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스포츠 스포츠일반

서울이라는 숲에 딱 한마리-야광토끼

등록 2016-08-12 12:53수정 2016-08-12 19:41

[토요판]이재익의 인디밴드 열전

가요계에서 가장 흔한 여자 가수의 모습은 걸그룹이다. 너무 많아서 멤버들 이름만 나열해도 이 칼럼의 지면이 모자랄지 모른다. 그 다음으로는 발라드 가수들이 많다. 솔로나 팀을 이루어 여성 특유의 감성으로 사랑노래를 하는 여가수들. 솔로로 활동하는 여성 댄스가수들도 많다. 넓게 봐서 포크록의 범주에 넣을 수 있는 여성 아티스트들도 제법 있다. 여성로커는 많지 않지만, 그래도 다섯 손가락은 채울 수 있을 것 같다.

그런데 야광토끼라는 아티스트는 대체 어느 범주에 넣어야할 지 모르겠다. 내가 알기로 야광토끼와 비슷한 아티스트는, 적어도 우리나라엔 없다. 알고 있다면, 알려 달라.

야광토끼는 임유진이라는 여성 아티스트의 1인 프로젝트 명이다. 임유진은 인디씬에서는 거물이 된 팀 ‘검정치마’(지금은 솔로지만)에서 키보드를 쳤는데 2011년 돌연 아홉 곡의 노래가 담긴 앨범을 발표했다. 야광토끼라는 뜬금없는 이름으로.

아티스트에게 전화를 걸어 물어보거나, 그게 귀찮다면 인터넷만 잘 검색해 봐도 왜 야광토끼라는 이름을 지었는지 알 수 있을 테지만, 나는 그러지 않기로 했다. 대신 소설가의 상상력을 동원해 어떤 장면을 떠올려본다.

때는 초여름. 새벽 두 시가 막 지난 시간. 술과 음악에 취한 임유진은 클럽에서 음악에 몸을 맡기고 있었다. 과한 춤을 싫어하는 그는 그저 흔들흔들 리듬을 탈 뿐. 음악은 고막으로 마시는 술이라는 그의 주장처럼, 그러고 있노라면 영혼이 말랑말랑해지는 기분이었다. 충분히 취했다고, 이제 그만 집으로 돌아가야겠다고 생각할 때쯤 앳된 소녀 한 명이 눈에 들어왔다. 이제 겨우 스무 살이 되었으려나? 말간 얼굴의 소녀는 목도 어깨도 참 하얗다. 그런데 소녀의 어깨에 작은 문신이 있다. 토끼. 클럽의 조명에 반짝이는 토끼가 마치 스스로 발광하는 것 같다. 그 순간 임여진은 강렬한 감상에 사로잡힌다. 눈앞의 소녀가, 토끼 문신이 마치 이 도시에 스멀거리는 멜랑콜리와 센티멘탈의 상징 같다고 생각한다. 그래. 이 느낌을 노래로 만들자. 나만의 노래를. 팀 이름은 야광토끼가 좋겠어!

아마 내 상상은 실제와 다를 것이다. 그러면 또 어떤가. 언제나 대상과 해석은 다르기 마련이니, 그럴듯하면 됐지. 사실, 이 장면은 야광토끼의 노래를 들을 때 떠오르는 나만의 느낌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야광토끼의 첫 번째 음반 타이틀은 <서울라이트>(Seoulight). 타이틀에서도 알 수 있듯, 서울이라는 대도시에 사는 평범한 여자가 느끼고 생각할 수 있는 것들을 도회적인 리듬과 멜로디에 듣기 좋게 실어놓았다. 건반주자답게 선율이 무척이나 풍성하다. 리듬을 앞세우고, 멜로디는 최대한으로 간결하게 만드는 요즘의 추세와는 정반대의 노래들이었다. 80년대, 90년대의 아이콘들인 강수지나 이지연, 김완선의 이름이 떠오르는 건 당연한 일이었고.

첫 번째 음반을 내고 난 후, 야광토끼는 오래 동안 숨어있었다. 본인은 활동을 한다고 했을지 모르겠는데, 1년에 노래 한 곡도 채 발표하지 않은 셈이다. 방송국 피디가 느끼기에도 뜸했으니, 대중이 느끼기엔 활동중단에 더 가까웠을 거다.

데뷔하고 무려 5년이 흐른 뒤, 야광토끼는 두 번째 정규음반을 들고 우리를 찾아왔다. 많은 것들이 달라졌다. 1집에서 느껴지던 소녀적 감성은 사라지고, 성숙한 전자음이 채우고 있다. 단순히 일렉트로닉 팝의 성향이 강해졌다고만 볼 수는 없다. 국악을 접목한 노래도 있고, 이디엠(EDM) 장르의 장치들을 사용하기도 했다. 특히 타이틀곡은 당장 애프터 클럽이나 라운지 바에서 틀어도 전혀 어색하지 않을 것 같다.

2집의 변화를 달갑지 않게 생각할 팬도 있을 것이다. 난 1집이 훨씬 더 좋은데! 하면서. 뭐 그럴 수도 있다. 데뷔 시절의 야광토끼가 선보였던, 타임머신을 타고 온 1990년 하이틴 아이돌 같은 느낌은 완전히 사라져버렸다. 나 역시 그 지점은 아쉽다. 그러나 여전히 그가 선보이는 음악은 세상에 둘도 없는 음악이다. 앰83(M83)이나, 골드프랩 같은 일렉트로닉 팝 아티스트들이 떠오르기도 하지만, 그들의 음악에는 서울이라는 콘크리트 숲이 없잖은가. 그 숲에 딱 한 마리 살고 있는 희귀한 동물, 야광토끼가 좀 더 자주 나타났으면 좋겠다.

마지막으로 추천곡을 꼽자면, 1집에서는 첫 곡 ‘롱디’(Long-D), 2집에서는 ‘룸314’(Room314)를 추천한다.

이재익 <에스비에스> 피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스포츠 많이 보는 기사

여자국수 김채영 9단, 박하민 9단과 결혼…12번째 프로기사 부부 1.

여자국수 김채영 9단, 박하민 9단과 결혼…12번째 프로기사 부부

파리 생제르맹·레알 마드리드, 챔피언스리그 PO 1차전 승리 2.

파리 생제르맹·레알 마드리드, 챔피언스리그 PO 1차전 승리

아깝게 메달 놓쳤지만…37살 이승훈, 역시 ‘한국 빙속 대들보’ 3.

아깝게 메달 놓쳤지만…37살 이승훈, 역시 ‘한국 빙속 대들보’

최성원과 차유람 앞세운 휴온스, 팀 리그 PO 기적의 막차 탈까? 4.

최성원과 차유람 앞세운 휴온스, 팀 리그 PO 기적의 막차 탈까?

한국 여자컬링, 일본 ‘완벽봉쇄’…2연승으로 1위 순항 5.

한국 여자컬링, 일본 ‘완벽봉쇄’…2연승으로 1위 순항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