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사회일반

‘부자정권’ 등돌린 민심 ‘서민 노무현’ 공감

등록 2009-06-01 20:32수정 2009-06-02 00:21

노무현 전 대통령을 추모하는 시민들이 1일 낮 서울 덕수궁 대한문 앞 시민분향소에서 노 전 대통령의 영정에 절을 하고 있다. 분향소 옆으로 지난 30일 새벽 경찰이 강제철거한 예전 분향소의 잔해가 흐트러진 채 놓여 있다.  이정아 기자 <A href="mailto:leej@han.co.kr">leej@han.co.kr</A>
노무현 전 대통령을 추모하는 시민들이 1일 낮 서울 덕수궁 대한문 앞 시민분향소에서 노 전 대통령의 영정에 절을 하고 있다. 분향소 옆으로 지난 30일 새벽 경찰이 강제철거한 예전 분향소의 잔해가 흐트러진 채 놓여 있다. 이정아 기자 leej@han.co.kr
사회적 약자보호 등 정치적 요구 노전대통령에 투영
정통 진보와 다른 흐름 존재 확인…진보진영 숙제로
“이웃집 아저씨처럼 친근한 서민적인 대통령이셨어요. 다시는 그런 대통령이 나오지 않을 것 같습니다.”(김성수·42)

노무현 전 대통령의 국민장 기간 동안 500여만명이 분향소를 찾는 뜨거운 추모 열기의 ‘정체’를, 시민사회와 학자들은 ‘서민성’에서 찾고 있다. 선거 때면 흔히 등장하는 구호 정도로 인식됐지만, 노 전 대통령 서거를 통해 정치·사회적 함의를 내포하고 있음이 새삼 확인됐다는 것이다.

분향소에 남긴 ‘장삼이사’의 추모사에선 ‘가난한 사람들의 대통령’ ‘서민 대통령’ 등의 표현이 가장 많이 등장했다. 인터넷 공간에선 노 전 대통령의 ‘서민적 풍모’를 담은 사진과 동영상이 여전히 유행하고 있다. 추모객들은 분향소에서 ‘서민 대통령’과 나눴던 정서적 동질감을 표시했다.

이런 동질감의 일차적 원인으론 이명박 정부에 대한 반감이 꼽힌다. ‘강부자 정권’으로 서민과 대척점에 서 있다고 생각하니, 노 전 대통령의 서민적 풍모가 더 도드라진다는 것이다. 정상호 한양대 제3섹터연구소 연구교수는 “대통령 노무현의 정책이 아닌, 진정성과 같은 가치에 대한 추모 열기”라며 “이명박 정부의 귀족성과 대비되는 점”이라고 말했다.

되짚어보면 우리 사회에서 ‘서민성’은 대선 등에서 큰 위력을 발휘했다. 2002년 대선 당시 이회창 한나라당 후보의 아들 병역비리에 대한 ‘분노’의 뿌리에는 서민성이 자리잡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도 2007년 대선 당시 ‘샐러리맨 신화’로 국민적 기대를 모았다. 한홍구 성공회대 교수(역사학)는 “노 전 대통령은 좋은 아버지를 만나지 않아도, 대학을 나오지 않았어도 변호사가 될 수 있고 대통령이 될 수 있다는 희망의 증거였다”고 말했다.

서민은 ‘아무 벼슬이나 신분적 특권을 갖지 못한 일반 사람’ 혹은 ‘경제적으로 중류 이하의 넉넉지 못한 생활을 하는 사람’을 일컫는 말이지만, 노 전 대통령을 만나 정치적 상징성을 띠게 됐다는 지적도 나왔다. 김호기 연세대 교수(사회학)는 “경제위기에도 부자들을 위한 정책으로 일관하는 현 정부를 보면서 서민들은 자신의 정치적 요구를 노 전 대통령에게 투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민성은 진보진영에 숙제를 던져주고 있다. 진보진영은 여성, 비정규직, 노동자, 장애인 등 ‘서민을 위한 정치’를 내세우고 있지만, 노 전 대통령만큼 국민적 신뢰를 얻지는 못하고 있다. 김종엽 한신대 교수(사회학)는 “진보진영이 추상적인 언어만 쓰고 서민에게 다가가는 힘이 약하다”고 지적했다. 정상호 연구교수는 “민주노총이나 전교조로 상징되는 한국의 ‘정통 진보’와는 다른 흐름이 존재한다는 것을 이번 기회에 확인했다”고 말했다.

김민영 참여연대 사무처장은 “격식을 따지지 않고 누구와도 쉽게 소통하는 노 전 대통령의 생전 모습에 국민들이 감동을 받은 듯하다”며 “시민운동이든 진보정치든 자기 틀에 갇혀 국민들과의 소통에 실패한 것은 아닌지 성찰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정유경 기자 edge@hani.co.kr

한겨레 주요기사
▶ ‘부자정권’ 반감이 ‘서민 노무현’ 공감으로
▶ 경호관, 청와대에도 거짓말…동료는 알고도 묵인
▶ 오바마는 왜 한국 교육을 부러워할까? / 이범
▶ 잘 때리던 이승엽, 도대체 왜?
▶ “서해 북한군, 평소보다 탄약 2배 비축”
▶ ‘국채 계속 사달라’ 중국에 고개숙인 미국
▶ 점점 커지는 ‘4대강 사업’…예산 5조 추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1.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2.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3.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4.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5.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