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의 성 이렇게 말해보세요
신체의 이차 성징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면서 정상 청소년이라면 성호르몬에 의한 성적 욕구가 생기는 것이 정상이다. 생물학적 발달 단계에서 사실상 성호르몬이 제일 많이 나오는 시기는 십대이기 때문에, 사회적 통제 없이 순전히 자신의 본능만 따른다면 스무살 이전에 짝짓기를 끝내는 것이 더 본성에 맞는지도 모른다. 적지 않은 심리학자와 인류학자들은 성욕을 억제하고 그 에너지를 보다 창조적인 일에 쏟기 시작하면서 인류문화가 시작된 것이라고도 주장한다. 실제로, 일찍 성에 눈을 뜨고 어른 못지 않은 성생활에 몰두하는 청소년들은 학업 등 다른 사회적 활동에 소홀해지고, 결국 인생의 장기적 청사진을 만드는 데 실패하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성적 공상을 동반하는 자위, 또는 또래 집단과의 실험성이 강한 성적 유희 등으로 그 긴장감을 해소해 보는 경우가 더 많다. 문제는 많은 청소년들이 자신들의 그같은 성행동에 대해 죄의식과 불안감을 갖는다는 것이다.
특히 성에 대해 죄악시·금기시하는 엄격한 어른들은 청소년들의 성행동을 더럽고 문란한 것이라 비난한다. 자연, 아이들도 자신들의 성적 욕구와 행동을 수치스럽게 생각한다. 이렇게 성욕이 지나치게 억압될 경우 때로는 불안장애, 강박신경증 등의 정신증상을 보일 수도 있다. 때론 성인이 되어서까지도 어려서 했던 성적 놀이·자위·여러 가지 실험적 성행동에 대한 죄의식과 더불어 자신을 그렇게 몰고 갔던 상황, 혹은 친구나 가족에 대한 분노를 호소하는 이들도 적지 않다.
실제로, 성적 놀이나 공상에 강박적으로 집착하는 청소년들은 보통 어른들로부터 적절하고 건강한 관심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자신들이 건강한 성생활을 유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젊은 세대들에게 지나치게 엄격한 태도를 보이거나 혹은 정반대로 그들이 비정상적으로 성에 탐닉하는 것을 원칙없이 방치하게 된다. 양 쪽 모두 어른들의 성행동과 성에 대한 가치관에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 부모들이 신체적으로 충분히 사랑을 표현하지는 않으면서 아이들을 해로운 환경에 그저 방치해 놓으면, 자위나 지나친 성적 놀이에 집착할 수도 있다. 아이들에게 성적 만족은 부모 사랑의 대체물인 것이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성행동을 문란하다, 병적이다라고 단죄하기보다는 누군가 자신을 보듬어 주고 돌보아 주지 않으니 외롭고 힘들다는 일종의 구조 요청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기성세대들은 청소년들의 일탈을 걱정하고 비난하기보다는 과연 청소년들에게 따뜻한 사랑과 관심을 보였는지, 또 자신들의 성에 대한 태도는 충분히 건강하고 적절한지 먼저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이나미/신경정신과 원장
nleekr2000@yahoo.com
nleekr2000@yahoo.com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