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전 대통령
남북 장관급회담…다음달 일정·절차 실무 협의
납북자·해결 협력 원칙합의…다음회담 7월 부산서
납북자·해결 협력 원칙합의…다음회담 7월 부산서
남북은 김대중 전 대통령의 6월 방북에 합의하고, 5월 중 방문 날짜·규모·절차 등 실무협의를 벌이기로 했다.
이종석 통일부 장관은 24일 오후 평양에서 18차 남북 장관급 회담을 마친 뒤 공동취재단 회견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의 6월 방북 제의를 북쪽에 전했고 북쪽과 기본적으로 의견을 같이했다”며 “열차를 이용한 방북을 포함해 (구체적 문제를) 실무협의를 열어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북쪽에서 곧 실무협의를 하자는 연락을 하겠다고 했다”며 “5월 중 실무협의에 나설 것”이라고 덧붙였다.
남북은 이날 오후 평양 고려호텔에서 장관급 회담 종결회의를 열어, 납북자·국군포로 문제의 실질적 해결을 위해 협력하기로 하는 등 모두 8개항으로 이뤄진 공동보도문을 채택했다.
남북은 남쪽이 주요 의제로 제기한 납북자·국군포로 문제에 대해, “전쟁시기와 그 이후 소식을 알 수 없게 된 사람들의 문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고 합의했다. 이는 납북자·국군포로 문제를 별도로 빨리 해결하자는 남쪽 접근법과, 지난 2월 7차 적십자 회담에서 합의한 것처럼 ‘(일반) 흩어진 가족 문제에 포함시켜 풀자’는 북쪽 의견을 절충한 것으로 보인다.
남쪽이 제안한 한강하구 골재 채취와 민족 공동 (지하)자원 개발 문제는 다음달 중 12차 경제협력추진위원회를 열어 검토하기로 했다. 북쪽은 함경남도 단천 지역을 ‘민족 공동 자원개발 특구’로 집중 투자·개발하자는 남쪽 제안을 두고, 관계기관과 협의가 필요하다는 태도를 보이며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고 이 장관은 설명했다. 이 장관은 북쪽이 경의·동해선 철도 시험운행과 장성급 회담 등에 대해선 구체적 시기를 정하는 문제에 미온적이었다고 전했다.
북쪽의 쌀 50만t 및 비료 30만t 지원 요청과 관련해, 이 장관은 “비료는 20만t을 지원하기로 했고, 10만t은 추후 검토할 것”이라며 “쌀 차관 문제는 합의가 없었다”고 밝혔다. 일본인 납치 피해자 요코타 메구미의 남편으로 알려진 납북자 김영남씨의 신원확인 문제 등에 대해, 이 장관은 “북쪽은 해당 기관에서 구체적으로 조사중이라고 답했다”며 “상당히 진지하게 접근하고 있다는 톤으로 얘기했다”고 전했다.
남북은 북핵 문제와 관련해 “‘9·19 공동성명’이 조속히 이행되어 핵문제가 민족 공동의 이익과 안전에 부합되게 평화적으로 해결되도록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며, 17차 회담 때의 합의를 재확인했다. 남북은 또 6·15 공동선언 발표 6돌을 맞아 광주시에서 열리는 민족통일 대축전에 양쪽 당국 대표단이 적극 참가하기로 했다. 다음 장관급 회담은 7월11~14일 부산에서 열기로 했다.
평양/공동취재단, 이제훈 기자 nomad@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