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쇼핑·소비자

경기침체기, 손이 가는 제품 따로 있다

등록 2009-07-19 18:29

일러스트 이임정 기자  imjung@hani.co.kr
일러스트 이임정 기자 imjung@hani.co.kr
[상반기 소비자 히트상품]
기존 명성에 새로운 기능 더해
합리적 가격으로 만족도 높여
경기침체 여파로 소비자들이 지갑을 쉽게 열지는 않겠지만, 기본적인 의식주뿐 아니라 합리적인 비용으로 자기 개발이나 외모를 가꾸는 데는 망설임이 없다. 가치 중심의 소비를 하는 경향이 강해진 것이다. 경기침체기에는 수십만원 하는 옷을 살 수 없을 바에야 수만원대의 화장품이나 속옷으로 심리적 만족을 대신하는 이들이 많아진다. 이른바 불황기에 나타나는 ‘립스틱 효과’, ‘란제리 효과’가 그것이다.

경기침체기의 기업들은 소비자들의 이런 욕구를 간파해 광고·마케팅 전략을 짜거나 관련 제품을 시장에 내놓는다. 기존 브랜드가 주는 신뢰감을 바탕으로 몇 가지 기능을 강화해 소비자에게 다가가고 있다. 소비자가 단지 값싼 상품을 원한다기보다는 합리적인 가격에도 더 큰 만족을 줄 수 있는 상품에 지갑을 연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한겨레>가 뽑은 <상반기 히트상품>에도 이러한 특징이 두드러진다. 15개의 히트상품 가운데 애경의 ‘2080 청은차’나 진로의 ‘제이’(J), 서울우유의 ‘목장의 신선함이 살아있는 우유’는 기존 브랜드가 쌓아놓은 명성에 새로운 특성을 가미하는 방식으로 소비자들에게 접근해 성공을 거두고 있다. 이번 히트상품 심사에는 이은희 인하대 교수(소비자학), 김경자 가톨릭대 교수(소비자학), 김석원 닐슨컴퍼니코리아 상무가 참여했다.


상반기 소비자 히트 상품
상반기 소비자 히트 상품
애경의 ‘2080’ 브랜드는 지난 5월 국내 치약시장에서 점유율 1위에 올랐다. 출시 11년 만이다. 애경 쪽은 “지난해 말에 내놓은 한방 성분 강화 치약인 ‘2080 청은차’가 잘 팔린 덕”이라고 설명했다. 기존 2080 브랜드 이미지에 차 문화와 한방을 접목한 것이 먹혀든 것이다. 애경은 최근 ‘2080 키즈’를 출시하는 등 2080을 앞세운 브랜드 마케팅에 공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제이’(J)는 ‘참이슬’로 성공을 거둔 진로가 젊게 변모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제품이다. ‘소주’ 하면 떠오르는 쓴맛 등의 이미지를 벗고 상쾌함을 전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런 변화의 일환으로 여성 애주가들을 붙잡으려는 마케팅을 적극 펼치고 있다. 제이는 ‘19.5-1=18.5’라는 광고 문구를 내걸었다. 몸무게나 치마의 길이를 줄이는 것처럼 소주의 도수도 낮췄다는 뜻으로 여성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국내 우유업계 1위 브랜드 서울우유는 ‘목장의 신선함이 살아있는 우유’로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서울우유는 다소 비싸더라도 자신이나 가족의 건강을 위해서라면 과감하게 지갑을 여는 소비자들을 겨냥했고, 이 전략은 그대로 들어맞았다. 특히 저지방이나 성분 강화보다는 ‘신선함’을 강조하는 상품 이름은 소비자 신뢰를 얻는 데 한몫하고 있다.

경기침체기에도 참살이(웰빙) 경향은 수그러들지 않는데, 히트상품에도 이와 연관된 상품들이 여럿 있다. 발효유 부문 히트상품으로 선정된 한국야쿠르트의 ‘하루야채’ 역시 먹거리 안전이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소비자들의 욕구를 반영해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또 스탠드 부문의 ‘엘이디(LED) 스탠드’, 광동제약의 ‘비타500’, 중외홀딩스의 ‘피톤케어 휘산기’ 등이 참살이 열풍을 타고 선정된 히트상품들이다. 초고속인터넷 부문 히트상품으로 선정된 케이티(KT)의 ‘쿡’은 경기침체기의 우울함을 웃음으로 날려버리는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지갑이 얇아 밖으로 나들이 가는 것도 부담스러운 요즘, 집에서 ‘쿡’ 박혀 있는 게 낫다는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집 나가면 개고생’이라는 쿡의 광고 문구로 화제가 됐고, 결과적으로 이른 시간 안에 이 브랜드를 모르는 소비자들이 없을 정도가 됐다.

