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민주화운동 35주년 기념식이 열린 18일 오전 광주시 북구 운정동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앞줄 맨 오른쪽부터),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정의화 국회의장이 ‘임을 위한 행진곡’을 따라 부르고 있다. 정부 쪽에서 참석한 최경환 국무총리 대행(앞줄 왼쪽 둘째)과 박승춘 보훈처장(앞줄 맨 왼쪽)은 입을 굳게 다물고 있다.
광주/이정용 선임기자 lee312@hani.co.kr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불허…국가보훈처, 박 대통령 뜻 따라
유족·시민단체, 기념일 지정 이후 처음으로 정부 기념식 거부
새누리에서도 “정부가 5·18 정신 왜곡…박승춘 보훈처장 경질”
유족·시민단체, 기념일 지정 이후 처음으로 정부 기념식 거부
새누리에서도 “정부가 5·18 정신 왜곡…박승춘 보훈처장 경질”
5·18 민주화운동 35주년 기념식이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을 둘러싼 찬반 때문에 정부 쪽과 시민사회 양쪽으로 갈려 열렸다. 보훈처가 주최한 기념식은 18일 오전 광주시 북구 운정동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열렸고, 5·18 유가족 및 피해 당사자들은 같은 시각 동구 금남로 옛 전남도청 앞 광장에서 열린 별도의 기념식에 참석했다. 5월 단체 등 지역 시민사회가 정부 주관 5·18 기념식 참석을 공식적으로 거부한 것은 1997년 5·18 민주화운동이 정부 기념일로 지정된 뒤 이후 처음이다.
5·18 기념식이 이처럼 양분된 이유는 정부가 5·18 민주화운동의 상징과도 같은 ‘임을 위한 행진곡’에 ‘종북 딱지’를 붙여 5·18 기념곡으로 지정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광주 지역 시민사회는 물론이고 여당 대표와 국회의장까지 기념곡 지정을 요구하고 나섰지만, 국가보훈처는 “국민통합을 저해할 수 있다”는 황당한 이유로 이를 거부하고 있다. 또 ‘합창은 되지만 제창은 안 된다’는 납득하기 힘든 논리도 고집하고 있다.
보훈처가 이처럼 시민단체와 여야 정치권의 요구에도 꿈쩍도 않는 것은 박근혜 대통령과 청와대의 완강한 반대 때문이다. 박 대통령은 지난 3월 청와대에서 여야 대표를 만났을 때 5·18 기념곡 지정을 해달라는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의 요청을 받았지만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앞서 김무성 대표도 2013년 5월 당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5·18 주제가로 선정해야 한다”고 촉구했지만 이후 아무것도 달라진 게 없었다. 박 대통령은 취임 첫해인 2013년 5월 5·18 광주민주화운동 33주년 기념식에 참석해 “5·18 정신이 국민통합과 국민행복으로 승화돼야 한다”며 통합을 강조했지만, 오히려 박 대통령과 박근혜 정부가 기념곡 지정 문제에 고집을 부리면서 5·18 기념식을 둘러싼 분열과 상처를 키우고 국민통합을 저해하고 있는 것이다.
정치권 인사들은 이날 5·18 기념식에 참석해 한목소리로 정부의 태도를 비판했다. 정의화 국회의장은 이날 국회사무총장, 국회도서관장, 입법조사처장, 예산정책처장 등 국회 주요 간부들과 함께 기념식에 참석해 “정부가 긍정적이고 미래지향적으로 생각해주길 바라고, 국회에서 결의한 것을 존중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국회가 2013년 6월27일 본회의에서 ‘님을 위한 행진곡’의 5·18 기념곡 지정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여야 합의로 통과시킨 점을 언급하며 정부를 비판한 것이다.
이날 기념식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끝까지 따라 부른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도 “(이 노래는) 제창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앞으로 계속 (정부를) 설득해 보겠다”고 말했다.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도 “정부가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북한과 관련시켜서 5·18을 이념적으로 가두고 또 지역적으로 고립시키려 한다”며 “5·18의 위대한 역사를 지키는 게 민주주의를 지키는 길”이라고 박 대통령을 비판했다.
새누리당 하태경 의원은 “보훈처가 (노래에 등장하는) ‘임’이 마치 김일성인 것처럼 왜곡시키고 있다. 부정적인 인식에 편승해 종북 덧씌우기 행동을 하고 있는 박승춘 보훈처장을 경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석진환 기자, 광주/정대하 기자 soulfat@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