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7월 울산 동쪽 바다에서 발생한 규모 5.0의 지진에 이어 같은 해 9월 경북 경주 남쪽에서 규모 5.8의 지진이 발생했다. 이후 부산과 울산 등지에서 가스 냄새가 발생하자, 가스 냄새가 '지진 전조현상'이라는 소문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급속하게 퍼졌다. 이 소문은 곧이어 에스엔에스에 등장한 대규모...
부산장애인부모회, 부산반빈곤센터 등 23개 장애인단체와 시민사회단체로 꾸려진 ‘2017 420장애인 차별철폐 부산공동투쟁단’은 17일 부산시청 앞에서 출범식을 열고 부산시에 장애인 정책요구안을 전달했다. 공동투쟁단은 정책요구안을 통해 부산시에 기존의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운영비를 늘리고, 신규 장애인자립생활센...
부산지검 특수부(부장 임관혁)는 14일 주가시세 조종에 관여한 혐의(자본시장과 금융투자법에 관한 법률 위반)로 성세환 비엔케이(BNK)금융지주 회장의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또 비엔케이금융지주 부사장을 지낸 계열사 사장 김아무개(60)씨와 비엔케이금융지주 부사장 박아무개(57)씨도 같은 혐의로 구속영장을 청구했...
부산경찰청 해양범죄수사대는 중국산 조기와 국산 조기를 섞어 만든 굴비를 100% 국산 굴비로 속여 홈쇼핑 등에서 16만여명에 판 혐의(사기 등)로 수산물 가공업체 대표 구아무개(44)씨를 불구속 입건했다고 14일 밝혔다. 구씨는 지난 2014년부터 2년 동안 전남의 한 수산물 가공작업장에서 국산과 중국산 조기를 6대...
4대강 사업으로 낙동강에 만들어진 대형 보 8개의 완전 개방을 요구하는 국민소송이 제기됐다. 한국강살리기네트워크 등 환경단체와 농·어민으로 꾸려진 ‘낙동강보 완전 개방 국민소송추진본부’(국민소송추진본부)는 13일 서울중앙지방법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낙동강의 재자연화를 위해 대형 보 8개를 완전히 ...
부산의 시민사회단체 원로들이 <국제신문> 차승민(52) 사장 퇴진에 대해 사주인 이정섭 회장의 결단을 촉구하고 나섰다. 차 사장은 해운대 아파트·호텔단지 ‘엘시티’ 비리에 연루돼 공갈 등 혐의로 검찰에 불구속 기소됐다. <국제신문> 노조는 차 사장의 즉각 퇴진과 엄중 처벌을 줄기차게 요구하고 있다. ...
미군의 생화학무기 방어전략인 ‘주피터 프로그램’의 부산항 8부두 배치 결정에 부산 시민들의 반대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부산시민운동단체연대, 부산여성단체연합, 부산민중연대, 6·15공동선언실천 부산본부 등 시민사회단체들은 11일 부산 남구 감만동 부산항 8부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주한미군은 부산항 8...
부산시가 기장군 고리원자력발전소 앞 바닷물을 담수 처리해 수돗물로 공급하려는 사업에 대해 시민단체들이 백지화를 촉구하고 나섰다. 법원이 1심에 이어 항소심에서도 이 사업이 국가 사무라서 주민투표 대상이 아니라는 부산시에 제동을 걸었기 때문이다. 시민단체들은 삼중수소 등 안전성 논란이 있는 이 수돗물의 ...
법원이 항소심에서도 부산 기장군 고리원자력발전소 앞 바닷물을 담수로 만들어 수돗물로 공급하는 사업이 주민투표 대상에 해당한다고 판단했다. 부산고법 행정1부(재판장 김형천)는 7일 기장군민 100여명이 서병수 부산시장을 상대로 제기한 ‘주민투표 청구인 대표자 증명서 교부신청 거부처분 취소 청구 소송’ 항...
낙동강하구기수생태계복원협의회(협의회)는 7일 “낙동강 하굿둑 개방 운동을 전국 시민운동으로 확대하기 위해 이달 30일까지 ‘하굿둑 개방 시민 서포터즈’를 모집한다”고 밝혔다. 서포터즈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협의회의 블로그(http://blog.daum.net/n-gang/90)에서 참가 신청을 하면 된다. 서포터즈는 ...
부산의 시민사회단체가 미군의 생화학무기 방어전략인 ‘주피터 프로그램’의 부산항 8부두 배치 결정에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자주통일운동 단체인 ‘부산 평화와 통일을 여는 사람들’(부산 평통사)은 6일 논평을 내어 “부산시 16개 구·군의회 의장단과 시민사회단체 등의 반발에도 주한미군이 부산항 8부두 미군...
2014년 4월16일 발생한 세월호 참사 뒤 정부는 승선자 인원을 중구난방으로 집계해 발표했다. 승선자가 정확하게 파악되지 않아 당시 수색·구조 현장에서는 혼선이 빚어졌다. 정부는 승선 명부 미기재, 차량 탑승자 미신고 등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배에 차량을 실은 차량 운전자들은 해당 배에 탑승절차를 밟아 승선하...
부산·경남 지역에서 일하는 외국인 노동자들이 앞으로는 병원에 갈 때 보다 전문적인 통역 서비스를 지원받게 된다. 부산·경남의 이주노동자 인권단체인 ‘이주민과 함께’는 최근 부산대병원과 부산·경남 이주민 공공의료 통역 전문교육·지원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이 단체는 지난 2013~2016년 부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