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가 보도된 후 네티즌들은 강한 불만을 나타내며 인터넷에 글을 올리기 시작했다. ⓒ 인터넷뉴스 바이러스
[교육제도] 조기유학 다녀온 부유층에 유리, 네티즌 논란
연일 쏟아지는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영어교육 관련 보도에 국민들이 몸살을 앓고 있다. 특히 ‘영어만 잘하면 군대 안간다’는 소식은 네티즌들 사이에서 논란이 거셌다.
‘영어잘하면 군대 안간다’ 보도 논란
중앙일보는 28일 인수위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공중보건의나 산업기능요원·전문연구요원처럼 영어만 잘하면 군대를 안 갈 수 있는 길이 열린다”며 “이들은 보조교사로서 학생들의 영어 교육을 돕게 된다”고 보도했다.
이 관계자에 따르면 영어교육요원은 신체검사 결과 보충역(4급)에 해당하는 공익근무요원과는 성격이 다르고, 현역 판정자 중 영어를 가르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해 병역특례를 주는 방안이다.
또한 영어 말하기와 듣기, 읽기와 쓰기 능력을 갖추기 위해 개설된 영어교육 과정인 ‘TESOL’을 이수한 학부모도 기간제 교사로 활용하겠다는 방안도 소개됐다. 조기유학 다녀온 부자집 아들은 영어교사
서민들은 군대제대하고 비정규직 노동자? 그러나 이 기사를 접한 네티즌들은 강한 불만을 표출하며 반대의사를 나타났다. 아이디 ‘어린작가’는 포털사이트 다음 토론방에 올린 글에서 “요즘 차기 정부의 머리에서 나오는 생각을 보면 깜짝 아이디어 쇼를 보는 것 같다”며 “교육을 이런 식으로 접근을 해서 어떤 결과를 과연 바라는 것일까”라고 반감을 표했다. 이어 “교사를 학생들을 가르치는 사람으로 생각하는 단순한 사고에서 생겨난 해프닝처럼 보인다”며 “영어만 잘하면 군대를 가지 않고 병역의 의무를 다할 수 있다는 발상은 병역비리를 부를 수 있고, 해외유학을 간 학생들이 혜택을 받는다는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네티즌 ‘스토리’도 “빚을 내서라도 조기 유학보내 원어민처럼 영어를 잘하게 만드는 것이 사는 길인듯하다”며 “앞으로 대기업에서 면접볼때 육군 병장 제대 쓰면 ‘이자식 영어 못했네?비정규직가라’고 하겠군”이라고 비판했다. 인수위 이주호 간사 “언론보도와 다르다” 해명 한편 논란이 일면서 인수위 이주호 사회교육문화분과 간사는 개인 명의의 해명자료를 통해 언론의 보도는 사실과 다르다고 28일 해명했다. 이 간사는 “병력특례안과 실력미달 영어교사 3진 아웃제는 국회의원으로서 지난해 2월 발의한 ‘영어교육지원특별법’의 일부분일 뿐 인수위의 입장은 아니다”며 “현재 인수위가 검토하고 있는 ‘영어 공교육 완성 프로젝트 실천방안’에도 이러한 내용은 포함돼 있지 않다”고 밝혔다. 또한 TESOL과정을 이수한 학부모를 영어교육에 투입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자격증만 가지고 있다고 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칠 수는 없으며 새로운 자격제도 도입에 의해 엄선된 사람들이 가르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주호 간사가 인수위 교육개혁을 주도하는 인물이라는 점에서 결국 새정부의 교육정책에 반영되는것 아니냐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2월 인수위의 최종 영어 공교육 강화 정책 발표를 앞두고, 과연 어떤 정책이 새로 도입될 것인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김지훈 기자 news-1318virus@hanmail.net
ⓒ2007 대한민국 청소년들의 즐겨찾기 - 인터넷뉴스 바이러스
또한 영어 말하기와 듣기, 읽기와 쓰기 능력을 갖추기 위해 개설된 영어교육 과정인 ‘TESOL’을 이수한 학부모도 기간제 교사로 활용하겠다는 방안도 소개됐다. 조기유학 다녀온 부자집 아들은 영어교사
서민들은 군대제대하고 비정규직 노동자? 그러나 이 기사를 접한 네티즌들은 강한 불만을 표출하며 반대의사를 나타났다. 아이디 ‘어린작가’는 포털사이트 다음 토론방에 올린 글에서 “요즘 차기 정부의 머리에서 나오는 생각을 보면 깜짝 아이디어 쇼를 보는 것 같다”며 “교육을 이런 식으로 접근을 해서 어떤 결과를 과연 바라는 것일까”라고 반감을 표했다. 이어 “교사를 학생들을 가르치는 사람으로 생각하는 단순한 사고에서 생겨난 해프닝처럼 보인다”며 “영어만 잘하면 군대를 가지 않고 병역의 의무를 다할 수 있다는 발상은 병역비리를 부를 수 있고, 해외유학을 간 학생들이 혜택을 받는다는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네티즌 ‘스토리’도 “빚을 내서라도 조기 유학보내 원어민처럼 영어를 잘하게 만드는 것이 사는 길인듯하다”며 “앞으로 대기업에서 면접볼때 육군 병장 제대 쓰면 ‘이자식 영어 못했네?비정규직가라’고 하겠군”이라고 비판했다. 인수위 이주호 간사 “언론보도와 다르다” 해명 한편 논란이 일면서 인수위 이주호 사회교육문화분과 간사는 개인 명의의 해명자료를 통해 언론의 보도는 사실과 다르다고 28일 해명했다. 이 간사는 “병력특례안과 실력미달 영어교사 3진 아웃제는 국회의원으로서 지난해 2월 발의한 ‘영어교육지원특별법’의 일부분일 뿐 인수위의 입장은 아니다”며 “현재 인수위가 검토하고 있는 ‘영어 공교육 완성 프로젝트 실천방안’에도 이러한 내용은 포함돼 있지 않다”고 밝혔다. 또한 TESOL과정을 이수한 학부모를 영어교육에 투입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자격증만 가지고 있다고 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칠 수는 없으며 새로운 자격제도 도입에 의해 엄선된 사람들이 가르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주호 간사가 인수위 교육개혁을 주도하는 인물이라는 점에서 결국 새정부의 교육정책에 반영되는것 아니냐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2월 인수위의 최종 영어 공교육 강화 정책 발표를 앞두고, 과연 어떤 정책이 새로 도입될 것인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김지훈 기자 news-1318virus@hanmail.net
ⓒ2007 대한민국 청소년들의 즐겨찾기 - 인터넷뉴스 바이러스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