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외교장관의 12·28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합의에 대한 비판 여론이 확산되는 가운데, 반기문 유엔(UN) 사무총장이 협상 결과에 대한 ‘공개 지지’를 선언해 논란이 일고 있다. 반 총장이 위안부 협상 졸속합의 논란으로 곤혹스런 처지에 놓인 박근혜 대통령 편에 선 것은 자신의 대선 행보와 관련된 포석이라...
한-일 외교장관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12·28 합의’에 대한 비판 여론이 확산되고 있지만 청와대는 “유언비어”, “잘못된 보도” 등을 탓하며 언론과 위안부 관련 단체를 비난하는 등 오히려 공세적 태도를 보이고 나섰다. 김성우 청와대 홍보수석은 31일 오전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합의와 관련해 국민께 드리...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문제에 관한 한-일 외교장관의 ‘12·28 합의’를 두고 비판여론이 확산되자 협상을 사실상 주도한 청와대는 곤혹스런 분위기다. 박근혜 대통령이 합의 당일 피해자와 국민의 이해를 구하는 대국민메시지까지 냈지만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이 “받아들일 수 없다”며 정부를 향해 분노를 표출하고, 시민...
청와대는 29일 한일 양국간 일본군 위안부 문제협상 타결과 관련, “위안부 피해자들의 명예를 회복하고 상처를 치유하는 방향으로 이 사안이 해결돼야 한다는 확고한 원칙에 따라 이뤄졌다”고 밝혔다. 정연국 대변인은 이날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번 타결 내용이 위안부 피해자들이 수용할 수 있는 문제해결 원칙...
박근혜 대통령은 28일 한·일 양국 정부의 위안부 문제 합의에 대해 “이제 더 이상은 우리 국민들이 피해받지 않는 나라를 만들 것”이라며 “한-일 관계 개선과 대승적 견지에서 이번 (위안부 문제 해결) 합의에 대해 피해자분들과 국민 여러분께서도 이해를 해 주시기 바란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날 한-일 외교장관...
박근혜 대통령은 28일 국회에 계류 중인 쟁점 법안과 관련해 “국민을 대신하는 정치는 국민 위에 군림하는 것이 아니라 국민들의 뜻에 따라 움직여야 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올해 마지막 청와대 수석비서관 회의를 주재하면서 “지금 국회에 묶여있는 경제 법안들은 협상을 해도 국회에서 매번 약속...
만 3~5살 영유아 보육과정인 누리과정 예산을 두고 중앙-지방정부 간 갈등이 고조되고 있지만, ‘국가 완전책임제’를 약속했던 청와대는 “교육감이 의무적으로 편성해야 할 예산”이라며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 대신 총리실과 교육부 등이 나서 무상보육 재정 부담을 호소하며 예산편성을 거부하는 교육청을 향해 ‘강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