’을 듣기도 했다며 ‘상담 아닌 상담시간’에 대한 불만을 털어놓았다. 여태까지 ‘꿈’도 없이 뭐하고 살았느냐? 기자가 가장 어이없단 생각을 했던 대목이 있다. 바로 ‘선생님이 학생들에게 꿈이 없냐며 되물었다는 것’이다. 아직 야자에 익숙하지도 않은 신입 고등학생인데 심화반은 11시 반까지 자습을 강행하고, 사실상 여러 가지로 ‘대학 아닌 것에 관심 두지 말고’ 오직 ‘빡세게 입시 공부해라’라는 식으로 계속 ‘주입 세뇌’를 시켜놓고선 ‘꿈이 왜 없느냐?’라고 말한 것이 도무지 이해가 가질 않는다.
실제로 L양은 ‘청소년·교육’과 관련된 여러 시민단체에서 활동하는 생각이 남다른 청소년이다. 그러나 미래에 자신이 무엇을 해야 할지 확실한 꿈이 없는 것은 보통의 대한민국 청소년들과 마찬가지다. 그런데 ‘이렇게 될 수밖에 없이 만든 곳’에서 ‘왜 꿈이 없느냐는 이유’를 물으니 L양은 ‘할 말이 없다’라는 반응을 보였다.
정말 대한민국 고등학생은 ‘대학가기 위한 성적’만을 생각하고 그것을 잘 수행해야 ‘고등학생다운 고등학생’인 것일까? 설령 현실이 그렇다고 치자. 그렇다면 갓 올라온 신입생에게 그렇게 심한 부담감을 주는 것이 과연 ‘현실적인 대학진학이라는 목적’을 실현하는 데 효과적일까?
다른 ‘구조적이고 개혁적인 생각’을 제쳐놓고 ‘대한민국 고등학교’라는 현실로 들어갔다고 생각해서, 일단 ‘교사와 학생’이 대학 진학이라는 ‘현실적인 목적’에 어느 정도 상호동의를 했다고 가정해보자.
그러면 학교와 교사가 학생에게 ‘일방적인 강요와 부담전선’을 밀어붙이는 것이 정말 능률적인지 대한민국의 모든 교육자에게 ‘진지한 물음표’를 던져보고 싶다.
박효영 hyobal22@hanmail.net
ⓒ2007 대한민국 청소년들의 즐겨찾기 - 인터넷뉴스 바이러스
자신도 충분히 알고 있고 스스로 할 수 있는데 ‘부담 100만 배’로 가중시키니 오히려 스트레스만 쌓인다. “스트레스 때문에 학업에 집중하기 어렵다”며, ‘학교에서 너무 그러지 말았으면 한다’는 하소연을 했다. 그리고 L양은 중학생일 때는 몰랐는데, 고등학교에 들어와 1주일을 겪어보니 ‘중학교 때가 완전 행복했구나!’ 하는 것을 새삼 체감했다고 한다. 지금은 그저 빨리 ‘학교에서 탈출’하고 싶다는 생각밖에 들지 않는다고 했다. L양의 담임교사는 얼마 전 야자시간에 대대적인 상담을 진행했다고 한다. 그런데 그건 상담이 아니라 ‘입시 컨설턴트’ 또는 ‘좋은 대학가라는 명령’이었지 ‘상담다운 상담’은 아니라고 했다. L양과 상담할 때 담임교사는 자신의 아들이 경찰대에 입학한 것을 은근하게 자랑했고, L양과 비교를 하면서 무시를 하기도 했다. 밑도, 끝도 없이 수학비법을 언급하며 상담시간에 억지로 ‘수학수업’을 듣기도 했다며 ‘상담 아닌 상담시간’에 대한 불만을 털어놓았다. 여태까지 ‘꿈’도 없이 뭐하고 살았느냐? 기자가 가장 어이없단 생각을 했던 대목이 있다. 바로 ‘선생님이 학생들에게 꿈이 없냐며 되물었다는 것’이다. 아직 야자에 익숙하지도 않은 신입 고등학생인데 심화반은 11시 반까지 자습을 강행하고, 사실상 여러 가지로 ‘대학 아닌 것에 관심 두지 말고’ 오직 ‘빡세게 입시 공부해라’라는 식으로 계속 ‘주입 세뇌’를 시켜놓고선 ‘꿈이 왜 없느냐?’라고 말한 것이 도무지 이해가 가질 않는다.
밤늦게까지 야자를 강행하는 학교의 모습. 공식적인 법으로는 금지된 ‘야자’이지만 우리나라 고등학교에서는 공공연히 시행되고 있다. 사실상 ‘야간강제학습’이란 칭호가 더 적합하다. ⓒ 바이러스 자료사진
ⓒ2007 대한민국 청소년들의 즐겨찾기 - 인터넷뉴스 바이러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