경기침체기에 소비자 욕구를 빠르게 읽어내지 못한 기업들은 경기회복기에 뒤처질 수밖에 없다. 기업들이 기존 상품의 이미지를 개선하는 동시에 소비자 편의성과 기능을 강화시킨 제품 개발에 공을 들이는 이유이다.

이정연 기자 xingxing@hani.co.kr


■ 심사평

건강·안전 강조한 상품들 히트


이은희 인하대학교 교수
이은희 인하대학교 교수
경기침체기를 잘 견디어 내려면 무엇보다도 건강과 안전이 중요하다. 이러한 소비자들의 욕구를 반영하듯 ‘2009 상반기 한겨레 히트상품’으로 건강 관련 상품들과 경제적 안전을 추구하는 상품들이 많이 선정되었다. 선정기준으로 단기간의 성장 실적과 시장점유율, 소비자 욕구의 반영 등을 적용한 올해 상반기 ‘히트상품’으로는 모두 16개의 상품이 선정되었다.

먼저 건강 관련 상품으로 애경의 ‘2080 청은차’는 잇몸 건강에 좋은 한방치약으로 젊은 소비자들에게 인기를 끌었으며, 구강건강 상품으로 오랫동안 사랑받아온 동아제약의 가그린은 강력한 살균력을 추가한 신상품으로 단기간에 좋은 반응을 얻었다. 중외제약의 피톤치드 휘산기는 숲의 치유효과를 적용한 상품으로 건강에 관심 있는 소비자들의 뜨거운 반응을 얻었으며, 송백테크의 ‘미트라 학습용 LED조명’은 수험생들의 눈 건강, 지앤지(G&G)가구의 레이지보이(LA-Z-BOY) 리클라이너는 최고의 휴식을 얻을 수 있는 제품으로 사랑받았다.

식음료부문에서도 역시 건강을 강조한 상품들이 인기를 얻었다. 기존 제품에 유산균을 더한 한국야쿠르트의 ‘유산균이 살아있는 하루야채’, 천연 미네랄이 골고루 포함된 롯데칠성음료의 먹는샘물 ‘아이시스’, 그리고 오랫동안 건강음료로 사랑받아 온 아모레퍼시픽의 녹차 ‘설록한라’, 광동제약의 비타500, 서울우유의 ‘목장의 신선함이 살아있는 우유’ 등이 올 상반기에도 인기를 끌었으며, 알코올 도수를 1도 낮춘 18.5도 소주인 진로의 ‘진로제이’도 건강에 대한 소비심리를 반영하듯 인기를 끌었다.

올해 1월부터 판매한 엔에이치(NH)생명·화재의 ‘(무배당) 뉴-장기프로젝트공제’는 5개월 만에 9만건의 판매를 기록하여 불황기에 경제적 안전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심리를 반영하고 있다. 케이티(KT)의 초고속 인터넷인 쿡 인터넷과 농심의 둥지냉면은 불황기의 소비자 행태를 반영하는 인기상품들이다. 또한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선정된 잉글리쉬 무무는 어려울 때일수록 미래에 대비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마음을 잘 보여준다.

이은희 인하대학교 교수(소비자아동학과)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음식점 폐업률 전국 1위는 이 도시…집값도 급락 직격탄 1.

음식점 폐업률 전국 1위는 이 도시…집값도 급락 직격탄

“그리 애썼던 식당 문 닫는 데 단 몇 분…” 폐업률 19년 만에 최고 2.

“그리 애썼던 식당 문 닫는 데 단 몇 분…” 폐업률 19년 만에 최고

90살까지 실손보험 가입 가능해진다…110살까지 보장 3.

90살까지 실손보험 가입 가능해진다…110살까지 보장

오세훈발 ‘토허제 해제’ 기대감…서울 아파트 또 오르나요? [집문집답] 4.

오세훈발 ‘토허제 해제’ 기대감…서울 아파트 또 오르나요? [집문집답]

한화 김동선, ‘급식업 2위’ 아워홈 인수한다 5.

한화 김동선, ‘급식업 2위’ 아워홈 인수한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