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독재를 미화하는 교과서 개정 반대 청원운동…, 3,000여명 동참
정부 일각에서 근·현대사 교과서 수정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네티즌들이 ‘독재를 미화하는 역사교과서 개정 반대 운동’을 벌이고 있어 주목된다.
교과부, “교과서 수정 의견 257건 접수”
독재에 대한 부정적 시각, 완화하는 내용 담겨 교육과학기술부는 23일 국방부, 통일부 등 각계에서 교과서 수정 의견 257건이 접수됐다고 밝혔다. 의견을 살펴보면 전두환 군사정권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완화하는 내용을 요청하는 등 독재에 대한 기술을 고치는 의견이 담겨있다.
특히 국방부에선 ‘전두환 정부는 권력을 동원한 강압 정치를 하였다’라는 부분을 ‘전두환 정부는 일부 친북적 좌파 활동을 차단하는 여러 조치를 취하지 않을 수 없었다’라고 수정해달라고 요청했다. 또한, ‘이승만 정부는 남북분단 상황을 이용해 독재정권을 유지했다’을 부분을 ‘이승만 정부는 공산주의 확산을 막는데 최선을 다했다’고 고쳐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 네티즌 반발, “독재를 미화하는 교과서 개정 반대”
청원운동, 이틀사이에 3,000여명 동참 이같은 교과서 개정 움직임이 일어나자, 네티즌들은 반발에 나섰다. 대학에서 역사를 전공한다고 자신을 소개한 네티즌 ‘양심’은 “독재를 미화하는 역사교과서 개정을 반대한다”며 청원운동을 시작했다. 21일 시작했지만, 벌써 3,235명의 네티즌이 동참했다. 그는 청원운동을 소개하는 글에서 “역사를 공부하는 입장에서 정부와 한나라당이 교과서를 개정하는 모습을 보면서 경악을 금치 못했다”며 “독재를 부정하고, 민주주의 개념을 재설정한 것이 무엇이 잘못이었나. 반공 교육을 부활하고, 식민지와 독재 등 권위주의를 미화하는 것이 역사를 배우는 아이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겠느냐”고 반발했다. 교과부가 근·현대사 교과서 257곳 수정을 검토한다는 내용이 담긴 기사에도 네티즌들의 항의가 빗발쳤다. 네티즌 ‘소피스틱’은 “군사정권을 감싸주는 것이 어떻게 해서 역사 바로잡기냐”며 “정권 입맛에 역사를 맞추는 것은 아닌지 우려된다”고 밝혔다. 아이디 ‘가으리’ 역시 “정권이 바뀌면 역사적 사실도 바뀌는 것이냐”며 “일본이나 중국의 역사 교과서 왜곡에는 반응하지 못하면서, 자국의 교과서를 왜곡하는 것은 말도 안된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역사가 바뀐다면, 선거 때마다 정권을 바꾸어야겠다”고 지적했다. 한편, 교과부는 네티즌의 반발에도 국사편찬위원회에 교과서 수정 검토를 의뢰했다. 국사편찬위는 별도의 팀을 구성해 교과부로부터 전달받은 의견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고 있다. 교과부는 국사편찬위의 검토가 끝나는대로, 이를 정리해 11월게 각 출판사에 교과서 수정을 요구할 예정이라 이같은 결과에 네티즌들이 수긍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정혜규 기자 66950@hanmail.net
ⓒ2007 대한민국 청소년들의 즐겨찾기 - 인터넷뉴스 바이러스
독재에 대한 부정적 시각, 완화하는 내용 담겨 교육과학기술부는 23일 국방부, 통일부 등 각계에서 교과서 수정 의견 257건이 접수됐다고 밝혔다. 의견을 살펴보면 전두환 군사정권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완화하는 내용을 요청하는 등 독재에 대한 기술을 고치는 의견이 담겨있다.
특히 국방부에선 ‘전두환 정부는 권력을 동원한 강압 정치를 하였다’라는 부분을 ‘전두환 정부는 일부 친북적 좌파 활동을 차단하는 여러 조치를 취하지 않을 수 없었다’라고 수정해달라고 요청했다. 또한, ‘이승만 정부는 남북분단 상황을 이용해 독재정권을 유지했다’을 부분을 ‘이승만 정부는 공산주의 확산을 막는데 최선을 다했다’고 고쳐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 네티즌 반발, “독재를 미화하는 교과서 개정 반대”
청원운동, 이틀사이에 3,000여명 동참 이같은 교과서 개정 움직임이 일어나자, 네티즌들은 반발에 나섰다. 대학에서 역사를 전공한다고 자신을 소개한 네티즌 ‘양심’은 “독재를 미화하는 역사교과서 개정을 반대한다”며 청원운동을 시작했다. 21일 시작했지만, 벌써 3,235명의 네티즌이 동참했다. 그는 청원운동을 소개하는 글에서 “역사를 공부하는 입장에서 정부와 한나라당이 교과서를 개정하는 모습을 보면서 경악을 금치 못했다”며 “독재를 부정하고, 민주주의 개념을 재설정한 것이 무엇이 잘못이었나. 반공 교육을 부활하고, 식민지와 독재 등 권위주의를 미화하는 것이 역사를 배우는 아이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겠느냐”고 반발했다. 교과부가 근·현대사 교과서 257곳 수정을 검토한다는 내용이 담긴 기사에도 네티즌들의 항의가 빗발쳤다. 네티즌 ‘소피스틱’은 “군사정권을 감싸주는 것이 어떻게 해서 역사 바로잡기냐”며 “정권 입맛에 역사를 맞추는 것은 아닌지 우려된다”고 밝혔다. 아이디 ‘가으리’ 역시 “정권이 바뀌면 역사적 사실도 바뀌는 것이냐”며 “일본이나 중국의 역사 교과서 왜곡에는 반응하지 못하면서, 자국의 교과서를 왜곡하는 것은 말도 안된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역사가 바뀐다면, 선거 때마다 정권을 바꾸어야겠다”고 지적했다. 한편, 교과부는 네티즌의 반발에도 국사편찬위원회에 교과서 수정 검토를 의뢰했다. 국사편찬위는 별도의 팀을 구성해 교과부로부터 전달받은 의견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고 있다. 교과부는 국사편찬위의 검토가 끝나는대로, 이를 정리해 11월게 각 출판사에 교과서 수정을 요구할 예정이라 이같은 결과에 네티즌들이 수긍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정혜규 기자 66950@hanmail.net
ⓒ2007 대한민국 청소년들의 즐겨찾기 - 인터넷뉴스 바이러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