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터넷뉴스바이러스
[교육일반] 정규교육과정에서 28일 시험, 학원까지 합하면 100일 넘어
학생들은 정말 시험을 많이 칠까? 입시경쟁교육의 정점에 서있는 대한민국 고교생들이 1년에 몇번 시험을 치르는지 조사해보았다.
기본 정규교육과정에서 중간고사와 같은 한 고사마다 6일을 시험치른다고 가정한다면, 학기마다 중간고사, 기말고만 가지고 2학기 24일의 시험을 보게된다. 전국연합학력평가(모의고사) 4회까지 합하면 정규교육과정에서만 연간 약 28일을 시험을 치르는 셈이다. 일 년 중 한 달 가량이 시험이다.(학교마다 보고 있는 사설모의고사까지 합하면 숫자는 더욱 늘어난다.)
학원을 다니는 경우 시험 치루는 날수는 더욱 늘어난다. 강동구에 위치한 ㄱ학원 관계자에 따르면 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중인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일주일에 2회 정도, 모의고사를 대비한 시험을 보고 있었다.
2008년 3월부터 2009년 2월까지 1년을 수강한다고 가정하고 주2회 시험을 보면 한달간 평균 8회 시험을 치른다. 정규고사를 보기 한주 전에는 학원에서 시험을 치르지 않는 것을 감안하면, 연간 약 96일 정도 시험을 보게 되는 셈이다. 학기 초와 방학동안의 수강을 위한 반 편성고사 4회까지 합하게 되면 약 100일을 시험을 치른다. 정규교육과정과 사교육에서 보는 시험을 모두 합해본다면 정규교육에서 약 28회, 사교육 약 100회를 합친다면 약 128회의 시험을 보게 된다는 결론이 나온다.
실제 학생들에게 이와같은 결과를 보여주었을 때, 학생들은 학원마다 조금씩 상황은 다르지만 “비슷하다”는 의견이 대다수였다. 학교와 학원을 다니며 일 년의 1/3가량을 시험을 치르는 현실인 것이다.
일제고사 등으로 학생들이 치르게될 시험은 더욱 늘어났다. 과연 이러한 학창시절이 청소년들에게 얼마만큼 도움이 될 것인가. “시험 때문에 힘들다”는 학생들의 호소에 귀기울일 필요가 있다.
정당당 기자 dang1228@naver.com
ⓒ2007 대한민국 청소년들의 즐겨찾기 - 인터넷뉴스 바이러스
2008년 3월부터 2009년 2월까지 1년을 수강한다고 가정하고 주2회 시험을 보면 한달간 평균 8회 시험을 치른다. 정규고사를 보기 한주 전에는 학원에서 시험을 치르지 않는 것을 감안하면, 연간 약 96일 정도 시험을 보게 되는 셈이다. 학기 초와 방학동안의 수강을 위한 반 편성고사 4회까지 합하게 되면 약 100일을 시험을 치른다. 정규교육과정과 사교육에서 보는 시험을 모두 합해본다면 정규교육에서 약 28회, 사교육 약 100회를 합친다면 약 128회의 시험을 보게 된다는 결론이 나온다.
학원을 다닌다는 가정하에, 2008년 달력으로 고교생이 시험을 치루는 횟수를 따져본 결과, 123회라는 결론이 나왔다. ⓒ 인터넷뉴스바이러스
ⓒ2007 대한민국 청소년들의 즐겨찾기 - 인터넷뉴스 바이러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