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국제협력단(총재 박대원)이 외교통상부 후원으로 전국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공모하고 있는 ‘제11회 KOICA 글짓기 공모전’의 마감이 오는 27일로 다가왔다. 한국국제협력단은 청소년들의 국제개발협력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높이기 위해 1998년부터 외교통상부와 함께 코이카(KOICA) 글짓기 공모전을 해오고 ...
▶ 한겨레교육문화센터(hanter21.co.kr)는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겨레신문사에서 내는 엔아이이(nie) 논술 주간지인 <아하! 한겨레> 등 다양한 자료를 활용해 읽고 생각하고 쓰는 능력을 길러주는 ‘교과 엔아이이(nie) 논술교실’을 7월12일(토요일) 개강한다. 방학 특강으로 마련된 이번 과정은 모두 7...
■ 킨텍스에서 우주탐험전 8월24일까지 경기 일산 킨텍스. 한국 최초 우주인의 우주탐험 과정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스페이스 코리아 우주대탐험전’. 이소연씨의 선발 과정부터 훈련, 우주를 향한 로켓 발사, 지구 귀환에 이르는 우주탐험의 모든 과정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 우주인 선발조건, 초파리를 이용한 중...
고기 없이 살 수 있나요? (중1 이상) 최근 광우병과 조류 인플루엔자 등이 우리 식탁을 위협하면서 채식으로 눈을 돌리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더불어 광우병 관련 과학 서적, 먹을거리 관련 책들도 주목받고 있죠. 육식이 우리 식탁을 위협하면서 대안적 먹을거리 문화를 찾는 이들이 늘어나는 때입니다. 이...
▶ 한겨레교육문화센터(hanter21.co.kr)는 여름방학 특강으로 우리말에 대한 이해와 활용 능력을 올리고 한국어능력시험에 대비할 수 있는 다양한 강좌를 연다. 7월19일 개강하는 ‘중고생을 위한 한국어능력시험 대비과정’은 어문규정과 어법, 어휘력을 집중적으로 가르친다. 수강료는 13만원. 7월5일 개강하는 ‘한국어능...
토론의 규칙을 아시나요? (중1 이상) 요즘 들어 부쩍 시사토론 프로그램이 많아졌습니다. 기존 문화방송 과 한국방송 <생방송 심야토론>뿐만 아니라, 문화방송 <명랑히어로>, XTM <백지연의 끝장토론> 등과 같은 새로운 형식의 토론 프로그램도 선보이고 있습니다. 건강한 토론 문화에 대해 함께 생...
농업박물관 농촌문화체험교실 참가자 모집 초등학생 가족을 대상으로 20일 경기 연천군 백학면 구미리 새둥지 팜스테이마을에서 모내기체험, 꽃잎으로 천연염색하기, 전통 맷돌체험, 두부 만들기, 한우 방목장 견학, 청산 김치 가공공장 견학 등으로 진행. 참가비 1만5천원. 참가신청 및 문의 (02)2080-5727~8. 어...
▶ 한겨레교육문화센터(hanter21.co.kr)는 올바른 한국사 인식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는 점을 감안해 아이들에게 한국사를 제대로 가르칠 수 있도록 전문강사를 교육하는 ‘한국사 초급지도사 양성과정’을 6월 연다. 이 과정은 평일반과 주말집중반으로 교육이 진행되는데, 평일반은 13일 개강해 모두 9차례 강의가 진행...
어린이 창작 동시 공모전 전국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공모하며 주제는 자유. 접수는 7월4일부터 7월 25일까지 대교출판 어린이 창작동시공모전으로 우편접수. 문의 (02)542-9203. 버블버블 공연 & 체험쇼 7월 13일까지 서울 롯데월드예술극장. 비누방울을 이용한 다양한 공연과 체험. 객석의 어린이를 무대로...
안티와 팬덤, 동전의 양면 (중1 이상) 한 개그 프로그램에서 ‘왕비호(왕비호감)’라는 인물이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사랑받을 행동을 해도 모자랄 판에 왜 호감이 안 가는 행동을 하는 걸까요? 시민불복종은 불법인가요? (중3 이상) 촛불집회가 연일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시민불복종’이라는 말이 나오고 있습...
오는 8월24일 제1회 법학적성시험(LEET)에서 논술이 큰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처음 치러져 문제 유형이 수험생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점에 더해 지식을 암기하는 방식으로 기존 사법시험을 준비해 온 법대 전공자들에게는 오히려 더 까다로울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제1회 법학적...
교육업체 진학사(www.jinhak.com)는 수험생들의 합리적인 지원 전략을 위해 수시 1학기 내신산출 및 모의지원 서비스를 지난 21일부터 열었다. 합격 예측의 기본이 되는 ‘모의지원 서비스’는 자신이 입력한 내신성적을 토대로 지원하려는 대학에 가상으로 응시해 보는 것으로 실제 입시방식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되며, ...